• Title/Summary/Keyword: MADN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y on Opt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Two Fluorescence Dopants in Single Emissive Layer (2개의 형광 도판트를 적용한 단일발광층 유기발광소자의 광학적 특성 연구)

  • Kim, Tae-Gu;Oh, Hwan-Sool;Kim, You-Hyun;Kim, W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9 no.3
    • /
    • pp.184-189
    • /
    • 2010
  •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ith single emissive layer structures using two fluorescent dopants were fabricated and the device was composed of ITO / NPB ($700{\AA}$) / MADN : C545T - 1.0% : DCJTB - 0.3% ($300{\AA}$) / Bphen ($300{\AA}$) / LiF ($10{\AA}$) /Al ($1,000{\AA}$). C545T and DCJTB were functioned as green fluorescent dye and red fluorescent dye under MADN as host material. Concentrations of C545T and DCJTB was changed in emissive layer of MADN. Optimized OLED device using two fluorescence dopants shows emission efficiency of 8.42 cd/A and luminescence of 3169 cd/$m^2$at 6 V with CIE color coordinate, (0.43, 0.50). Electroluminescence of optimized OLED showed two peak at 500 and 564 nm according to C545T and DCJT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ddot{o}$ster energy transfer energy transfer was from MADN to C545T and rather than to DCJTB continuously.

적층 발광구조를 이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진 효과 이해

  • Kim, Gi-Tae;Jeon, Yeong-Py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244-244
    • /
    • 2012
  • 유기발광소자는 빠른 응답속도, 높은 색재현성, 높은 명암비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으며, 이미 소형 디스플레이로 상용화되고 있다. 고효율과 색안정성을 가진 유기발광소자를 개발하기 위해 소자의 구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적색과 녹색 유기발광소자에 비해 낮은 신뢰성, 발광효율 및 색 순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p-i-n 구조를 사용하거나 이리듐-유기물 합성물과 같은 인광물질의 적용하여 발광효율을 높이는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공 보조층과 청색 형광층의 도핑구조의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발광효율 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는 고효율 유기발광소자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진공 열 박막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보조층과 청색 형광층으로 구성된 적층 발광구조를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진 효과를 관찰하였다. 10%의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orlene (BCP)로 도핑된 2-methyl-9,10-bis (naphthalene-2-yl) anthracene (MADN)층을 발광층으로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5% MADN으로 도핑된 1, 3-bis (carbazol-9-yl) benzene (mCP) 층을 발광층으로 사용한 소자 및 10% BCP로 도핑 된 MADN 층과 5% MADN로 도핑된 mCP층을 혼합하여 발광층으로 사용한 유기발광 소자를 제작하였다. 유기 발광 소자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가 효과를 규명하였다. 적층 발광층을 가지는 소자는 두 단일 발광층 중심부의 경계면에서 축적된 정공에 의해 발생한 공간 전하에 의한 내부 전위차이의 형성으로 발생된 인력으로 더 많은 전자들을 끌어 들이게 되어 발광효율을 증대시킨다. 이 실험의 결과는 MADN 형광물질을 가진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을 증진 시키는 소자 구조를 제안하고 증진 효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이중 발광층을 가진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가 메커니즘

  • Park, Seong-Jun;Jeon, Yeong-Py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79-479
    • /
    • 2012
  • 유기발광소자는 낮은 구동전압, 저전력, 높은 명암비, 빠른 응답속도, 넓은 시야각 및 높은 박막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평판 패널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적색과 녹색 유기발광소자에 비해 낮은 신뢰성, 발광효율 및 색 순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경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의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 p-i-n 구조를 사용하거나 이리듐-유기물 합성물과 같은 인광물질의 적용하여 발광효율을 높이는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공 보조층과 청색 형광층의 도핑구조의 청색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발광효율 증가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열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정공 보조층과 청색 형광층으로 구성된 이중 발광층을 사용한 청색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가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하였다. 10%의 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orlene (BCP)로 도핑된 2-methyl-9,10-bis(naphthalene-2-yl)anthracene (MADN)층을 발광층으로 사용한 유기발광소자, 5% MADN으로 도핑된 1, 3-bis(carbazol-9-yl)benzene (mCP) 층을 발광층으로 사용한 소자 및 10% BCP로 도핑 된 MADN 층과 5% MADN로 도핑 된 mCP층을 혼합하여 발광층으로 사용한 소자의 전류밀도-전압-발광 특성을 비교하여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가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이중 발광층을 가지는 소자는 두 단일 발광층 중심부의 경계면에서 축적된 정공에 의해 발생한 쿨롱 인력으로 더 많은 전자들을 끌어들이게 되어 엑시톤 형성 및 빛 방출이 증가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MADN 형광물질을 가진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발광효율 증가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Ultrahigh Efficiency from Novel Blue Emitters Using a Rational Molecular Design

  • Kim, Soo-Kang;Park, Young-Il;Park, Jong-Wook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921-924
    • /
    • 2008
  • We investigated new deep blue emitting materials including a novel side group such as CB-203. CB-203 shows relatively 40% increased PL quantum efficiency and higher Tg of $30^{\circ}C$ compared to MADN. It exhibits high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of 7.18% that is two times bigger than MADN's, which is the best efficiency in case of non-doped blue fluorescence OLED device to our knowledge. And deep blue emitting materials with a new core structure (CB-301) have been synthesized. CB-301 exhibit excellent blue fluorescence properties. Undoped OLED devices using CB-301 as blue emitters was found to deep blue CIE value (0.154, 0.078) and exhibit high luminance efficiencies of 2.01cd/A at $10\;mA/cm^2$.

  • PDF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of New Spiro(fluorene-benzofluore)-Type Blue Host Materials (새로운 Spiro[fluorene-benzofluore]계 청색 호스트 물질의 유기전계발광 특성)

  • Jeon, Young-Min;Lee, Hyun-Seok;Lee, Chil-Won;Kim, Jun-Woo;Chang, Gi-Geun;Gong, Myou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4a
    • /
    • pp.29-30
    • /
    • 2008
  • New spiro-type host materials, 5'-phenylnaphthyl-spiro[fluorene-7,9'-benzofluorene](BH-lPN) and 5',6-bis(phenylnaphthyl)-spiro[fluorene-7,9'-benzofluorene](BH-6PN) were designed and successfully prepared by the Suzki reaction. The EL characteristics of BH-1PN as blue host material doped with blue dopant materials, BD-1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host MADN:dopant BD-1 system.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ITO/DNTPD/NPB/Host:5% dopant/Alq3/Al-LiF. The device obtained from BH-lPN doped with BD-1 showed a good color purity and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luminance and current-density characteristics are worse than that of MADN doped with BD-1.

  • PDF

Compared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two complementary and three primary colors

  • Kim, You-Hyun;Choi, Jea-Yoon;Lee, Su-Hwan;Yoon, Hyun-Soo;Seo, Ji-Hoon;Park, Jung-Hyun;Kim, Young-Kwan;Kim, Woo-You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b
    • /
    • pp.1429-1432
    • /
    • 2007
  • We fabricate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WOLED) having two complementary and three primary colors with emission layers of DPVBi / MADN : DCM2-0.5% and DPVBi / $Alq_3$ / MADN : DCM2-1.5%, respectively. WOLED using three primary colors shows broad electroluminescence including green emission peak at 510nm while optical properties of the two complementary WOLED was higher current efficiency of 6.2 cd/A than 4.9 cd/A of three primary color WOLED. The maximum luminescence of WOLED with two complimentary color was $15200cd/m^2$ along with luminous efficiency 6.2cd/A, as achieving stable white color coordinates for both of WOLEDs at (0.33 , 0.33) almost.

  • PDF

Study of Deep Blu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Doped BCzVBi with Various Blue Host Materials

  • Kim, Tae-Gu;Oh, Hwan-Sool;Kim, You-Hyun;Kim, Woo-Young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v.11 no.2
    • /
    • pp.85-88
    • /
    • 2010
  • Deep blu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were fabricated using 5 wt.% doped BCzVBi with various blue host materials such as NPB, DPVBi, MADN and TPBi. A blue OLED device, using DPVBi as host material, was constructed via NPB ($500\;{\AA}$) / DPVBi:BCzVBi ($200\;{\AA}$) / Bphen ($300\;{\AA}$) / LiF ($20\;{\AA}$) / Al ($1,000\;{\AA}$) and it shows a maximum luminescence of $4,838\;cd/m^2$, a current density of $32.7\;mA/cm^2$, a luminous efficiency of 3.3 cd/A and CIExy coordinates of (0.19, 0.15) at 4.5 V whereas the luminous efficiencies and CIExy coordinates of other blue OLEDs using NPB, MADN and TPBi as host materials have 1.1, 2.6 and 2.0 cd/A and (0.15, 0.11), (0.15, 0.10) and (0.15, 0.10), respectively. Energy transfer mechanisms between BCzVBi and its host materials were discussed with an energy band structure of host materials.

저분자, 고분자 혼합 발광층 을 가진 백색유기 발광소자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 Kim, Dae-Hun;Jeong, Hyeon-Seok;Kim, Tae-Hwan;Jeong, Je-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75-475
    • /
    • 2012
  •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매우 얇고, 가볍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색 디스플레이나 조명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고효율을 가진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제작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쉐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발광 패턴을 만들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저비용의 장점을 가지는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나노 구멍 구조를 가지는 적색 고분자와 청색 저분자의 혼합 발광층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나노 구멍 구조를 가지는 poly[2-methoxy, 5-(2'-ethyl-hexyloxy)-p-phenylene vinylene] (MEH-PPV)/ 2-methyl-9,10-di(2-naphthyl)anthracene (MADN) 혼합 발광층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MEH-PPV/MADN 적층 구조를 가지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나노 구멍 구조를 가지는 혼합 발광층의 발광 스펙트럼에서 적층 구조보다 청색 파장대의 빛의 비율을 높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나노 구멍 구조를 가지는 혼합 발광층에서 정공수송층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sulfonate) (PEDOT:PSS) 층과 청색 발광층 사이의 일부분 접합부분의 정공 주입 때문이다. 또한, 혼합 발광층을 가진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전류 밀도와 휘도는 구멍을 가진 MEH-PPV 층 때문에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혼합 발광층을 가진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적색과 청색의 균형은 나노 구멍의 크기를 통해서 조절이 가능하고, 색 안정성은 정공 주입층과 청색 발광층 사이의 직접 접촉에 의한 구동 전압의 변화를 따라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 결과, 혼합 발광층을 가지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 적색과 청색 발광층의 발광 균형은 스핀 코팅 속도가 3,000 rpm일 때, 최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저분자/고분자로 이루어진 혼합 발광층을 가진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의 전자와 정공의 전달 및 발광 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Highly Efficient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Based on Copper Phthalocyanine/Aromatic Diamine Composite Hole Transport Layer

  • Liao, Chi Hung;Tsai, Chih Hung;Chen, Chin 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724-726
    • /
    • 2004
  • Highly efficient 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s) utilizing the idea of copper phthalocyanine (CuPc)/N,N'-bis-(1-naphthyl)-N,N'-diphenyl,1,1'-biphenyl- 4,4'-diamine (NPB) composite hole transport layer (CPHTL) have been fabricated. The effect of inserting CPHTL upon the performance of blue OLEDs with 2-methyl-9,10-di(2-naphthyl)anthracene (MADN) as the blue emitter has been investigated. Compared with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standard blue device without CPHTL (1.33 cd/A), that of the device with 40:60 CuPc/NPB CPHTL has been increased by more than twice up to 2.96 cd/A with a Commission Internationale d'Eclairage (CIE) coordinates of(x = 0.15, y = 0.10) and a power efficiency of 1.46 lm/W (20 mA/$cm^2$) at 6.39 V. The increased device efficiency is attributed to an improved balance between hole and electron currents arriving at the recombination z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