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 storag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8초

기능성 골판지 상자로 포장한 '신고' 배의 신선도 유지효과 (Freshness Preserving of 'Shingo' Pear using Corrugated Paperboard Box Laminated with Functional MA Film)

  • 박형우;김동만;김상희;박종대;김기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35-338
    • /
    • 1998
  • 골판지상자에 기능성 필름을 첨합한 포장상자(FC)의 배 저장 중 품질유지 상태를 조사하고자 대조구로 기존에 유통중인 골판지 상자와 0.02, 0.04mm의 LDPE필름과, 0.02와 0.04mm의 기능성MA필름(CE)에 배를 포장하여 5 C에 60일간 저장하면서 신선도 변화를 비교 고찰하였다. 중량변화는 대조구는 2.9% 감소했으며, FC, LDPE와 CE 포장구들은 1.0-0.5% 감소했다. 경도는 각 포장방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비타민C 함량도 필름포장구들과 FC 포장구에서 대조구보다 더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산도와 당도는 대조구가 필름포장구들과 FC 포장구 보다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고 전체적인 외관상의 기호도 FC 포장구와 필름포장구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FC 포장재를 신선도 유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포장재가 ‘후지’사과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Freshness Extension of ‘Fuji’Apple to Packaging materials)

  • 박형우;박종대;김동만;최주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5-350
    • /
    • 2001
  • 개발한 EPS 포장상자가 사과의 신선도 유지효과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코자 사과를 포장하여 2$0^{\circ}C$에 저장하면서 골판지상자와 0.02와 0.04mm 두께의 LDPE필름, 기능성 MA필름과 50배로 발로시킨 EPS 상자에 사과를 15kg씩 포장하며 포장재간의 신선도 유지 효과를 비교하였다. 저장 40일 후 중량감소는 대조구는 5.7 %, EPS 상자는 0.5%의 중량감소가 나타났고, 비타민C도 2.06과 2.31mg%로 EPS 포장구가 높게 유지되고 있었다. 당도와 산도는 포장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부패의 경우 대조구는 상자당 3-5개과가 발생했으나 EPS포장구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관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포장 기술을 이용한 신선한 과실 및 채소류의 품질보존에 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Maintenance of Fresh Fruit and Vegetables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3-28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quality maintenance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with various quality preservatives at ambient and low temperatures. Ethylene(<1.0ppm) accumulated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Chinese cabbage using polyethylene film(60$\mu\textrm{m}$) caused quality deterioration such as yellowing and abscission. The addition of potassium permanganate reduced ethylene level and thus extended storage life of l00% at 20$^{\circ}C$ and 140% at 0$^{\circ}C$. To establish the storage conditions of minimally processed sit and vegetabl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various quality preservatives and packaging materials. Ceramic film(Zeolite 7%, 60$\mu\textrm{m}$) showed increasing storage life of 50%, reducing total microbial counts of 50% and keeping high appearance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pears stored at 20$^{\circ}C$ and 0$^{\circ}C$. Minimally processed Chinese cabbage treated with l% CaCl2 at 20$^{\circ}C$, and 1% CaCl2 and 1% NaCl at 0$^{\circ}C$ has a longer storage life of 90% with good maketable quality. Treatment of 1% NaCl for cut Asian penis appeared increased storage life of 100%, decreased cut surface browning and the best overall acceptability by a sensory panel.

  • PDF

민들레 추출액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y with Dandelion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영준;박현숙;이재상;박경숙;박성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3-43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delion leaf, root and whole part extrac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stored at $4^{\circ}C$ for 10 days. Four types of pork patties were evaluated: ice-water-added (T0), dandelion leaf extract (T1), dandelion root extract (T2) and dandelion whole part extract (T3). The pH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but increased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pH was highest in T0 during storage. The L value of T0 increased whereas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The a value de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a values for T1, T2 and T3 were higher than that of T0 during storage. The b valu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The TBARS in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values for T0, T1, T2 and T3 were 0.87, 0.29, 0.47 and 0.31 mg MA/kg, respectively,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VBN content value of T0 increased, but those of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storag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0 decreased, but those of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storage. Cooking loss increased during storage and that of T0 was higher than those of T1, T2 and T3. Hard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hil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creased during storage.

기공필름과 광물질 연입 필름 포장한 표고버섯의 MAP효과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Shiitake Mushroom Packed with Perforated Film and Ceramic Films)

  • 정문철;남궁배;이호준;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3
    • /
    • 2001
  • 광물질 연입필름 2종류(15%의 SiO$_2$ 계 LDPE, 10%의 zeolite계 LDPE와 기공필름 및 LDPE필름(두께 30$\mu\textrm{m}$)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MAP효과를 조사하고자, 표고버섯을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포장한 다음 2$0^{\circ}C$와 5$^{\circ}C$에 저장하면서 중량감소율, 표면색과 상품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표고버섯의 MAP시 중량감소율과 상품성에 미치는 포장방법의 영향은 표고버섯의 높은 생리특성으로 인하여 2$0^{\circ}C$에서는 인식할 수 없었으나 표면색의 경우는 5$^{\circ}C$의 저온보다는 2$0^{\circ}C$의 상온에서 그 차이가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MA저장 중 표면색은 SiO$_2$분말 연입필름과 Zeolite 연입필름이 효과적으로 유치할 수 있었으며 중량감소율은 LDPE 필름이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나, 포장 방법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포장지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가 버섯조직을 짓무르게 하여 갈변과 부패현상을 촉진하는 상품성지수는 포장방법에 따라 차이가 현격하였는데, SiO$_2$계 분말이 15% 혼입된 광물질연입필름이 효과적인 반면 U)PE 필름포장에서는 억제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zeolite 혼입필름과 기공필름은 포장방법간에 중간적인 수준이었다.

  • PDF

Polyethylene Film 두께에 따른 딸기의 MA(Modified Atmosphere) 저장 효과 (Effect of PE Film Thickness on MA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Strawberry)

  • 김종국;문광덕;손태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84
    • /
    • 1993
  • 딸기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PE 필름포장에 의한 저장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두께의 PE 필름에 딸기를 저온저장하면서 포장내부의 기체조성변화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그리고 여러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저장 초기에 급격히 변화하여 저장 14일 이후에는 $CO_2$농도 5~10%, $O_2$농도 1~3%를 유지하였다. 딸기의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은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으며 pH, 적정산도 및 당도는 저장 전기간을 통하여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PE 필름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PE 필름 포장에 의해 감소가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과육의 a value 역시 PE 필름 포장에 의하여 감소가 억제되었다. 딸기의 유리당은 glucose 와 fructose가 비슷한 함량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저장중 다소 감소하였으나 필름의 두께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sco-rb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및 pyruvic acid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으며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ascorbic acid는 저장중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oxalic acid와 tartaric aci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pyruvic acid는 다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유기산의 저장중 변화는 필름이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다. 저장을 위한 최적 필름두께는 0.08mm PE 필름으로 나타났다.

  • PDF

산, 염기 처리된 제올라이트와 결로 방지제를 함유한 기능성 MA포장재가 '후지' 사과의 선도유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emical and Anti-fogging Agent Treated MA Packaging Film on Freshness Extension of 'Fuji' Apples)

  • 박형우;류나희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94
    • /
    • 2013
  • 산, 염기 및 결로 방지 처리한 포장재가 '후지' 사과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산 제올라이트 분말소재를 산, 염기 처리하여 가공한 두께 30 ${\mu}m$의 필름에 수분응축 처리한 후 마스터뱃치 하여 생산한 개발포장구(FMA)에 후지사과를 20개씩 포장하여 $15^{\circ}C$, 상대습도 67%의 항온항습실에 150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50일, 90일, 120일 및 150일에 기호도, 중량, Vitamin C, 당도, 산도, 기체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품질유지가 가능한 기간은 대조구 L이 130일, 개발 포장구 NA는 170일로 나타나 40일 정도 품질유지기간이 대조구보다 길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저장 150일 후 중량 감소는 대조구 L은 1% 내외였고 개발 포장구 NA는 1.5%의 중량감소가 일어났다. Vitamin C 함량은 초기 5.24 mg/100g F.W.에서 저장 150일후 대조구 L은 2.09 mg/100g F.W였고 개발 포장구 NA는 2.72 mg/100g F.W.로 개발포장구 NA가 대조구 L보다 Vitamin C 잔존량이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저장 150일 후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며 산도는 개발포장구에서 더 높게 유지되고 있었으며 에틸렌가스의 경우 대조구 L은 192.2 ppm였고 포장구 NA은 141.4 ppm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서 개발포장구의 품질유지기간이 대조구보다 길게 나타난 것은 개발필름의 포장재내에 $O_2$ 농도는 대조구 L보다 높고 $CO_2$ 농도는 낮지만 에틸렌가스가 낮게 유지됨으로서 선도가 잘 유지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개발한 MA 저장용필름을 사과의 선도유지용 포장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반면 수분응축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수분응축억제 처리한 포장구에서 사과의 상품성에는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신선도 유지에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신선 농산물의 마스터 포장 시스템 (Master Packaging System of Fresh Produce)

  • 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14
  • 신선 농산물의 필름포장은 적정의 저온저장 시에는 적정 변형기체조건 유지로 품질유지가 양호하나,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판매유통단계에서는 적정조건의 유지가 어려워 품질손실이 발생한다. 저온저장과 판매유통단계에서 농산물 주위에 적정 변형기체(modified atmosphere, MA)조성을 유지하는 개별(1차)포장/2차 포장의 결합 및 해체 개념을 설계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이 최근에 제안되고, 단감, 큰느타리 버섯, 밤, 딸기에 대해서 적용된 바 있다. 온도에 따라 다른 농산물의 호흡과 포장의 기체이동 현상의 상호관계를 이용한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개념을 체계화하고, 적정 MA 유지를 위한 설계변수의 조합을 살펴보았다. 바람직한 포장기체조성을 형성 유지할 수 있는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수학적 모델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이점과 함께 적용을 위한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스터 포장 시스템의 적용 확대를 위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포장재가 의취청의 오이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Films on Quality of 의Chuichung의 Cucumbers during Storage)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8-251
    • /
    • 2000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ckaging films (functional MA films/FC30, FC50, MA film/0.03 mm LDPE, corrugated paperboard box/control) weight loss, firmness, total ascorbic acid, chlorophill and overall appearence were evaluated. Weight loss of cucumbers packed with FC30 and FC50 at 2$0^{\circ}C$ after 7 days were 1.0 and 0.6%, that of the control was 2.9%, those of LDPE was 0.5%. The firmness of FC30 and FC50 at 2 $0^{\circ}C$ after 7 days were 1.0 and 0.6%, that of the control was 2.9%, those of LDPE was 0.5%. The firmness of FC30-, FC50 and L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tal ascorbic acid contents (TAA) of cucumbers packed with control, LD, FC30 and FC50 box were 9.96, 10.86, 11.37 and 11.29 mg% after 7 days. TAA of FC box was 10%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Chlorophill content of FC boxes wase 16% higher than of the control. Overall appearence of cucumber packed with FC boxe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 PDF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 선도유지를 위한 플라스틱 용기 포장 효과 연구 (Applications of Functional Tray Form Packaging to Extend the Freshness of High-Quality 'Fuji' Apples)

  • 정대성;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17-823
    • /
    • 2009
  •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의 상온 저장에서의 호흡율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형적인 climacteric형 패턴을 보여 주었으며 저장 유통 중 선도유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LDPE 필름을 밀봉한 난좌형태의 포장 구조를 설계하여 저장 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 연구 결과 필름 밀봉 용기 포장 적용이 관행 난좌보다 신선도 유지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LDPE 필름 덮개로 밀봉한 난좌형태의 용기 포장은 낱개의 난좌컵 형태에 과실을 적용함으로써 포장된 과실의 호흡작용과 증산억제를 유도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MA 조건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우수 품질 과실에 대한 차별화된 포장재 용기 적용 연구는 기존 과실 포장재로 닥터의 품질 개선 및 상품성 효과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