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Shiitake Mushroom Packed with Perforated Film and Ceramic Films

기공필름과 광물질 연입 필름 포장한 표고버섯의 MAP효과

  • Published : 2001.03.01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type of ceramic film(15% SiO$_2$ incorporated LDPE, 10% zeolite incorporated LDPE), perforated film and LDPE film on freshness of shiitake mushroom, weight loss, surface color and marketability of mushroom were measured during MA storage at 5 $\^{C}$ and 20$\^{C}$. The effect of packaging films on weight loss and marketability index of shiitake mushroom at 20$\^{C}$ was negligible due to its rapid physiological changes. However, the effect of packaging films on surface color of shiitake mushroom was significant at 20$\^{C}$ storage, but not at 5$\^{C}$ storage. During MA storage of shiitake mushroon, discoloration were reduced effectively by ceramic films and weight loss were by LDPE film, but they had little difference between packaging 51m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ackaging films in marketability of mushroom induced by water vapor inside package and accelerate its spoilage and browning. Ceramic film(15% SiO$_2$ incorporated LDPE) showed best result to maintain marketability of shiitake mushroom and zeolite incorporated film, perforated film, LDPE film in order.

광물질 연입필름 2종류(15%의 SiO$_2$ 계 LDPE, 10%의 zeolite계 LDPE와 기공필름 및 LDPE필름(두께 30$\mu\textrm{m}$)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MAP효과를 조사하고자, 표고버섯을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포장한 다음 2$0^{\circ}C$와 5$^{\circ}C$에 저장하면서 중량감소율, 표면색과 상품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표고버섯의 MAP시 중량감소율과 상품성에 미치는 포장방법의 영향은 표고버섯의 높은 생리특성으로 인하여 2$0^{\circ}C$에서는 인식할 수 없었으나 표면색의 경우는 5$^{\circ}C$의 저온보다는 2$0^{\circ}C$의 상온에서 그 차이가 나타났다. 표고버섯의 MA저장 중 표면색은 SiO$_2$분말 연입필름과 Zeolite 연입필름이 효과적으로 유치할 수 있었으며 중량감소율은 LDPE 필름이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나, 포장 방법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포장지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가 버섯조직을 짓무르게 하여 갈변과 부패현상을 촉진하는 상품성지수는 포장방법에 따라 차이가 현격하였는데, SiO$_2$계 분말이 15% 혼입된 광물질연입필름이 효과적인 반면 U)PE 필름포장에서는 억제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zeolite 혼입필름과 기공필름은 포장방법간에 중간적인 수준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