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 storag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4초

Hygienic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film packaging on ginseng sprout for microbial safety

  • Jangnam Choi;Sosoo Kim;Jiseon Baek;Mijeong Lee;Jihyun Lee;Jayeong Jang;Theresa Le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32
    • /
    • 2024
  • This study evaluates the microbial safety of ginseng sprouts packaged in moss and a modified atmosphere (MA) film within Styrofoam boxes. Ginseng sprout samples were stored at 4℃ for seven days, and the total fungi and aerobic bacteria counts, relative humid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measured at 0, 1, 3, 5, and 7 days. During the storage period, both packaging treatments caused an increase in the total fungi and aerobic bacteria counts. However, by the seventh day, the ginseng sprouts packaged in the MA film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counts of total fungi (3.03 log CFU/g) and aerobic bacteria (7.32 log CFU/g) than those in moss (3.66 and 7.63 log CFU/g, respectively). Moss packaging alone resulted in the total fungi count reaching up to 3.36 log CFU/g, with the aerobic bacteria count consistently exceeding 7 log CFU/g,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hygienic management.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oisture content and relative humidity between the MA-film- and moss-packaged groups throughout stor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ctional MA film is a more hygienic packaging solution for ginseng sprouts than moss.

예냉 처리가 치콘의 MA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ooling Treatments on the Storability of Chicon during MA Storage)

  • 정현진;서현택;최인이;유태종;손진성;원재희;김일섭;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0-365
    • /
    • 2010
  • 본 연구는 예냉처리가 치콘의 MA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치콘의 예냉은 강제송풍 예냉처리에 빠르게 진행되어 품온이 예냉 목표 온도인 $2{\pm}1^{\circ}C$까지 저하되는데 소요시간이 강제송풍예냉이 자연통풍식의 1/6 수준이었다. 반냉각시간은 자연예냉이 3시간 21분, 강제통풍식이 1시간 17분이었다. 저장중 치콘의 생체중은 $5^{\circ}C$$10^{\circ}C$ 저장에서 모든 처리구가 0.5% 미만의 감소로 극히 적었으며 예냉시간이 짧았던 강제송풍예냉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저장중 포장재내 산소와 이산화탄소 그리고 에틸렌의 농도변화는 $5^{\circ}C$에 비해 $10^{\circ}C$에서 변화폭이 컸다. 예냉에 의한 호흡 억제 효과는 $5^{\circ}C$에서 나타나지 않았으나, $10^{\circ}C$에서 저장 9일 이후 대조구보다 낮은 이산화탄소와 높은 산소 농도로 확인되었다. 에틸렌은 예냉처리구가 저장 3일까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저장 6일부터는 처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 15일째 조사한 외관상 품질은 $5^{\circ}C$$10^{\circ}C$ 모두에서 대조구에 비해 예냉처리구에서 높게 유지되었는데, 예냉처리별로는 예냉기간이 휠씬 짧았던 강제송풍예냉에서 품질저하가 자연예냉 보다 더 컸다. 이는 6.0m/sec의 강한 송풍으로 치콘의 외옆 일부가 물리적 상처를 입었기 때문이라 판단되어 송풍속도 등에 대한 세밀한 추가 실험이 요구된다.

The Quality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Meat from Lambs Slaughtered at 50 and 100 Days of Age

  • Tanski, Zenon;Stanislaw, Milewski;Bozena, Zalesk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428-434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modified atmosphere (MA) packaged meat from Pomeranian rams slaughtered at 50 and 100 days of age. Determined: chemical compositi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meat, and the fatty acid profile of intramuscular fat. Meat from 100-d-old lambs was characterized by a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of dry matter, total protein and crude fat, a darker color and higher physiological maturity ($p\leq0.01$). Meat from younger lambs was marked by a better water-holding capacity ($p\leq0.05$), a lower energy value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dry matter, total protein and ash, and energy value was noted in MA-stored meat. Meat pH decreased over MA storage and the sensory properties deteriorated. The studied meat remained safe from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storage.

포장방법에 따른 한우 극상근(Supraspinatus Muscle)의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Supraspinatus M. of Hanwoo by Packaging Methods during Chilled Storage)

  • 정구용;정의룡;이현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9-47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우 앞다리살 부위육인 극상근(Supraspinatus m.)의 포장방법(랩포장, 진공포장 및 가스포장)에 따른 냉장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포장방법에 따른 pH 변화는 차이가 없었으며, VBN가는 가스포장구의 경우 저장 25일에도 17.65 mg%로 다른 포장구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포장감량은 진공포장구, 랩포장구, 가스포장구의 순으로 높았으며, 육색은 가스포장구가 저장기간 동안 안정적 육색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포장구 중 가스포장구의 경도가 저장 15일에 1.74 kg으로 랩포장구의 2.57 kg 보다 낮았다. 총균수는 랩포장구에서 저장 20일에 8.50 log CFU/g로 가식권에 벗어났으나, 가스포장구의 경우 저장 25일에도 7.41 log CFU/g로서 다른 포장구에 비해 다소 저장성이 지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진공포장구와 가스포장구는 랩포장구에 비하여 낮은 대장균군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우 극상근을 냉장 저장할 경우 가스포장 하는 것이 극상근의 품질 변화 없이 연도를 증진시키는 방법 이라 사료된다.

비천공 Breathable필름이 몇 가지 저장온도에서 '후지' 사과의 MA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Perforated Breathable Films on the Storability of 'Fuji' Apples in Modified Atmosphere Condition in the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 최인이;홍성미;정민재;백준필;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4
    • /
    • 2014
  • '후지' 사과의 MA 저장성 향상을 위해 저장 온도별로 적합한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종류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율은 모든 저장온도의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처리구에서 저장 최종일까지 약 2.0% 이하를 나타냈다. 포장내 대기조성으로 볼 때 $1^{\circ}C$에서 1,300cc 필름, $8^{\circ}C$에서 5,000cc 필름, 그리고 $20^{\circ}C$에서 10,000cc 필름이 최적 MA 조건에 가장 근접하였다. 저장 중 포장내 에틸렌 농도는 모든 저장온도에서 산소 투과도가 가장 높았던 40,000cc 필름 처리구가 낮게 유지되었다. 저장 최종일의 $1^{\circ}C$ 1,300cc 필름이 당도, 비타민 C 함량, 그리고 외관 품질이 우수하였고, $8^{\circ}C$ 5,000cc 필름이 당도와 이취 정도가 양호하였으며, 그리고 $20^{\circ}C$ 10,000cc 필름이 경도와 외관상 품질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포장내 대기조성과 과실의 내외적 품질을 비교한 결과 '후지' 사과의 MA 저장시 $1^{\circ}C$는 1,300cc 필름, $8^{\circ}C$는 5,000cc 필름, 그리고 $20^{\circ}C$에서는 10,000cc 필름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총 소유 비용 관점의 자산 투자 효율성 분석 (Total Cost of Ownership Perspective Asset Investment Efficiency Analysis)

  • 김창호;장대현;이양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1-262
    • /
    • 2013
  • 본 논문에선 장비의 성능향상 및 가격하락과 영향이 있는 MA(Merger and Acquisition)영역을 파악한다. 그 중 장비 교체 시 원가절감 효과가 가능한 영역,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의 As-is vs To-be 원가를 비교 분석한다. 그리하여 의사결정 근거로 활용한다.

  • PDF

포장재에 따른 탈삽감의 MA 저장 중 물리적 특성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astringent Persimmons during Modified Atmosphere Storage as Affected by Packaging Materials)

  • 장경호;이진만;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78-486
    • /
    • 2017
  • 탈삽된($CO_2$처리) 청도반시의 MAP저장에 따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적합한 조건을 규명하였다. 시료인 떫은감은 "청도반시"를 탈삽하여 사용하였으며, LDPE($60{\mu}m$), ceramic(30, $60{\mu}m$)필름을 사용하여 하였다. 저장온도는 $5^{\circ}C$에서 140일간 저장을 하면서 저장 조건에 대한 떫은 감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포장내 $CO_2$$O_2$의 농도는 저장 18일까지는 $CO_2$의 농도가 5.2%까지 증가하고 $O_2$농도는 6.7%까지 감소한 후 저장 말기까지는 거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되었다. 저장 중 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중량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ceramic $60{\mu}m$ 가장 낮은 중량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과육의 경도, 과피의 색도는 ceramic $60{\mu}m$ 포장군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 탄닌 함량, 가용성 고형성분은 포장조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에탄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함량변화의 경우 탈삽 직후 다소 상승 하다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탈삽감의 유통에 가장 적합한 포장군은 ceramic $60{\mu}m$ 필름으로 확인되었다.

봄배추의 전처리 및 포장방법이 저온저장 중 선도유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e-treatment and Packaging Method on Freshness Prolongation of Spring Kimchi Cabbage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 박세진;김지영;;김병삼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9-128
    • /
    • 2023
  • 봄배추 저장을 위한 최적의 전처리 및 저장 조건을 확립하고자 봄배추의 적입방향과 예건/예냉 처리 및 HDPE / PVC 필름을 이용한 파렛트 단위의 modified MAP 처리하여 봄배추를 저온저장고에 저장하면서 중량감모율, 정선손실율, 수분함량, 경도, 색도, 가용성고형물함량, 관능검사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조구와 비교 시 예건/예냉 및 MA 포장재 처리는 중량감모와 정선손실을 억제시켰는데 이는 전처리 및 포장 처리가 신선도 유지와 탈습 억제에 적절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의 경우 6주까지 판매가능한 marketable 상태를 유지하나 처리구의 경우 9주까지 5점 이상으로 장기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 저장 시 선도유지 효과와 작업성 및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품질에서 미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적입 방식 측면에서는 정방향으로 적입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검토되었다.

MA포장용기를 이용한 딸기 및 상추의 품질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and Safety of Strawberries and Lettuce Using MA Packaging Container)

  • 홍상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15
    • /
    • 2020
  • As of 2018, total yield of lettuce and strawberry amounted to 93,543 tons (representing 1.0 percent) and 183,639 tons (2.0 percent), respectively, among total yields worth 9,185,889 tons in South Korea. Lettuce is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numerous elements such as varieties, cultivation methods and pests during each growth phase (Lee et al., 1999). It is mainly cultivated in spring and fall. Especially due to respiration rate after harvest leading to reduced quality and poor storage, maintaining annual supply is unavailable (Jang et al., 2018). With the distribution of new varieties, forcing culture and indoor insulated facilities for plant cultivation during winter, strawberries are produced every year except for late summer and early fall. Due to active respiration, transpiration, soft flesh and high water content, the fruit is vulnerable to go bad and got rotten compared to other fruit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freshness due to the possibility of softening, discoloration and fungi (Lee et al., 2012). In this regard, developing improved storage and package techniques is needed to ensure maintaining quality and safety even just two to three days after harvest. In order to ensure improved quality and safety of strawberries and lettuce after harvest, the present study applied a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technology (Mostofi et. al., 2008). Going forward, it compared the quality and safety of the two products while being stored in a way that put them in an MAP-applied container and a plastic container at room temperature and 4 degree Celsius.

몇가지 저장온도와 비천공 Breathable 필름이 아위버섯(Pleurotus ferulae) 저장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perforated Breathable Films on the Shelf Life and Quality of Ferulae Mushroom (Pleurotus ferulae) during MA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 최인이;손진성;김영재;권태호;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1-266
    • /
    • 2012
  • 본 실험은 다양한 저장온도 조건에서 아위버섯에 적합한 MAP용 포장재 구명을 위해 수행하였다. 저장중 생체중 감소는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적었는데, 모든 온도 처리(1, 8, $24^{\circ}C$)에서 저장 종료일까지 1.5% 이하로 낮았다. 1저장에서는 산소투과율이 $1,300cc/m^2{\cdot}day{\cdot}atm$ 인 필름 처리구가 가장 큰 저장수명(42일)을 보였으며 저장중 포장내 산소/이산화탄소의 대기조성 조건도 가장 적합한 MA조건인 5%/15% 수준이었으나, 높은 에틸렌 농도와 이취를 보인 반면 3,000cc 처리구는 1,300cc 처리구와 비슷한 대기조성 조건을 갖추고 낮은 에틸렌 농도과 이취를 보였다. 따라서 $1^{\circ}C$에서는 1,300cc와 3,000cc 필름이 적합하였다. 저장중 대기조성이 필름처리간 차이가 없었던 $8^{\circ}C$ 저장에서는 에틸렌 농도가 두 번째로 낮았고 외관상 품질이 가장 높아 저장수명이 19일로 가장 길었던 3,000cc 필름이 적합하였다. 저장 온도가 높아 호흡이 급격히 빨라져 극도의 CA 조건이 만들어졌던 $25^{\circ}C$에서는 외관상 품질에서 가장 양호하였던 1,300cc 필름으로 적합하였다. 또한 온도별 저장수명이 $25^{\circ}C$에 비해 $8^{\circ}C$는 4배, $1^{\circ}C$는 9배나 연장되어 수확 후 저온유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