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

검색결과 79,115건 처리시간 0.085초

소나무(Pinus densiflora) 생육토양의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납과 CO2의 영향 (Effects of Pb and CO2 on Soil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Pinus densiflora-Lab)

  • 홍선화;김성현;강호정;류희욱;이상돈;이인숙;조경숙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51-558
    • /
    • 2006
  • 우리나라 산림의 대표적 인 침엽수인 소나무(Pinus densiflora) 생육 토양의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CO_2$와 납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군집 수준 기질 이용도를 평가하는 CLPP (community level rhysiological profiles) 방법과 165 rDNA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방법을 활용하여 토양 미생물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납 오염 토양(500 mg/kg-soil)과 비오염 토양에 2년생 소나무를 식재한 후, $CO_2$ 농도를 380 ppmv 혹은 760 ppmv으로 조절한 배양기에서 3개월간 생육시킨 후 6종류의 토앙 시료의 미생물 군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3개월 후 비오염 토양(CA-3M vs EA-3M)의 기질 이용도는 $CO_2$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납오염 토양(OB-3M vs EB-3M)의 경우에는 $CO_2$를 760 ppmv로 높인 토양 시료(EB-3M)의 기질 이용도가 높았다. 각 시료간의 기질 이용도를 이용하여 PCA를 수행한 결과, 각 토양시료의 미생물 군집은 납의 존재 유무에 따라 그룹화 되었다. 비오염 토양(CA-3M vs EA-3M))사이의 DGGE fingerprint 유사성은 56.3%, 납 오염 토양(CB-3M vs EB-3M) 사이의 DGGE fingerprint 유사성은 71.4%였다. 동일 $CO_2$ 농도 시료인 CA-3M과 CB-3M사이의 유사성은 53.3%, EA-3M과 EB-3M사이의 유사성은 35.8%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나무를 식재한 토양의 세균 군집 구조는 $CO_2$ 농도보다는 납 오염 여부에 의해 더 민감하게 특성화됨을 의미한다.

3GPP LTE-A 시스템 기반 사용자 특성에 따른 효율적 Random Access 과부하 제어 기술 및 M2M 그룹화 (Efficient Congestion Control Technique of Random Access and Grouping for M2M according to User Type on 3GPP LTE-A s)

  • 김정현;지순배;유철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48-55
    • /
    • 2015
  • 본 논문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Long Term Evolution-Advanced(LTE-A) 시스템을 기반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M2M 기기가 무수히 존재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제시한다. 특별히, 무수히 존재하는 M2M 기기들로 인한 랜덤 액세스 채널의 부족과 이로 인한 지연(latency)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2M 그룹화 기술에 사용자 특성별로 구별하여 허용 가능한 액세스 시도 확률을 차별적으로 제어한다. M2M 기기들을 그룹화 하여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시도하는 단말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획득함과 동시에 셀룰러(Cellular) 통신을 하는 단말기와의 충돌을 줄임으로써, 기존 이동 통신 단말과 M2M 기기들이 공존하는 시스템의 랜덤 액세스 평균 지연(average latency) 증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증명한다.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Cell Growth and Anthocyanin Production in Callus and Cell Suspension Culture of 'Sheridan' Grapes

  • Kim, Seung-Heui;Kim, Seon-Kyu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83-89
    • /
    • 2002
  • To establish in vitro mass production system of grape anthocyanin pigments through callus and cell suspension culture, the effects of nitrogen amount and the ratio of $NO_3^-$/$NH_4^+$ in the medium on cell growth and anthocyanin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Total nitrogen amount and the ratio of $NO_3^-$/$NH_4^+$ in the medium strongly affected anthocyanin production and cell growth. When $NH_4^+$ was fixed, the cell growth was promoted by 50 mM total nitrogen (20 mM $NO_3^-$ : 30 mM $NH_4^+$ ) than other nitrogen combinations, and was strongly inhibited when $NO_3^-$ was lacking (0 mM $NO_3^-$ : 60 mM $NH_4^+$ ) while anthocyanin production was increased. When $NO_3^-$ was fixed, the cell growth was promoted by 70 mM total nitrogen (40 mM $NO_3^-$ : 30 mM $NH_4^+$) than other nitrogen combinations, and was strongly inhibited when $NO_3^-$ was lacking (0 mM $NO_3^-$ : 60 mM $NH_4^+$ ) while anthocyanin production was increased. Cell growth was gradually increased by all nitrogen combinations, but anthocyanin production reached its peak on day 4 in culture. Anthocyanin content increased with decreasing cell density. Sucrose was rapidly hydrolyzed to fructose and glucose within 4 days. Glucose and fructose concentrations in the medium increased and peaked at the 4th day. The anthocyanin content of $NH_4^+$-free 2% sucrose media was 2 times (200 $\mu\textrm{g}$/g) higher than that of 1% sucrose. When $NO_3^-$ was lacking, the highest anthocyanin production was observed at 4% sucrose after 12 days of culture, and increased along with the sucrose concentration.

Risk factors for external root resorption of maxillary second molars associated with third molars

  • Choi, Jinwo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3호
    • /
    • pp.289-29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panoramic images compared to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maging for maxillary third molar (M3)-associated external root resorption (ERR),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ERR on panoramic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all patients who underwent panoramic imaging at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May to October 2019. In total, 397 cases of maxillary M3s in 247 patients(147 men and 100 women) were includ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ERR in panoramic images compared to CBCT images was evaluated using the chi-square test.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RR, dental records and panoramic findings were evalu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diagnostic accuracy of ERR on panoramic images was 0.79 compared to CBCT images (P<0.05). Superimposition of M3s onto second molars (M2) was associated with an approximately 33 times higher risk of ERR than separated M3s(P<0.05). Impacted M3s showed a 5 times higher risk of ERR than erupted M3s(P<0.05). Conclusion: ERR related to M3s is a common clinical condition, and superimposition of M3 onto M2 on panoramic images wa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ERR. It seemed that CBCT examinations for maxillary M3s might be indicated for ERR diagnosis especially if panoramic radiographs show superimposition of M3 onto M2. Impaction itself was also a risk factor, and it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기계화(機械化) 집재작업(集材作業)을 위한 노망정비(路網整備)에 관(關)한 연구(硏究)(II) - 적정임도간격(適正林道間隔) 및 임도밀도(林道密度) - (Studies on the Design of Forest Road Network for Mechanized Yarding Operations (II) - Optimal road spacing and density -)

  • 차두송;조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299-310
    • /
    • 1994
  •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군에 위치한 임업진흥촉진지역(林業振興促進地域)을 대상으로 총수확비용(總收穫費用)(임도개설비(林道開設費)+집재비(集材費))을 최소화하는 양방향(兩方向)-단계집재(段階集材) 및 이단계집재(二段階集材)를 위한 적정임도간격(適正林道間隔) 및 임도밀도(林道密度)를 산출하였다. 이때의 임도개설비(林道開設費)는 km당 천만원부터 6천만원까지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방향(兩方向)-단계집재(段階集材)에서는 케이블 크fp인이 적합하며, 적정임도간격(適正林道間隔)은 1,698m~4,192m,평균 3,087m이며, 임도밀도(林道密度)는 3.44m/ha~8.44m/ha, 평균 5.12m/ha로 산출되었다. 양방향(兩方向)-이단계집재(二段階集材)에서 중지형(中地形)은 중형집재기와 로깅부기의 조합기종이 적합하며 임도간격(林道間隔) 1,483m~3,481m, 평균 2,589m로서, 임도밀도(林道密度)는 4.05m/ha~9.46m/ha, 평균 5.90m/ha로 산출되었다. 또한 급지형(急地形)은 중형집재기와 진성윈치의 조합기종이 적합하며, 임도간격(林道間隔) 1,693m~3,982m, 평균 2,960m로서, 임도밀도(林道密度)는 3.68m/ha~8.64m/ha 평균 5.38m/ha로 산출되었다.

  • PDF

당근 종자 발아 촉진에 관한 연구 (3) 당근 종자의 발아에 있어서 몇가지 무기염류의 영향 (Studies on the Acceleration of Germination in Carrot Seed (3) Effect of some Inorganic Compounds on the Germination of Carrot Seed)

  • 권오용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2호
    • /
    • pp.1-6
    • /
    • 1971
  • When germination beds of carrot seeds were treated with either 0.01M or 0.05M concentrations of Ca(NO3)2, CaSO4, MgSO4, K2SO4 and KH2PO4, an acceleration in the germination rate was observed in the groups treated with 0.01M KH2PO4 and 0.05M MgSO4 and 0.05M Ca(NO2)3. In earlier work by the author with acetone a similar result was observed and reported. The pH range in these experiments was maintained between 5.0 and 6.0. It was found that the groups treated with 0.05M K2SO4, 0.05M Ca(NO3)2, 0.05M Ca(NO3)2, 0.05M MgSO4, 0.01M KH2PO4, 0.01M Ca(NO3)2 germinated earli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acceleration of the germintion rate varied with the inorganic compounds used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0.01M KH2PO4, 0.05M Ca(NO3)2, 0.05M K2SO4, 0.05M CaSO4 and 0.05M KH2PO4. As a result of these expriments, it occurs to the author that in the germination of carrot seeds some inorganic compounds appear to activate the osmotic function of carrot seeds causing acceleration in the germination rate.

  • PDF

배양액 내의 황산이온 농도가 참쑥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lfate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Artemisia mongolicar var. tenuifolia)

  • Lee, Yun-Jeong;Park, Kuen-Woo;Suh, Eun-Joo;Cheong. Jin-Cheol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61
    • /
    • 1998
  • 본 실험은 배양액 내의 황산이온이 참쑥(Artemisia mongolica var. tenuifolia)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황산이온은 0, 0.5, 1, 2, 3mM의 농도로 처리되었는데 양액은 벨기에의 채소연구소에서 허브용양액으로 개발된 양액조성을 변형하여 이용하였다. 참쑥의 생육은 일반적으로 3mM 처리에서 좋았으며 건물률 또한 3mM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배양액내의 황산이온 농도가 증가할수록 참쑥의 엽록소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특히 엽록소 a의 함량이 b함량에 비해 증가의 폭이 컸다. 참쑥의 무기물 함량은 배양액내의 황산이온 농도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조직내 Ca의 함량은 3mM 처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식물에 의한 황산이온의 흡수는 배양액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는데 2mM까지는 서서히 증가 하다가 3mM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1mM 황산이온 처리에서 정유의 함량은 가장 높았으나 그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할 경우 정유의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 PDF

울산 대기 중 중금속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the Ambient Air of Ulsan Area)

  • 문지용;김영복;이지영;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442-45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3월부터 9월까지 울산지역의 대기 중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중금속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그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하였으며, 중금속(크롬, 구리, 아연, 카드뮴, 니켈, 비소, 그리고 납)에 대한 분석은 유도결합 플라스마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대기 중 미세 먼지의 최대 양은 $85.6{\mu}g/m^3$로 타났으며 평균은 $37.1{\mu}g/m^3$였다. 각 중금속의 최대 농도는 철 $2.5{\mu}g/m^3$ (여천동), 아연 $0.41{\mu}g/m^3$ (남목2동), 카드뮴 $0.061{\mu}g/m^3$ (여천동), 납 $0.20{\mu}g/m^3$ (여천동), 니켈 $0.037{\mu}g/m^3$ (여천동), 구리 $0.88{\mu}g/m^3$ (야음동), 크롬 $0.042{\mu}g/m^3$ (야음동), 그리고 비소는 $0.015{\mu}g/m^3$ (온산)를 나타냈다. 중금속 농도 사이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남목2동에서 니켈과 아연이 상관계수 0.87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건조에 의한 준설 매립 지반에 물리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by Drying)

  • 윤용한;김원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6-43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ways in which drying improves and develops dredged soils which exist widely in the lowlands of Korea. Before drying there were large variations in the fundament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collected from different places. In the sample soils,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d gradually with an increase in bulk density with the exception that in air-dried soils a reverse trend was observed. Also in the sample soils, the sedimentation volume and the consistency limit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decrease in soil water content after the air-drying treatment. The porosity of the sample soils decreased from $0.67{\sim}0.87m^3/m^3\;to\;0.58{\sim}0.66m^3/m^3$ and the liquid-phase range decreased from $0.41{\sim}0.83m^3/m^3\;to\;0.29{\sim}0.71m^3/m^3$. The solid-phase range of sample soils increased $0.13{\sim}0.33m^3/m^3\;to\;0.24{\sim}0.37m^3/m^3$ same as above with air-drying treatment. In conclusion the air-drying treatment caused an irreversible effect on som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ly,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air-drying treatment on these properties are considered to be resulted from irreversible changes in the structural status of the sample soils.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림프아구양 B 세포주(BL2M3)의 autocrine 증식 (Autocrine Growth of Bovine Leukemia Virus Infected-Lymphoblastoid B-Cell Line, BL2M3)

  • 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89-798
    • /
    • 1995
  •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 세포주(BL2M3 및 BL312)의 배양상층액에 대한 자기세포들의 증식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자기세포인 BL2M3세포에 첨가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것은 배양 4-5일차, 배양상층액의 첨가농도는 50-60%,세포수는 5x$10^4$-5x$10^{5}$ /ml에서 최적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우태아혈청(FBS) 무첨가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BL2M3세포는 동일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한편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BL312세포에 첨가했을 때는 BL2M3세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또한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은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해서도 pokeweed mitogen(PWM)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PWM자극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상층액은 BL2M3 및 BL312세포에 대해서 전혀 증식을 유도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세포주 특히 BL2M3세포는 세포자신이 증식인자를 분비하고 그것과 반응하여 증식하는 소위 autocrine growth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