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

검색결과 54,029건 처리시간 0.067초

식생에 의한 하안 퇴적과 침식 경감 (Deposition and Erosion Relief of Riverfront by Vegetation)

  • 김진홍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2호
    • /
    • pp.154-1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지조사를 통해 식생의 하안 퇴적과 침식 경감을 판단하였다. 달뿌리풀은 임계유속 1.0 m/s-1.2 m/s을 기준으로 0.2 m 정도의 하안 퇴적과 0.3 m-0.4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갈대는 임계유속 0.6 m/s-0.7 m/s을 기준으로 0.1 m-0.4 m의 하안 퇴적과 0.2 m-0.3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갯버들은 임계유속 1.2 m/s-1.4 m/s을 기준으로 0.1 m-0.2 m의 하안 퇴적과 0.4 m-0.5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물억새는 임계유속 0.6 m/s-0.7 m/s을 기준으로 0.1 m-0.4 m의 하안 퇴적과 0.1 m-0.2 m의 침식 경감 기능을 나타내었다. 조사 대상 식생 중 갯버들이 가장 높은 하안 침식 경감 기능을, 물억새가 가장 낮은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하였다. 그러나 현지조사 결과 대상 식물종 모두 하안 퇴적 및 침식 경감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안정하도 형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ON THE CHARACTERISTIC S-AUTOMATA

  • PARK CHIN HO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7권1_2_3호
    • /
    • pp.779-786
    • /
    • 2005
  • In this paper we shall discuss some propertie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 S-automaton $_x(S)_M$, using the fact that ${\mu}_S$ is an equivalence relation on M. When $L_{m}:S{\rightarrow}M$ is a left translation and $L_{M}$ is a collection of $L_{m}'s$, we shall show $_x(S)_{M}{\cong}L_{M}$. If S is commutative, we have $_x(S)_{M{\times}N{\cong}L_{M{\times}N}$. Moreover when M and N are perfect, we have $L_{M{\times}N}{\cong}L_{M}{\times}L_{N}$ and $_x(S)_{M{\times}N}{\cong}_x(S)_{M}{\times}_x(S)_N$.

칠갑지 숭상에 의한 청양 도심하천유량 증가 효과 (Increasing Effect of Urban Instream flow in Cheongyang County by Heightening Chilgab Reservoir)

  • 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107-2111
    • /
    • 2009
  • 인근의 저수지의 높이를 높여 도심구간의 하천 유량이 얼마나 증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천 상류에 위치한 유역면적 65.8 $km^2$인 청양의 도심하천 위치에서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유량을 모의하고, 목표유량을 0.31 $m^3/s$로 설정하여 상류에 위치한 유역면적 17.5 $km^2$, 저수량 512만 $m^3$인 칠갑지의 숭상으로 방류량 증가에 따른 하천유량의 증가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칠갑지 없는 경우 청양 도심하천 유황은 연평균하여 풍수량 1.49 $m^3/s$, 평수량 0.44 $m^3/s$, 저수량 0.20 $m^3/s$, 갈수량 0.16 $m^3/s$로 분석되었으며, 목표유량 0.31 $m^3/s$보다 0.15 $m^3/s$ 적게 나타났다. 둘째, 칠갑지로부터 682 ha의 논에 관개용수를 공급하는 경우 용수공급량/유역면적은 453.9 mm, 단위유역 용수공급량/강우량 비율은 39.1 %, 용수공급량/유입량 비율은 96.5 %, 용수공급량/저수량 비율은 163.7 %, 유입량/저수량 비율은 226.5 %였으며, 이수안전도는 일단위 52.4 %, 일단위 96.9 %였다. 셋째, 현재 규모의 칠갑지 운영을 고려한 청양 도심하천의 유황은 연평균하여 풍수량 1.40 $m^3/s$, 평수량 0.42 $m^3/s$, 저수량 0.19 $m^3/s$, 갈수량 0.16 $m^3/s$로 분석되어 갈수량은 칠갑지가 없는 경우와 같게 나타났다. 넷째, 칠갑지 규모를 5 m 더 높인 경우 청양 도심하천의 유황은 풍수량 1.40 $m^3/s$, 평수량 0.43 $m^3/s$, 저수량 0.24 $m^3/s$, 갈수량 0.20 $m^3/s$로 분석되어, 목표유량 0.31 $m^3/s$보다 0.11 $m^3/s$ 적게 나타났다. 다섯째, 칠갑지 규모를 10 m 더 높인 경우 청양 도심하천의 유황은 풍수량 1.42 $m^3/s$, 평수량 0.47 $m^3/s$, 저수량 0.27 $m^3/s$, 갈수량 0.23 $m^3/s$로 분석되어, 목표유량 0.31 $m^3/s$보다 0.08 $m^3/s$ 적게 나타났다. 여섯째, 칠갑지 규모를 15 m 더 높인 경우 청양 도심하천의 유황은 풍수량 1.43 $m^3/s$, 평수량 0.47 $m^3/s$, 저수량 0.27 $m^3/s$, 갈수량 0.23 $m^3/s$로 분석되어, 10 m 높인 경우와 같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칠갑지 규모를 높여 하천유량의 증가효과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최적규모 결정을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족유량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항공우주 시스템 개발용 M&S의 VV&A: M&S 수명주기 모델 및 개발 패러다임 제안 (M&S VV&A for Aerospace System Development : M&S Life-Cycle Model and Development Paradigm)

  • 김창주;이도현;허성욱;박상선;조인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08-516
    • /
    • 2017
  • 항공우주 시스템 개발에 있어 M&S (Modeling and Simulation)의 광범위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고 인증(Certification) 혹은 인정 (Accreditation)을 통해 부적절한 M&S의 사용으로 인한 사고나 위험을 제도적으로 방지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된 M&S의 VV&A (Verification, Validation, and Accreditation) 활동을 다루었다. 항공우주 M&S는 항공우주시스템 개발에 활용을 목적으로 하고 대부분 물리법칙 기반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시제제작 후 검증용 데이터가 비행시험을 통해 최종 확보된다는 점에서 여타의 M&S와는 다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M&S 개발과 VV&A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항공우주 시스템 개발에 적합한 M&S의 수명주기 모델과 개발 패러다임을 다양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제안하였다.

국방 M&S VV&A 적용 및 발전방안 연구(시험평가를 위한 M&S를 중심으로) (A Study on Application and Promotion of DM&S VV&A(Focused on M&S for Test and Evaluation))

  • 김형현;이창희;조내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57-164
    • /
    • 2009
  • 1980년대 이후로 컴퓨터 산업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M&S 사용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M&S를 사용하면 개발비용, 개발 기간 등을 단축시킬 수 있고, 현실적으로 시험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M&S를 통하여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중요한 전제조건이 있다. 그것은 개발 중에 있거나 사용 중에 있는 M&S를 믿을 수 있는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VV&A 핵심개념과 국방분야 M&S 적용 및 VV&A 사례 등을 고찰하고, VV&A 적용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Substrate Culture)

  • 노미영;배종향;이용범;박권우;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1
    • /
    • 1995
  •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묘들은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의 각기 다른 배양액농도로 재배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의 농도로 옮겨져 재배되었다. 육묘기 때에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3.0mS/cm로 높임에 따라 유묘의 광합성속도는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0.5-3.0mS/cm 범위 이상의 농도에서는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경경 및 지상부 건물중은 펄라이트에서는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5mS/cm로 높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미클라이트에서는 2-5mS/cm에서 높았으며, 피트모스에서는 3mS/cm일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묘의 초기생장에 대한 배지별 적정배양액농도는 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펄라이트에서는 3-5mS/cm, 버미클라이트와 피트모스에서는 각각 2-5mS/cm, 3mS/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후에 배양액농도를 1mS/cm에서 3mS/cm로 높임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육묘기와 정식 후에 계속하여 5mS/cm의 고농도로 재배한 것들의 건물중은 단지 조금 증가하였다.

  • PDF

유도무기체계 RAM분석을 위한 ILS M&S 설계 (Design of ILS M&S for RAM Analysis in Guided Weapon System)

  • 이용빈;이동욱;이주형;엄천섭;박장원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9-29
    • /
    • 2015
  • 국방분야에서 M&S 기법은 분석, 훈련, 획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무기체계의 종합군수지원(ILS)요소 개발을 위한 RAM분석 시 M&S 기법을 활용하면 수리적인 기법만으로는 분석하기 어려운 시스템의 다양한 변수와 제약사항을 고려한 분석이 가능하다. 무기체계의 RAM분석을 위한 ILS M&S도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M&S의 목적 설정, 무기체계의 특성 및 유사 M&S Tool 기능 분석 등의 활동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현실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용이한 형태의 수학적, 논리적 언어로 모델링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OO유도무기체계'의 배치부터 폐기 시까지 발생하는 운용, 저장, 점검, 고장발생, 정비 등 제반 군수지원활동을 모의하여 유도무기체계의 수명주기 동안의 RAM 특성을 예측, 분석할 수 있는 M&S 도구의 모델링 과정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는 유사 M&S 도구의 개발 시 참고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청천댐 주변의 천부 P파 및 S파 속도구조 (Near-surface P- and S-wave Velocity Structures in the Vicinity of the Cheongcheon Dam)

  • 박영환;김기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3호
    • /
    • pp.109-118
    • /
    • 2013
  • 높이 23 m인 보령시 청천댐 상부와 인근에서 5 kg 해머를 이용하여 소규모 굴절법 및 표면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인공 지진파의 수직 및 수평성분을 초동주시 토모그래피 및 레일리파 분산곡선 역산을 통하여 천부 P파속도(${\nu}_p$)와 S파속도(${\nu}_s$) 구조를 파악하였다. 중생대 퇴적암질 기반암의 평균 ${\nu}_p$${\nu}_s$는 댐마루 30 m 깊이에서 각각 1650 m/s와 950 m/s, 하류쪽 댐체 끝 지점 10 m 깊이에서 각각 1650 m/s와 940 m/s로 분석된다. 이 층들의 동포아송비는 0.24 ~ 0.25의 범위로, 고화된 퇴적층의 값과 일치한다. 댐체로부터 152 m 하류지점의 깊이 45 m 시추공 부근에서의 SH파 굴절법 토모그램은 10 ~ 12 m 깊이에 평균 vs가 870 m/s인 임계굴절면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 지역에서는 덮개층의 ${\nu}_p$${\nu}_s$가 각각 500 m/s와 200 m/s인 상부층과 깊이에 따라 속도가 거의 선형으로 증가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등천 수원확보 규모와 하류 하천유지유량의 상관성 (Increase of Downstream Minimum Flow Followed by Increase of Water Storage Size in Yudeungcheon Upstream)

  • 노재경;김용국;이재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85-293
    • /
    • 2010
  • To secure instream flow at the Yudeung urban stream reach of Daejeon city in South Korea, Yudeung upstream diversion was designed with total water storage of $59{\times}10^4m^3$, and the upstream Seongol reservoir was planned to raise the bank with various sizes. Downstream streamflows were simulated by considering outflows from upstream diversion and reservoir, and after then flow dura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flows of no reservoir condition. In case of no diversion or reservoir upstream, flow durations were $1^{st}$ flow of $84.72m^3/s$, $95^{th}$ flow of $2.10m^3/s$, $185^{th}$ flow of $0.92m^3/s$, $275^{th}$ flow of $0.42m^3/s$, and $355^{th}$ flow of $0.31m^3/s$. In case of upstream diversion, flow durations were $1^{st}$ flow of $94.38m^3/s$, $95^{th}$ flow of $2.96m^3/s$, $185^{th}$ flow of $1.22m^3/s$, $275^{th}$ flow of $0.50m^3/s$, and $355^{th}$ flow of $0.35m^3/s$. The increase flow rates were $0.04m^3/s$ in $355^{th}$ flow, $0.08m^3/s$ in $275^{th}$, and $0.30m^3/s$ in 185th. In case of Seongol reservoir with effective storage capacities of $365{\times}10^4m^3$, $544{\times}10^4m^3$, $750{\times}10^4m^3$, and $992{\times}10^4m^3$, flow durations were $85.5{\sim}83.9m^3/s$ on $1^{st}$ flow, $2.85{\sim}2.57m^3/s$ on $95^{th}$ flow, $1.16{\sim}1.27m^3/s$ on $185^{th}$ flow, $0.64{\sim}0.99m^3/s$ on $275^{th}$ flow, and $0.56{\sim}0.94m^3/s$ on $355^{th}$ flow. The increase flow rates were $0.25{\sim}0.63m^3/s$ in $355^{th}$ flow, $0.22{\sim}0.57m^3/s$ in $275^{th}$, and $0.24{\sim}0.35m^3/s$ in $185^{th}$. The more the sizes of upstream reservoirs increased, the $1^{st}$ and $95^{th}$ flows decreased in whic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ere 0.92, 0.99, respectively and the $185^{th}$, $275^{th}$, and $355^{th}$ flows increased in whic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ere 0.93 to 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