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sinensis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34초

LC-MS/MS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바이칼린, 엘레우테로사이드 E, 리구스틸라이드 동시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Determination of Baicalin, Eleutheroside E, and Ligustilide by LC-MS/MS in Raw Materials of Health Functional Foods)

  • 금은희;정소영;이진희;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3-198
    • /
    • 2017
  •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중 baicalin, eleutheroside E, ligustilide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LC-MS/MS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동시분석할 수 있는 시험법을 확립하였으며,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r^2$ > 0.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고, baicalin, eleutheroside E, ligustilide에 대한 정량한계는 각각 $39.3{\mu}g/L$, $106.7{\mu}g/L$, $76.1{\mu}g/L$이었으며, 검출한계는 각각 $13.0{\mu}g/L$, $35.2{\mu}g/L$, $25.1{\mu}g/L$이었다. 또한 평균 회수율은 각 성분에 대해 108.0~109.9%, 99.8~101.3%, 91.4~97.2%로 나타났으며, 반복정밀도는 상대표준편차 5%이하, 실험실간 재현성은 9%이하로 나타나 정확성, 재현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기준에 모두 적합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개발된 분석법은 향후 건강기능식품 중 baicalin, eleutheroside E, ligustilide를 동시분석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te season commercial mosquito trap and host seeking activity evaluation against mosquitoes in a malarious area of the Republic of Korea

  • Buekett, Douglas-A.;Lee, Won-Ja;Lee, Kwan-Woo;Kim, Heung-Chul;Lee, Hee-Il;Lee, Jong-Soo;Shin, E-Hyun;Wirtz, Robert-A.;Cho, Hae-Wol;Ckaborn, David-M.;Coleman, Russel-E.;Kim, Wan-Y;Klein, Terry-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45-54
    • /
    • 2002
  • Field trials evaluating selected commercially available mosquito traps variously baited with light, carbon dioxide, and/or octenol were conducted from 18-27 September 2000 in a malarious area near Paekyeon-ri (Tongil-Chon) and Camp Greaves in Paju County, Kyonggi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host-seeking activity for common mosquito species, including the primary vector of Japanese encephalitis, Culex tritaeniorhynchus Giles. was determined using hourly aspirator collections from a human and propane lantern-baited Shannon trap doting hours when temperatures exceeded $15^{\circ}C$.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and number of each species captured during the test was compared using a block desig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he total number of mosquitoes collected, such that, the Mosquito MagnetTM with octenol > Shannon trap > ABC light trap with light and dry ice > Miniature Black Light trap (manufactured by John W. Hock) $\geq$ New Jersey Trap > ABC light trap with light on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s collected among trapes were noted for several species including: Aedes vexans (Meigen), Anopheles lesteri Baisas and Hu. An. sinensis Weidemann, An. sineroides Yamada, An. yatsushiroensis Miyazaki. Culex pipiens pallets Coquillett L., Cx. orientalis Edwards and Cx. tritaeniorhynchus. Host-seeking activity for most common species showed a similar bimodal pattern. Results from these field trap evaluations can significantly enhance current vector and disease surveillance efforts especially for the primary vector of Japanese encephalitis, Cx. tritaeniorhunchus.

경남 의창군 주남저수지산 담수어의 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the fresh-water fish from Chunamchosuchi (pond), Uichang-gun, Kyongsangnam-do, Korea)

  • 손운목;최연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65-170
    • /
    • 1997
  • 1995년 11월에서 1996년 5월 사이에 경상남도 의창군 동면에 위치한 주남저수지에서 담 수어를 포획하여 흡충류 피낭유충 감염상황을 조사하였다. 큰납지리는 조사한 20마리 중 8마리 (40.0%)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1.9개가 검출되었고 일본극구흡충. 동양배 반흡충 중구흩충류. 메기장흡충 및 미동정 극구흡충의 피낭유충이 각각 검출되었다. 붕어에서는 동f:t배반흡충 메기장흡충 및 미동정 극구흡층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백조어는 조사한 20마리 모두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31 7개가 검출되었고. 동양배반흡충. 중구흡충류 및 미동정 극구흡충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치리에서는 조사한 45마리 중 31마리(68.9%)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15.3개가 검출되었고. 동양배반흡충 중구흡충류 및 메기 장흡충 등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참붕어는 조사한 25마리 중 21마리(84.0%)에서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감염 어체당 평균 73.0개 검출되었고. 동양담날흡충. 일본극구흡충. 동양배반흡충 중 구흡충류. 닭주걱흡충 메기장흡충 및 미동정 극구흩충 등의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 로 주남저수지산 담수어에 동양배반흡충, 닭주걱흡충, 동양담낭흡충 일본극구흡충 및 중구흡충 등의 조류 기생 흡충류의 피낭유충이 고도로 감염되어 있음을 알았고. 참붕어. 치리, 백조어. 큰 납지리 등에는 간흡충의 피낭유충이 다수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국립공원 덕유산 능선부 등산로 주변 잡초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a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the Ridge of Deogyusan National Park)

  • 안영희;정연택;이성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1-196
    • /
    • 2004
  • 국립공원 덕유산 일대에는 한국의 특산식물 및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이 흔히 분포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방계 식물과 남방계 식물이 교차하여 나타나는 식물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주변 경관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들의 탐방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탐방은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변 식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훼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등산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해 2003년 7월에서 2003년 8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등산로 주변에 형성된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분석하였다. 등산로 주변 잡초 군락은 8군락 4하위 단위로 구분되었다: A. 질경이군락, A-a. 길뚝사초하위군락, A-b. 쑥하위군락, B. 조릿대군락, B-a. 대사초하위군락. B-b. 박새하위 군락, C. 산딸기군락, D. 비비추군락. E. 미역줄나무군락, F. 억새군락 G. 지리대사초군락, H. 조록싸리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식물의 종류는 34과 83속 12변종 92종 총 104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출현 식물은 질경이, 쑥, 산딸기, 조릿대, 억새 등 주로 호광성이며 답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 제514호 영덕 도천리 도천숲의 생태계 현황 및 수목 생육 특성 - 식물생태계 현황을 중심으로 - (Tree Growth and Ecosystem Conditions of Docheon Forest (Natural Monument No. 514) in Docheon-ri, Yeongdeok - Focusing on Plant Ecosystems -)

  • 김동욱;허복수;이승주;김효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122-137
    • /
    • 2011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덕군 남정면 도천리 75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영덕 도천리 도천숲(2009년 12월 30일 천연기념물 제154호 지정)을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여 도천숲 전체($19,064m^2$)의 정밀한 생태계 현황 및 수목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수림지의 토양환경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일부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림지 내 분포하고 있는 수목은 총 503개체이며 수림지의 주요 구성수종은 느티나무, 팽나무, 말채나무, 고욤나무, 시무나무 쉬나무의 6종이었다. 특히 느티나무, 팽나무, 말채나무는 70cm 이상의 대경목에서 10cm 미만의 어린 수목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어 초기 수림지의 조성 당시부터 현재까지 수림지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수종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출현한 야생동물은 야생조류 18과 20종 95개체, 포유류 1종, 파충류 1종, 양서류 1종이었으며 천연기념물 제327호인 원앙 1개체가 사체로 관찰되었다. 수림지 내 대표 수종의 연간 직경생장량 분석 결과 연간 평균 직경생장량은 2.3mm이었다. 교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수목의 평균 수령은 약 101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수림지 내 최고령 수목의 수령은 약 300~400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영덕 도천리 도천숲(천연기념물 제514호)의 지속가능한 관리계획 수립 및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수림지의 훼손시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동습지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The Ichthy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 at Wondong Marsh in the Kyeongnam Province, Korea)

  • 양홍준;금지돈;이용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61-266
    • /
    • 2001
  • 낙동강 하류에 위치하는 경남 양산시 원동 배후습지의 어류를 2000년 6월부터 8월까지의 3차에 걸쳐 현장조사, 문헌 및 탐문조사를 수행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조사방법을 통해 확인된 어류는 13과 32속 37종이었으나 현지조사에서 채집 또는 관찰에 의해 확인된 어류는 8과 22속 24종이었다. 30여년 전에 인위적으로 도입된 M. salmoides가 최근전국 각지의 하천에서 번성하고 있는데 본 조사지역인원동습지에서도 이 종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현지조사에서 서식이 확인된 24종 중에서 Z. platypus (23.2%), S. gracilis majimae (14.2%), M. salmoides (9.6%), C. auratus (8.3%) 및 P. herzi (8.3%), 등 4종은 모든 조사정점에서 확인되었으며 출현빈도도 높았다. 한국특산어류는 S. variegatus wakiyae, S. chankaensis tsuchigae, S. gracilis majimae, M. yaluensis, C. herzi 및 O. platycephala 등 6종이고 외래종은 L. macrochirus와 M. salmoides였다. 조사지역의 어류군집을 분석한 결과 다양성과 균등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우점도는 낮게 나타났다. 또 각 조사정점 간에 어종의 유사성은 0.55 이상으로서 중간등급이었다.

  • PDF

신세뇨관(腎細尿管) 상피세포(上皮細胞)에서 산화(酸化)로 유발(誘發)된 apoptosis에 대한 호도약침액(胡桃藥鍼液)의 방어효과(防禦效果) (Protective effect of Juglans sinensis Dode extract (JS) on oxidant-induced apoptosis in renal epithelial cells)

  • 박인범;안창범;장경전;송춘호;윤현민;김철홍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12
    • /
    • 2004
  • Objectiv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ole of lipid peroxidation in oxidant-induced apoptosis and effect of JS on the apoptosis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Methods : Exposure of cells to 0.1mM tBHP for 2hr did not induce apoptosis, but subsequent incubation in normal culture medium for 18hr after tBHP treatment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which is dependent of tBHP concentration. Results : JS decreased tBHP-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a dose-dependent fashion and at concentrations higher than 0.01 mg/ml completely prevented the apoptosis. tBHP-induced apoptosis was prevented by the lipid soluble antioxidant N,N'-diphenyl-p-phenylenediamine (DPPD) and water-soluble antioxidant Trolox. tBHP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which was inhibited by JS and DPPD. tBHP-induced DNA damage was prevented by JS and DPPD.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BHP induces apoptosis through a lipid peroxidation-dependent mechanism and JS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apoptosis by preventing peroxidation of membrane lipids.

  • PDF

Microstroma juglandis에 의한 호두나무 흰곰팡이병 발생 (Occurrence of Downy Leaf Spot on Juglans regia Caused by Microstroma juglandis in Korea)

  • 이상현;이승규;박지현;조성은;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86-390
    • /
    • 2011
  • 2011년 6월에 김천과 무안의 호두나무 재배지에서 잎에 노균병 병징과 유사한 증상이 관찰되었다. 병든 잎의 뒷면에는 다각형의 병반에 흰색의 곰팡이가 눈꽃처럼 형성되었고, 상응하는 잎의 앞면에는 퇴록 부분이 생겼다. 병세가 진전되면서 병든 조직은 붕괴되었고 나중에는 괴사되었다. 이 병의 원인균은 형태적 및 배양적 특징으로 보아 Microstroma juglandis로 동정되었다. 또한 균주의 ITS rDNA 염기서열을 GenBank에 등록된 M. juglandis의 자료와 비교하여 100%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호두나무 묘목에 병원성 검정을 실시하여 코흐의 원칙을 만족시켰다. 이 병은 지금까지 북미, 유럽, 오세아니아 그리고 서아시아(인도, 파키스탄, 터키)에서 보고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는 이 병을 처음으로 보고하며, 병명은 '호두나무 흰곰팡이병'으로 제안한다.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es of Nutraceutical Tea by Leaves and Flowers of Domestic Camellia(Camellia japonica)

  • Lee, Sook-Young;Cha, Young-Ju;Lee, Jang-Won;Hwang, Eun-Ju;Kwon, Su-Jung;Cho, Su-I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48-49
    • /
    • 2003
  • This project was conducted to development several camellia tea mixed herb teas having any physiological effects. Leaves of tea tree contain many compounds, such as polysaccharides, volatile oils, vitamins, minerals, purines, alkaloids(eg. caffeine) and polyphenols(catechins and flavonoids). Although all three tea types(green, oolonr and black) have antibacterial and free radical capturing(antioxidizing) activities, the efficacy decreases substantially the darker the variety of tea is. This is due to lower contents of anti-oxidizing polyphenols remaining in the leaves. Unlike tea tree(Camellia sinensis), the biochemical features and effects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are not well known. Fresh mature leaf of sasanqua camellia(C. sasanqua), roasted young leaf tea(C. japonica) and fresh mature leaf and bark of camellia ha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 vulgaris and B. subtilis. In antifungal activity bioassay, young leaf roasted teas of camellia and sasanqua camellia had high activity against C. albicans and T. beigelil. Plant extracts from Camelia japonica had higher inhibitory activity against fungi than against bacteria. In cytotoxic effect against human acute myelogenous leukaemia cell extracts including fresh leaf(200$\mu\textrm{g}$/m1), bark(230$\mu\textrm{g}$/ml) and flower tea (320$\mu\textrm{g}$/m1)inhibited growth of AML cells.(중략)

  • PDF

보이차잎 항산화 물질추출에 메카노케미스트리 전처리 효과분석 (Effect of the Mechanochemical Pretreatment on Antioxidant Material Extraction from Pu'er Tea Leaf (Camellia sinensis var. assalnlca))

  • 박금주;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3-13
    • /
    • 2011
  • 보이차의 주요산지는 중국 운남성이며 특히 란창강 유역이 그 중심지이다. 천연 사포닌과 미네랄류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지방의 용해, 다이어트 효과, 소화 촉진, 정장 작용, 숙취 해소, 위가 더부룩할 증상 개선, 혈당치 상승 억제, 혈액 순환 촉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또한, 면역력 강화 효과와 노화예방, 암 예방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이차의 기능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메탄올 또는 에탄올 용매에 의하여 추출한다. 용매에 의하여 추출하기 전에 메카노케미스트리 분쇄기술을 적용하여 전처리하면 재료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부분적으로 화학적 성분을 변화시켜 기능성 물질의 추출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카노케미스트리 분쇄기술을 적용하여 보이차를 전처리한 다음 메탄올과 에탄올 용매에 의하여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메카노케미스트리 전처리가 항산화 물질의 추출효율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보이차는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 전에 유성밀에 의하여 분쇄되었으며 분쇄 후의 형상을 SEM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아질산성질소 소거능은 pH 1.2에서 메탄올 용매추출을 했을 때 전처리하지 않는 경우 63.0-83.0%로부터 메카노케미스트리 분쇄기술을 적용한 전처리를 한 경우에 74.0-92.0%로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를 이용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용매추출의 경우에 13.12-49.29%로부터 메카노케미스트리 전처리 후에 15.12-64.29%로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50% 소거능을 나타내는 $IC_{50}$은 전처리하지 않는 경우 164 ug/mL로부터 전처리한 경우에 151ug/mL로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