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H${\cdot}$${\cdot}$${\cdot}$H-C

검색결과 661건 처리시간 0.028초

팔당호 연안대 저질토에서 배양온도에 따른 메탄발생 경로의 변화 (Changes of Methanogenic Pathway with Incubation Temperatures in the Littoral Sediment of Reservoir Paldang, Korea)

  • 김미경;조강현
    • 생태와환경
    • /
    • 제34권1호통권93호
    • /
    • pp.54-61
    • /
    • 2001
  • 저온에서 메탄발생 경로의 변화에 대하여 팔당호 연안대에서 채취한 저질토 슬러리를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저질토 슬러리의 메탄발생속도는 5${\sim}$45$^{\circ}C$ 범위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여 45$^{\circ}C$에서 7.4 nmol${\cdot}$g$^{-1}{\cdot}$h$^{-1}$로서 최대에 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배양온도를 고온인 30$^{\circ}C$에서 저온인 15$^{\circ}C$로 감소시키면 메탄발생속도와 수소축적속도가 감소하였고 아세트산은 일시적으로 축적되었다. 배양온도 15$^{\circ}C$와 30$^{\circ}C$에서 클로로포름은 메탄발생을 완전히 억제하였고 메탄발생의 직접적 기질인 수소와 아세트산이 축적되었다. 이 수소와 아세트산의 축적량을 메탄발생량으로 환산하면, 아세트산으로부터의 메탄발생량은 30$^{\circ}C$와 15$^{\circ}C$에서 각각 총메탄발생량의 14%와 75%로 추정되었다. 또한 저온에서 저질토 슬러리에 아세트산을 19 mM 이상으로 첨가하면 메탄발생이 저해되었다. 결국 저온 조건에서는 메탄발생에 대한 아세트산의 상대적 기여도가 증가하고, 고농도의 아세트산에 의하여 메탄과정이 저해되었다. 그러므로 팔당호 연안대 저질토의 유기물 혐기분해에서 아세트산-이용 메탄발생과정은 저온에서 핵심과정이 되고, 고농도의 아세트산에 의한 병목현상이 일어난다고 판단된다.

  • PDF

AIN첨가가 안경렌즈 절삭용 재료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N on properties of materials for spectacle lens cutting)

  • 이영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27
    • /
    • 2002
  • 안경렌즈 절삭용 재료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결첨가제로 AIN을 첨가하였다. AIN 함량은 0, 1, 3, 5wt%이었고, 이를 $1830^{\circ}C$에서 2시간 일축가압 소결하였다. 미세구조는 등방형의 탄화규소와 입자 성장한 탄화티타늄으로 구성되고 있다. AIN이 첨가된 안경렌즈 절삭용 재료의 대표적인 파괴인성과 경도는 각각 $4.8MPa{\cdot}m^{1/2}$와 15.3GPa과 이었다.

  • PDF

Phenylbutazone의 란탄(III) 착물에 대한 합성, 스펙트럼 및 열적 연구 (Synthesis, Spectral and Thermal Studies of Lanthanide(III) Complexes of Phenylbutazone)

  • Anoop, M.R.;Binil, P.S.;Jisha, K.R.;Suma, S.;Sudarsanakumar, M.R.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612-619
    • /
    • 2011
  • 1,2-diphenyl-4-butyl-3,5-pyrazolidinedione(phenylbutazone, PB)의 란탄(III) 착물을 합성하여 원소분석, 몰전기전도도 측정, IR, UV-Vis. 및 NMR 스펙트럼으로 특성을 조사하였다. 스펙트럼 데이터로부터 PB가 pyrazolidinedione 고리의 두 카르보닐 산소를 통해 이배위 및 일이온화 리간드로 배위됨을 규명하였다. 몰전기전도도 데이터로부터 이들 착물이 비전해질임을 규명하였다. 이들 착물의 열적 행동을 공기 중에서 TG 및 DTG로 연구한 결과, 탈수화, 열적 안전성 및 열분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최종 생성물은 해당 금속의 산화물로 밝혀졌다. 탈수화 및 분해 단계에 대한 열역학 및 반응속도 파라메터를 구하였다. 분해 단계에 대한 음의 엔트로피 값은 반응물보다 활성화 착물이 더 질서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반응은 정상보다 느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착물의 분자식이 $[Ln(PB)_3]{\cdot}5H_2O$(Ln=La 및 Ce) 그리고 $[Ln(PB)_3 (H_2O)_2]{\cdot}2H_2O$(Ln=Pr, Nd 및 Sm)임을 규명하였다.

Effect of Night Interruption with Mist and Shade Cooling Systems on Subsequent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Red Fire' and 'Yokihi'

  • Kim, Yoon Jin;Kim, Ki 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753-761
    • /
    • 2014
  • Growth and flowering of Cymbidium 'Red Fire' and 'Yokihi' plants were examined in a greenhouse with cooling systems in summer, and with night interruption (NI) lighting in winter as a forcing culture system. The greenhouse was divided into two sections with separate cooling controls during the summer season. One section was cooled by a mist system (mist), while the other section was cooled by a shade screen (shade). During the winter, the greenhouse was redivided into three sections within each cooling system. Plants were grown with NI either at a low light intensity of $3-7{\mu}mol{\cdot}m^{-2}{\cdot}s^{-1}$(LNI) or a high l ight intensity of $120{\mu}mol{\cdot}m^{-2}{\cdot}s^{-1}$(HNI) u sing h igh-pressure sodium l amps during the 22:00-02:00 HR. The control plants were grown under 9 h short-day condition. NI for 16 weeks and cooling for 9 weeks were employed twice during the 2 years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 air temperature was approximately $2^{\circ}C$ lower in the mist than in the shade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80 ${\pm}5%$ in the mist compared to $55{\pm}5%$ in the shade. The daily light integral in the mist section was 48% higher than in the shade section. The time from initial planting to flowering pseudobulb emergence decreased with both LNI and HNI for both cultivars, regardless of the cooling treatments. Under NI conditions, however, between 60% and 1 00% of plants of both cultivars flowered in the mist, whereas no or 20% of 'Red Fire' or 'Yokihi' plants, respectively, flowered in the shade treatment over 2 years. Plants grown under the mist had bigger pseudobulbs than those grown in the shade under both NI treatments. These results show that commercial use of NI in winter and a mist cooling system in summer would decrease crop production time to 2 years and increase profits in Cymbidium forcing culture.

Single-Pass Flow-Through Test방법에 의한 유리의 정용해율 측정 (Determination of Forward Dissolution Rate of Glass by a Single-Pass Flow-Through Test)

  • 김승수;전관식;최종원;김성기;한필수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35-340
    • /
    • 2005
  • Single-pass flow-through (SPFW) 방법에 의한 유리고화체의 용해율 측정에서 정밀도를 구하기 위하여 연구소간 실험프로그램의 하나로서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정용해율을 구하였는데, 이 SPFT 방법은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에서 표준화를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100/200 mesh 크기의 모의 저방사능 유리고화체 분말시료를 $70^{\circ}C$, 알곤 분위기에서 SPFT 방법으로 리튬 완충용액 (pH=10)을 이용하여 용해실험을 시도하였다. 얻어진 용출액 중 규소와 붕소의 농도에 따라 용해율의 변화를 구한 결과, 유리의 정용해율이 $2.7\times10^{-5}g{\cdot}m^{-2}{\cdot}s^-1$ 부근으로 나타났다.

  • PDF

수열합성 조건에 따른 나노로드 클러스터형 $MnO_2$의 상변화와 이를 이용한 $LiMn_2O_4$의 리튬이온전지 양전극 특성 (Phase Change of Nanorod-Clustered $MnO_2$ by Hydrothermal Reaction Conditions and the Lithium-ion Battery Cathode Properties of $LiMn_2O_4$ Prepared from the $MnO_2$)

  • 강근영;최민규;이영기;김광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5호
    • /
    • pp.541-547
    • /
    • 2011
  • $MnSO_45H_2O$$(NH_4)S_2O_8$의 수열반응으로 1차원 나노로드들이 침상으로 클러스터화된 구조의 $MnO_2$를 제조하고 그 모폴로지와 결정성을 분석하였다. 수열반응의 조건에 따라 ${\alpha}$-, ${\beta}$-, ${\gamma}-MnO_2$ 등의 전구체가 제조될 수 있는데, 고농도 반응물 및 높은 수열합성 온도($150^{\circ}C$)에서 전기화학적 활성이 우수한 나노로드 클러스터 ${\beta}-MnO_2$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리튬화제 $LiC_3H_3O_2{\cdot}2H_2O$의 농도와 열처리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MnO_2$를 리튬화하여 스피넬계 $LiMn_2O_4$를 제조하고 리튬이온전지 양전극으로서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나노로드 클러스터형 ${\beta}-MnO_2$로부터 고농도 리튬화제와 $800^{\circ}C$ 열처리를 통해 제조한 $LiMn_2O_4$가 정방형 스피넬에 가장 가까운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120 mAh/g의 우수한 초기 방전용량을 나타내었다.

액상-환원법으로 합성된 Cu 분말의 특성에 미치는 분산제의 영향 (Effect of Dispersant on the Characterization of Cu Powders Prepared with Wet-reduction Process)

  • 김용이;김태완;박홍채;윤석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0-55
    • /
    • 2007
  • Ultra-fine Copper powder for a conductive paste in electric-electronic field have been synthesized by chemical reduction of aqueous $CuSO_4$ with hydrazine hydrate $(N_2H_4{\cdot}H_2O)$ as a reductor. The effect of reaction conditions such as dispersant and reaction temperature on the particle size and shape for the prepared Cu powders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XRD, SEM, TEM and TGA. Experiments showed that type of dispersant and reaction temperature were affected on the particle size and morphology of the copper powder. When the carboxymethyl cellulose (CMC) was added as a dispersant the relative mono-dispersed and spherical Cu powder was obtained. Cu powders with particle size of approximately 140nm and narr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were obtained from 0.3M $CuSO_4$ with adding of 0.03M CMC and 40ml $N_2H_4{\cdot}H_2O$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70^{\circ}C$.

In vitro Dissolution and in vivo Bioequivalence Study of Controlled Release Carbamazepine Formulation (Epileptol CR® vs Tegretol CR® in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 Kim, Ji-Young;Kim, Hyung-Tae;Kim, Chong-Ko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5호
    • /
    • pp.335-342
    • /
    • 2008
  • The bioequivalence of two carbamazepine preparations was conducted. The in vivo bioequivalence study in 20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was designed by using a single dose, randomized, 2-period crossover with a 3-weeks washout period between the doses. Prior to the in vivo study, an in vitro comparative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by the paddle and basket method as described in the bioequivalence guidance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Based on the similar dissolution pattern between two preparations in the dissolution test, the two formulations are demonstrated to be pharmaceutically equivalent. In addition, in vivo bioequivalence test was used to reconfirm the in vitro dissolution results. In the in vivo bioequivalence study,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carbamazepine up to 144 h after the administration were determined using a validated HPLC method with UV detection and the bioequivalence between the two drug products was assessed b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log transformed mean ratios of $C_{max}$, $AUC_{0-t}$ and $AUC_{0-\infty}$. The mean maximum concentration ($C_{max}$) of the test and reference were found to be $1467.0{\pm}335.8\;ng/mL$ and $1465.9{\pm}310.3\;ng/mL$,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C.I.) of $C_{max}$ were in the range from 0.95 to 1.05. As for the $AUC_{0-t}$ and $AUC_{0-\infty}$, test values were $110027.1{\pm}27786.4\;ng/mL{\cdpt}h$, $128807.0{\pm}34563.2\;ng/mL{\cdot}h$ and $105473.6{\pm}26496.2\;ng/mL{\cdot}h$, $125448.5{\pm}35975.5\;ng/mL{\cdot}h$, respectively. The 90% C.I. of $AUC_{0-t}$ were 0.97 to 1.10 and of $AUC_{0-\infty}$, 0.99 to 1.09 and thus were within the log 0.8-log 1.25 interval proposed by the KFDA. A two-way ANOV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se statistica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test formulation is bioequivalent to the reference.

두메우드풀 포자체 형성을 위한 번식방법 (Propagation Method for Sporophyte Formation of Woodsia ilvensis (L.) R.Br.)

  • 장보국;이기철;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21-21
    • /
    • 2018
  • 본 연구는 북방계 식물에 속하는 두메우드풀[Woodsia ilvensis (L.) R.Br.]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을 위한 적정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식물재료는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후 청주의 일반하우스에 이식하여 재배하였다. 포자 성숙기인 8월에 채종하여 발아시켰으며, 포자로부터 획득한 전엽체를 8주간 계대하면서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전엽체 300mg을 메스로 다진 후 배지농도 및 종류(Knop, 1/4, 1/2, 1 및 2MS)를 달리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배양실의 온도는 $25{\pm}1.0^{\circ}C$, 광도는 $30{\pm}1.0{\mu}mol{\cdot}m^{-2}{\cdot}s^{-1}$(16/8h)로 조절되었다. 연구의 결과, 배지구성물질의 농도가 높았던 2MS배지에서 전엽체의 생체중이 12.4g으로 41배 증가하여 가장 높은 증식율을 나타냈다. 또한 배지구성물질의 농도가 적을수록 생체중의 증가폭도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토양조건을 확인하고자,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비율을 달리한 5종류의 혼합토양을 조성하여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충진하였다. 다음으로 전엽체 1g을 핸드블랜더로 10초간 분쇄 후 충진된 사각분 위에 고르게 분주하여 14주간 재배하였다. 재배환경은 온도 $25{\pm}1.0^{\circ}C$, 광도 $43{\pm}2.0{\mu}mol{\cdot}m^{-2}{\cdot}s^{-1}$(16/8h) 및 습도 $72{\pm}2.0%$로 조절되었다. 지베렐린 수용액이 포자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선발된 토양조건을 기준으로 침지농도(0, 50, 100, $200mg{\cdot}L^{-1}$)를 조절하여 1시간 침지 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예상토와 펄라이트 또는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한 토양에서 사각분 당 109.5, 128.8개의 포자체가 형성되었다. 한편, 피트모스가 첨가된 처리는 포자체의 형성이 억제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베렐린 50과 $100mg{\cdot}L^{-1}$ 수용액에 침지한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많은 사각분 당 각 177.0, 181.7개의 포자체가 형성되었으며, 생육도 양호하였다.

  • PDF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을 이용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성장 예측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Growth Model of Vibrio parahaemolyticus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Model)

  • 문성양;장태은;우건조;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49-354
    • /
    • 2004
  • 수산식품에서 문제가 되는 식중독 균인 V. parahaemolyticus를 대상으로 온도, pH 및 초기균수에 따른 균의 성장 실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1.0{\times}10^{2},\;1.0{\times}10^{3},\;1.0{\times}10^{4}\;CFU/mL$의 각 초기균수 조건에서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계수는 각각 0.966, 0.979, 0.965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기균수를 고려하지 않은 모델식은 상관계수가 0.966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Polynomial model: $$k=1.10{\cdot}\exp(-0.5(((T-34.14)/9.09)^{2}+((pH-6.59)/4.68)^{2}))$$ 균의 증식 지표치인 최대증식속도상수 k는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pH 및 초기균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므로 (P>0.05), k와 온도와의 관계식인 square root model로 나타내었다. Square root model: $${\sqrt{k}\;0.06(T-9.55)[1-\exp(0.07(T-49.98))]$$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square root model에 의한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계수는 0.977로 polynomial model보다 높은 적용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