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S

검색결과 53,904건 처리시간 0.072초

경주 벤토나이트의 수리-열-역학적 특성 및 핵종 유출 저지능 (Hydraulic-Thermal-Mechanical Properties and Radionuclide Release-Retarding Capacity of Kyungju Bentonite)

  • Jae-Owan Lee;Won-Jin Cho;Pil-Soo Hahn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7-96
    • /
    • 2004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완충재 후보물질 선정을 위해 경주 벤토나이트를 대상으로 수리특성, 팽윤특성, 열적특성, 역학특성 및 핵종유출 저지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압축 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는 $10^{-11}$ m/s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건조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팽윤압은 0.66 ㎫∼14.4 ㎫ 사이의 값을 보였으며 건조밀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건조밀도가 1.4 Ms/㎥ ∼ 1.8 Mg/㎥1.4 일때, 열전도도, 열축압축강도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탄성계수 (Young's modulus of elasticity), Poisson 비는 각각 0.80 ㎉/m $h^{\circ}C$ ∼1.52 ㎉/m $h^{\circ}C$, 0.55 ㎫ ∼ 8.83 ㎫, 59 ㎫ ∼ 1275 ㎫, 0.05 ∼ 0.20의 값을 나타내었다. 압축벤토나이트에 대한 핵증 확산계수는 산화 환경에서 측정되었으며, 주어진 실험조건에서 삼중수소 (H-3)는 1.7${\times}$$10^{-10}$ $m^2$/s ∼ 3.4${\times}$$10^{-10}$ $m^2$/s. 양이온 핵종 (Cs, Sr , Ni)은 8.6${\times}$$10^{-14}$ $m^2$/s ∼ 1.3${\times}$$10^{-12}$ $m^2$/s, 음이온 핵종 (I, Tc)은 1.2${\times}$$10^{-11}$ $m^2$/s ∼ 9.5${\times}$$10^{-11}$ $m^2$/s, 악티나이드 핵종은 3.0${\times}$$10^{-14}$ $m^2$/s ∼ 1.8${\times}$$10^{-13}$ $m^2$/s 사이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때 확산계수는 모든 핵종에 대해 압축벤토나이트의 건조밀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ur Species in the Genus Skeletonema in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 Jung, Seung-Won;Yun, Suk-Min;Lee, Sang-Deuk;Kim, Young-Ok;Lee, Jin-Hwan
    • ALGAE
    • /
    • 제24권4호
    • /
    • pp.195-203
    • /
    • 2009
  • Most Skeletonema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under the name of S. costatum. To assess the morphological species diversity in the genus Skeletonema, we surveyed the nine local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 Korea. The light microscopy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bservations in this study showed that ultrastructural features of genus Skeletonema discriminated among four species: S. dohrnii Sarno & Kooistra, S. marinoi Sarno & Zingone, S. subsalsum (Cleve) Bethge, and S. tropicum Cleve. In S. dohrnii, cell diameters were 3-6 ${\mu}m$ and the pervalvar axes were 13-19 ${\mu}m$. One or two partial chloroplasts were visible in a cell. Cells of S. marinoi were 4-10 ${\mu}m$ and the pervalvar axes were 8-18 ${\mu}m$. Each cell contained one chloroplast. Cells of S. subsalsum which contained 1-2 chloroplasts were 8-13 ${\mu}m$ and the pervalvar axes were 11-20 ${\mu}m$. Cells of S. tropicum were 10-18 ${\mu}m$ and the pervalvar axes were 4-9 ${\mu}m$. 2-4 chloroplasts were seen in each cell. Tip width of fultoportula in S. dohrnii and S. marioni was flared and flat, but that in S. subsalsum and S. tropicum was narrow. Morphological groups among them, S. dohrnii and S. marinoi were the most widely distributed in all seasons, while S. tropicum was only occurred in a summer season.

RCP 8.5 시나리오에 의한 임고 저수지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량 분석 (Analysis of suppling instream flow in Imgo reservior under RCP 8.5)

  • 이재남;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32-632
    • /
    • 2015
  • 기후변화로 정상적인 물 순환 체계가 변화되면서, 건천화로 하천의 정상정인 기능이 어렵게 될 것이다. 농업용 저수지의 둑 높이기 사업으로 수자원의 저류공간이 증가되었고, 확보된 수자원을 기후변화에 대응해 하천유지유량으로 활용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를 기반으로 임고 저수지의 둑 높이기 사업 전과 후의 공급 가능한 하천유지유량을 평가하였다. 하천유지유량의 공급은 일별 일정량을 공급하도록 하여 이수안전도 90%를 만족하도록 설정하였고, 상시공급과 갈수시 공급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둑 높이기 사업 전에 하천유지유량의 공급 없이 용수공급 능력을 분석한 결과, 2025s기간, 2055s기간, 2085s기간의 이수안전도는 각각 100%, 93.3%, 96.7%로 분석되어 농업용수의 공급 능력은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미래 2025s기간, 2055s기간, 2085s기간에 대하여 둑 높이기 사업 전, 농업용수 공급과 함께 하천유지유량을 상시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일별로 3.7천$m^3$, 1천$m^3$, 1.2천$m^3$ 공급 가능하였고, 갈수시만 공급 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일별로 7천$m^3$, 2.2천$m^3$, 3.5천$m^3$ 공급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미래 2025s기간, 2055s기간, 2085s기간에 대하여 둑 높이기 사업 후, 농업용수 공급과 함께 하천유지유량을 상시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일별로 10.5천$m^3$, 4.5천$m^3$, 7천$m^3$ 공급 가능하였고, 갈수시만 공급 하였을 경우에는 각각 일별로 16.6천$m^3$, 7천$m^3$, 12.2천$m^3$ 공급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하여 농업용수 공급능력이 충분한 임고 저수지는 둑높이기 사업 후 확보된 수자원을 하천 유지유량으로 공급하면, 증고사업 전보다 상시공급일 경우에 2.8-5.8배, 갈수시 공급일 경우에 2.4-3.4배 많은 양을 공급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보령호 방류량을 고려한 부사호 유입량 모의 (Simulating Inflow to Busa Estuary Reservoir Considered Outflows from Boryeong Dam)

  • 노재경;이재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8-368
    • /
    • 2012
  • 부사호는 당초 유역면적이 $288km^2$로 이 중에서 상류 유역에 건설된 보령댐 유역면적 $163.6km^2$(57%)가 제외됨에 따라 부사호로 유입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약간의 가뭄에도 수질악화가 반복되고 있다. 부사호의 합리적인 용수 수급 관리를 위해 정확한 부사호 유입량의 추정은 절실하다. 부사호 유입량은 보령호 방류량과 부사호 지류 유역 유입량으로 구성되며, 보령호 방류량은 소수력 발전용수, 관개용수, 하천유지용수, 홍수조절 방류량, 월류량으로 구성된다. 부사호 지류 유역으로부터 자연유량에서 하천에서 취수한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웅천읍의 생활용수 $1,164m^3$/일로부터 회귀수가 유입되고, 보령댐 수혜답 1039.5 ha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고 회귀수가 유입되고, 부사호에서 양수하여 공급한 부사 유역 수혜답 1,141 ha의 회귀수가 유입되고, 6개 저수지 수혜답 396.5 ha의 회귀수가 유입되는 등 지류 유입량의 구성은 매우 복잡하다. 하천에서 취수하여 공급하는 공업용수는 서해화력 5천 $m^3$/일, 보령화력 15천 $m^3$/일로 구성된다. ONE (One parameter New Exponential) 모형을 근간으로 유입량 모형을 구성하였고, 보령댐 자료로 매개변수를 결정하여, 1966~2011년의 부사호 일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역면적 $124.4km^2$인 부사호의 지류 유입량과 보령댐 방류량을 고려한 부사호 유입량 자료로부터 유황을 분석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풍수량은 2.1 mm/d, $3.083m^3/s$, 평수량은 0.89mm/d, $1.280m^3/s$, 저수량은 0.48 mm/d, $0.695m^3/s$, 갈수량은 0.30 mm/d, $0.428m^3/s$였으며, 연 유입량은 127.23백만 $m^3$에 이르렀다. 둘째, 유역면적 $288km^2$인 보령호 유역의 포함한 부사호의 자연 유입량 자료로부터 즉 보령댐이 없는 경우 유황을 분석한 결과는 연평균하여 풍수량은 1.4 mm/d, $4.599m^3/s$, 평수량은 0.51 mm/d, $1.689m^3/s$, 저수량은 0.20 mm/d, $0.664m^3/s$, 갈수량은 0.06 mm/d, $0.204m^3/s$, 연 유입량은 197.00백만 $m^3$에 이르렀다. 셋째, 보령호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유황을 비교하면 있는 경우에서 부사호의 유입량은 고수위의 유량은 감소하고, 저수위의 유량은 증가하는 전형적 상류에 위치한 댐의 저류효과 영향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한국하천 유황곡선식에 의한 유역면적 $288km^2$인 부사호 유입량의 풍수량은 1.29 mm/d, $4.292m^3/s$, 평수량은 0.59 mm/d, $1.964m^3/s$, 저수량은 0.33 mm/d, $1.093m^3/s$, 갈수량은 0.13mm/d, $0.424m^3$이르렀다. 결론하면, 보령댐이 있는 경우 연 유입량은 70백만 $m^3$ 감소하였으나, 평갈수기 유입량은 증가하였다.

  • PDF

CMAC의 S-to-M 변환을 위한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S-to-M Mapping in CMAC)

  • 권성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0권10호
    • /
    • pp.3135-3141
    • /
    • 1996
  • In order to develop an efficient algorithm for S-to-M mapping in CMCA, characteristics of CMCA mappings is studied and conceptual mapping procedure is physically described. Then, careful observations on the mapping procedure and experience reveal a simple algorithm of the S-to-M mapping. The algorithm is described and compared with other procedures for S-to-M mapping. It is found very efficient in terms of computational operations and processing time.

건물 복도에서의 밀도와 이동속도 측정 (Measurement of the Movement Speed and Density of People on a Building Corridor)

  • 김운형;이규홍;김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36-41
    • /
    • 2017
  • 단일 복도에서의 단방향 피난 이동 실험의 수행 결과, 평균 밀도 $2.36P/m^2$에서 0.55 m/s의 속도를 보이고 있다. S.F.P.E. Handbook에서 제시된 복도에서의 밀도기반 속도 수식 계산결과와 평균값을 비교할 때, 본 실험이 0.55 m/s, SFPE 수식이 0.53 m/s로서 0.02 m/s의 차이를 보였으며 데이터 별로 분석한 결과, 최대 0.38 m/s의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일부 실험결과는 보행속도의 증가에 따라 밀도가 높아짐을 보였으며 실험 결과분석은 전체 실험시간에 대한 평균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동영상에 대한 프레임단위 분석과 같은 세부적인 시간분석을 수행한다면 더욱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척산천의 다기능 어도의 구조 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Multipurpose Fishway in Chuksan River)

  • 이영재;이정신;김문기;박성식;장형규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1호
    • /
    • pp.97-107
    • /
    • 2017
  • In this study,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multipurpose fishway which has been constructed for the upstream migration of fish at Chuksan river in Uljin is assessed and analyzed by a commercial software. The upper slab types of fishway in this investigation are reinforced concrete slab (S1 type) and reinforced concrete slab with steel plate (S2 type). The three different sizes of subway passage ($0.8m{\times}0.1m$, $0.8m{\times}0.2m$, $0.8 m{\times}0.3m$) and velocities (0.6 m/s, 1.2 m/s, 1.8 m/s) of Chuksan fishway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for the Chuksan in government design cod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aximum stress and bending moment of S1 type decreased 1~21 % and 12~27 % compared to the Chuksan in government design code, respectively. Also, the maximum stress of and bending moment of S2 type decreased 11~32 % and 27~39 %. From the nume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2 type was greatly effective and the subway passage size of $0.8m{\times}0.2m$ was most safe. This result can be utilized to be the basic data for design of the Multipurpose fishway.

구획 화재에서 스프링클러 열 손실계수 변화에 따른 작동 시간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on the Operation Time of Sprinkler in Compartment Fire)

  • 유우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34-3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구획 공간 화재 시 발열량이 급격히 변하는 조건에서 스프링클러헤드의 손실인자 변화에 따른 작동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내화보드로 구성된 구획 공간의 크기가 폭 0.3 m, 세로 0.5 m, 길이 3.0 m인 구조물을 제작하고 헵탄(n-Heptane) 풀 화재 실험을 수행하여 구획 공간 내부의 온도 분포, 헵탄의 질량감소율 그리고 발열량을 산출하였다. 또한,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ersion 6.5를 사용하여 실험 조건과 동일한 발열량을 가정하고 스프링클러헤드의 설치위치 및 손실인자(C-factor) 변화에 따른 작동 시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응시간지수(Response Time Index, RTI)가 $100(m{\cdot}s)^{0.5}$이고 작동온도가 $72^{\circ}C$인 스프링클러는 화원 상층부의 기류 온도가 $100^{\circ}C$에서 $300^{\circ}C$로 상승하고, 기류의 속도가 약 0.7 m/s인 경우 C-factor = 0과 1일 때 스프링클러의 작동시간은 최소 30 s~60 s, C-factor = 3일 때 62 s에서 최대 92 s, C-factor = 5일 때 120 s 이상으로 나타났다.

비밀 S-box를 사용한 GFN에 대한 안전성 분석 (Security Analysis on GFN with Secret S-box)

  • 이용성;강형철;홍득조;성재철;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467-47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라운드 함수의 업데이트 함수로 SP 구조를 사용하고 비밀 S-box가 적용된 GFN(Generalized Feistel Networks) Type I, Type II, Type III에 대한 안전성을 분석한다. 이 환경에서 공격자는 S-box에 대한 정보를 갖지 못한다. 인테그랄 공격 기법(Integral attack) 기반의 선택 평문 공격으로 9 라운드(Type I), 6 라운드(Type II), 6라운드(Type III)에 대한 비밀 S-box 정보를 복구할 수 있다. 선택 암호문 공격으로 전환할 경우 GFN Type I의 16 라운드까지 비밀 S-box의 정보가 복구된다. 결론적으로 m비트 비밀 S-box와 $k{\times}k$ MDS 행렬이 라운드 함수로 사용된 GFN Type I, Type II, Type III에 대하여 비밀 S-box를 복구하는데 ${\frac{2^{3m}}{32k}},{\frac{2^{3m}}{24k}},{\frac{2^{3m}}{36k}}$만큼의 시간복잡도가 필요하다.

충남지역 초염기성 암체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탄성파 속도 특성 (Geophysical Study on the Ultramafic Rocks of Chungnam Province, Korea: Characteristics of Seismic Velocity)

  • 서만철;우영균;송석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9-358
    • /
    • 2000
  • 충남 일원에 분포하는 초염기성 암석과 이에 수반되는 각섬암, 편암, 편마암에 대해 탄성파 및 밀도가 실험실에서 측정되었다. 밀도측정 결과 사문암은 2.6${\sim}$2.86g/cm$^3$, 활석은 2.25${\sim}$2.81g/cm$^3$, 변성암류는 2.74${\sim}$3.07g/cm$^3$의 범위를 갖는다. 이 결과 활석은 사문암으로부터의 변성과정으로 사문암 및 각섬암보다 넓은 범위를 보였다. P파와 S파의 속도는 사문암에서 각각 5719${\sim}$6062m/s, 2898${\sim}$3351m/s 이고, 활석에서 4019${\sim}$5478m/s, 2241/${\sim}$2976m/s, 각섬암에서 5375${\sim}$6372m/s, 3042${\sim}$3625m/s, 편암에서 5290${\sim}$5499m/s, 2968${\sim}$3137m/s, 편마암에서 4788m/s, 2804m/s를 보였다. P파의 속도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S파의 속도보다 1.47배 빠르게 증가하였다. 탄성파 속도와 밀도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하며, 특히 밀도에 따른 P파 속도 증가율이 S파 속도증가율보다 약 1.47배 크게 나타났다. 탄성파속도의 이방분석결과 편리와 직각 방향의 속도값이 평행방향의 값보다 높았는데, 특히 변성암이 더 큰 차이를 보이는바, 이는 변성암의 형성이 지체구조성 압력의 영향으로 인한 광역변성작용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압력의 변화에 따른 탄성파속도 변화분석 결과 대체로 압력이 20 MPa에서 70 MPa로 증가함에 따라 변성암의 탄성파속도 증가가 다른 암석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재계산된 탄성파속도는 각섬암이 이 지역 하부 지각에 대한 탄성파 특성을, 편마암류 및 편암은 상부지각 암석의 탄성파 특성을 지시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사문암의 측정치는 높은 사문암화 정도를 반영하기는 하지만 상부 맨틀의 암석에 대한 탄성파의 특성을 지시한다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