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sholm score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3초

반월상 연골의 관절경적 봉합시 관절안정성에 따른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according to joint stability)

  • 경희수;인주철;백승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02
  • 목적 :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시 인대 손상 동반 여부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9.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평균 32.3세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경우와 동반 손상인대를 치료한 17례를 안정 관절군으로,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를 불안정 관절군으로 비교하였다. 안정 관절군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분류하였다. 결과는 Lysholm 및 IKDC 평가법으로 판정하였다. 정상 및 아정상군은 만족으로, 비정상 및 장애군은 불만족으로 구분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은 Wilcoxon rank sum test, fisher's exact test(p<0.05)를 이용하였다. 결과 : 동반 손상인대를 동시에 치료한 8례는 만족 $87.5\%$, Lysholm score는 평균 90.9을 보였고,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는 만족 $66.7\%$, Lysholm score는 평균 77.7을 보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9례는 만족 $88.9\%$, Lysholm score는 평균 91.4을 보였다. 급성기에 치료한 12례는 만족 $91.7\%$, Lysholm score는 평균 92.5를 보인 반면, 만성기의 5례는 만족 $80\%$, Lysholm score는 평균 88.6을 보였다. 결론 : 수상 후 급성기에 파열된 반월상 연골 및 동반 손상인대의 관절경적 복원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잔여부 보존술식을 이용한 고유부착부 재현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임상결과 (Clinical Results of Footprint Restorat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Remnant Preservation)

  • 정현민;서영진;송시영;차명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537-546
    • /
    • 2019
  • 목적: 전방십자인대 부분 파열에서 관절경적 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전내측, 후외측, 전방부, 후방부 다발을 보존하는 잔여부 보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잔여부 보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내측 다발 선택적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A군, 후외측 다발 선택적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B군, 전방부 다발 선택적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C군, 후방부 다발 선택적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D군으로 설정하였다. 스트레스 방사선상 전방 전위,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ubjective Knee Form (IKDC SKF) score, Lysholm score,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score를 측정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의 기능점수를 비교하였으며 각 군 간 임상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슬관절 15도 굴곡 상태에서 스트레스 방사선상 측정한 전방 전위는 술 전과 비교하여 모든 군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all p<0.001). IKDC SKF score, Lysholm score, HSS score 또한 모든 군에서 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all p<0.001). 군 간 비교 시 수술 전 IKDC SKF score는 C군이 A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21), 수술 전 Lysholm score는 B군이 A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3). 이외의 결과에서 각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전내측, 후외측, 전방부, 후방부 다발을 보존하는 잔여부 보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행 후 전후방 불안정성과 슬관절 기능점수는 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술 후 기능점수의 군 간 비교 시 각 군 간 유의한 차이 없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스키에 의한 슬관절 인대 손상 (Ligament Injuries of Knee in the Recreational Skiers)

  • 이동철;고진혁;김동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7-43
    • /
    • 2003
  • 목적: 스키손상에서슬관절인대손상의형태와영향을줄수있는인자를분석하고, 수상전후의슬관절기능평가및스포츠활동도변화를알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슬관절인대손상환자30명을대상으로설문및이학적검사, X선및MRI 촬영을통한평가를하였고, 기능평가는Lysholm Knee Scoring Scale, 스포츠활동도는Tegner activity score로평가하였다. 결과: 내측측부인대손상을동반한전방십자인대손상이11명으로가장많았고, 내측측부인대손상이9명으로그다음이었다. 수상기전은유령발현상(phantom foot phenomenon)과외전-외회전기전이각각13례와12례로83 $\%$를차지했다. 최종추시에서평균Lysholm score는93.4점으로매우양호하였으며, 활동도는수상전Tegner activity score 6.1점에서수상후4.2점으로감소되었다. 기능과활동도평가에서내측측부인대단독손상군이경과가가장양호하였으며, 내측측부인대손상을동반한전방십자인대손상군이경과가불량하였다. 스키손상에영향을미칠수있는요인으로는스키를지속적으로2시간이상탄경우, 바인딩이풀리지않는경우, 적절한스키강습프로그램을받지않은경우였다. 결론: 환자들의수상후Lysholm score는매우양호했지만, 수상후스포츠활동도에서는수상전과뚜렷한차이를보여적극적이고체계적인스포츠복귀프로그램이필요함을알수있었다.

  • PDF

남아 있는 인대를 보존하고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재건술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fresh-frozen Achilles tendon allograft with preservation of ligament remnant)

  • 김영진;채수욱;김종윤;김병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4-60
    • /
    • 2011
  • 목적: 슬관절의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10년 3월까지 후방십자인대 완전 파열로 진단되어서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 중에서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는 3년 7개월(1년~6년 4개월)이었다. 수술시 연령은 평균 31.5세 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례, 여자가 8례였다. 운동 가능 범위, 후방 전위 검사, Telos stress 방사선 검사,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ittee (IKDC)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서 술 후 기능 평가, 2차적 관절경 검사 등을 시행하여 주관적 및 객관적 지표로 삼았다. 결과: 슬관절 안정성에 대한 이학적 검사인 후방 전위 검사, 최종 추시 시에 후방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IKDC score 등은 통계학적 의의가 있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파열시 잔존하는 인대의 절단단 또는 이완된 인대를 유지하면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은 양호한 슬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을 얻을수 있는 좋은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의 수술적 치료 - 최소 4년 이상 추시 결과 - (Surgical Outcome of Primary Repair i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Minimum 4-years follow-up -)

  • 변기용;이광진;이석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27
    • /
    • 2000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후 일차적 봉합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 결과에 대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방 십자 인대 봉합수술을 받았던 25례를 대상으로 IKDC 평가표와 Lysholm score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 및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를 평가하였다. 대상환자 중 18례에서는 pull-out suture를 시행하였으며, 7례에서는 박근 및 반건양근을 이용한 인대 강화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IKDC 분석 결과, 전체 환자중 3례에서 A군으로, 13례에서 B군으로, 9례에서 C군으로 평가되었다. Lysholm score는 평균 83점이었다.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인대 이완도 평가에서는 20lb에서 평균 전방 전위는 3.89mm이었으며, 30lb에서는 평균 7.3mm의 전방 전위를 보였다. 건측 무릎과 환측 무릎의 평균 전방전위도 차이는 20lb에서 1.09mm이었으며, 30lb에서 2.29mm이었고 건측과 환측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봉합술을 시행한 환자에 있어 IKDC라 Lysholm score는 재건술을 시행한 후 평가한 여타 보고에서의 결과보다 만족스럽지 못하며,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이완도 평가에서도 건측 무릎에 비해 많은 전방 전위를 보였던 바, 특히 젊고 활동성이 많은 환자에 있어서 인대 봉합술 보다는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것으로 사료 된다.

  • PDF

동종 아킬레스 건을 이용한 후방 십자 인대 및 후 외방 구조물 재건술 (Reconstruction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and Posterolateral Structure with Allo-Achilles Tendon)

  • 오인석;이동주;조규정;김명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2-166
    • /
    • 2005
  •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후방 십자 인대와 함께 후 외방 구조물을 동반 재건한 경우의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후방 십자인대 및 후 외방 구조물을 동반 재건하였던 1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개월 이였다. 각각의 경우에서 수술 전 후방 불안정성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KT-2000 관절계, 후방 전위 검사을 실시하였으며 후 외방 구조물 동반 손상에 의한 회전 불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해 경골 외회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주관적 평가는 Tegner, Lysholm score를 측정하여 최종 추시 시의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KT-2000 측정치는 평균 7.1mm, 후방 전위 검사는 모든 예에서 Grade 3이였으며 경골 외 회전 검사상 슬관절 30도 및 90 도 굴곡 상태에서 모두 양성 반응을 보였다. Lysholm score는 평균 65.9. Tegner score는 평균 3.1이였다. 최종 추시 시 KT-2000 측정치는 평균 2.2 mm, 후방 전위 검사상 Grade 0이 2예, Grade 1이 4예, Grade 2가 3예, Grade 3가 1예였으며 경골 외회전 검사상 슬관절 30도 및 90 도 굴곡 상태에서 모두 양성으로 측정되었던 예는 1예였으며 90도에서만 양성으로 측정되었던 예는 2예였다. Lysholm score는 평균 87.6, Tegner score는 평균 5.7로 수술 전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 평가 모두에서 호전되었다. 결론: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관절경하 후방 십자 인대 및 후 외방 구조물은 재건은 후방 및 후 외방 회전 불안정성이 있는 환자에서 좋은 수술적 치료 방법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Reconstruc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with Fresh-frozen Achilles Allograft)

  • 최남용;한석구;나기호;서상일;이도성;송현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6-30
    • /
    • 2004
  • 서론: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후 임상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만성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 대하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32예, 여자가 6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32.4세 (20${\sim}$50세)였으며, 수상 원인은 교통 사고와 스포츠 손상이 대부분(89.5%)을 차지하였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2개월이었고 수술 후 추시 기간은 평균 19.2개월(12-36)이었다. 수술 후 평가는 관절 운동범위,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통한 경골의 전방 전위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슬관절 기능적 평가는 Lysholm 슬관절 점수와 modified Feagin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술 후 관절 운동범위의 제한은 없었으며, Lachman 및 pivot-shift 검사에서 37명 환자(97.4%)가 정상 또는 grade 1의 안정성을 보였다.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경골의 전방전위는 20 Ib 부하시 정상 측과 비교하여 평균 2.1 m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술 전 평균 65점에서 술 후 90점으로 향상되었으며, Modified Feagin score에 의한 평가는 89.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결론: 전방 십자인대 손상에서 신선 동결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여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자가 조직에 대한 우수한 대체물로 사료된다.

  • PDF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with Bioabsorbable Devices)

  • 김종순;신규석;이동화;석진호;박상환;허정국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0-155
    • /
    • 2002
  • 목적 : 반월상 연골 봉합 수술에서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방법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부터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반월상 연골 봉합술을 시행한 후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기구는 Meniscus $Arrow^{\circledR}$(Bionx)와 Meniscal $Fastener^{\circledR}$(Mitek)였으며 전예에서 후각부의 종파열 환자만을 선택하였고, 동측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이 있었던 9예는 연골판 봉합과 동시에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는 Lysholm score로 평가하였다. 결과 : Lysholm score는 전체 술 전 평균 56점에서 술 후 평균 89점으로 향상 되었고, red-red zone 파열군과 red-white zone 파열군 및 각기 다른 기구를 사용한 군 사이에서는 상이한 차이가 없었으나, 전방 십자 인대 파열후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와 수상 후 8주 이전에 수술한 경우에서 결과가 더 좋았다. 결론 : 생체 흡수성 기구를 이용한 방법은 잘 선택된 환자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할 경우, 특히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동시에 시행할 때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방사형 파열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the Radial Tear of Posterior Root of Medial Meniscus)

  • 나경욱;조진호;이동봉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8-133
    • /
    • 2007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의 관절경적 연골판 절제술 후 임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을 가진 2년 이상($2{\sim}7$년)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 수술은 체중 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정상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0-2군)으로 분류된 환자에 한하여 시행하였다. 연골 손상의 정도는 수술 중에 Outerbridge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적 결론은 Modified Lysholm score를 사용하였다. 결과: 술 전 평균 Lysholm점수는 위의 순서대로 79.1, 71.2, 68.5, 67.9, 67.2, 61.5 이였으며, 술 후 점수는 86.3, 75.1, 73.0, 73.1, 73.2, 66.2이였다. 술 후 통증 호전은 각각 61.5%, 62.5%, 60.0%, 50.0%, 50.0%, 25.0%이었고, 술 후 만족도는 69.2%, 75.5%, 70.0%, 66.6%, 75.0%, 75.0%이었으며, 30.7%, 25.0%, 20.0%, 50.0%, 25.0%, 50.0%에서 다시 수술을 해야 할 것으로 대답하였다. 추시 단순방사선 사진은 7례(15.5%)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3군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정상 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군(Grade 0-2)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은 다른 형태의 파열과는 달리 관절경적 절제술 후 불량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는 관절경적 절제술 보다는 긴장 장력을 복원하는 술식이나 퇴행성 관절염을 방지 할 수 있는 근위 경골 절골술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 (Mid to Long - Term Results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전철홍;권석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09
  •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신선 동결 동종 연골판을 이식한 24명 환자, 2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 19례, 내측 반월상 연골판 6례였다. 평균 연령은 33.6세 (17~50세)였으며, 추시 관찰은 평균 54.8개월 (6~116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에 mm 표시된 전.후방 사진을 얻어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은 열쇠 구멍 고정 방법으로(Key hole method) 고정하였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양 골 조각 고정술(double bone plug)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전례에서 KASS (knee assessment scoring system)과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고 Tegner activity scale을 이용하여 스포츠 회복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다. KASS score는 술 전 평균 61.7점(34~80점)에서 술 후 평균 83.8점(61~95점)으로 호전되었으며,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77.7점(48~79점)에서 술 후 평균 87.7점(63~97점)으로 향상되었다.(우수 3례, 양호 17례, 보통 4례, 불량 1례).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2례, 감각 이상 1례, 비흡수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이 1례 발생하였다. 총비골신경 마비가 1례 발생하였으나 술 후 6주에 회복이 되었다. 결론: 반월상 연골판 아전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동통을 완화시키고, 슬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술 전 정확한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 측정과 술 중 견고한 고정은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한 중요한 인자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