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ophyllum decaste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Lyophyllum decastes의 심부배양(深府培養)에 의한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ycelium by Lyophyllum decastes in Submerged Culture)

  • 홍재식;이지열;김명숙;김동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9
    • /
    • 1986
  • 식용(食用)버섯인 Lyophyllum decastes의 생리적(生理的) 성질(性質) 및 영양성분(營養成分)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배양조건(培養條件)을 검토(檢討)하고 균체성분(菌體成分)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균체성분(菌體成分)의 최적온도(最適溫度)와 pH는 각각 $25^{\circ}C$, pH 7.5이었고 배양기간(培養期間)은 15일(日)이 가장 좋았다. 2.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가장 우수(優秀)한 탄소원(炭素源)은 glucose와 CMC이었고 glucose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3%, CMC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6%이었다. 3. 질소원(窒素源)중 유기태(有機態)로서 proteose peptone이 균체생산(菌體生産)에 가장 좋았고 그 최적농도(最適濃度)는 0.5%이었으며, 무기태(無機態)로서 $(NH_4)_2HPO_4$가 제일 양호(良好)하였고, 최적농도(最適濃度)는 0.1%이었다. 4.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가장 좋은 C/N솔(率)은 glucose대 proteose peptone이 10 : 1로서 탄소원(炭素源)보다는 질소원(窒素源)이 더 유효(有效)하였다. 5. 균체(菌體) 생산(生産)에 $K_2HPO_4,\;MgSO_4,\;CaCl_2$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각각 0.2, 0.06, 0.01%이었다. 6. 각종(各種) bioextract중에서 균체(菌體) 생산(生産)이 가장 양호(良好)한 것은 yeast extract이었고 그 최적농도(最適濃度)는 1.5%이었다. 7. 균체성분(菌體成分)은 총당(總糖) 34.8%, 조단백질(粗蛋白質) 28.35%, 조지방(粗脂肪) 2.5%, 회분(灰分) 7.57%, 조섬유(粗纖維) 11.99%로서 영양가치(營養價値)가 높다.

  • PDF

Studies on Constituents of Kotean Basidiomycetes (L) Antitmor Components Extracted from Cultured Mycelia of Several Basidiomycetes

  • Kim, Byong-Kak;Choi, Eung-Chil;Chung, Kyeong-Soo;Park, Hee-Ju;Kim, Hye-Ryoung;Kim, Yang-Sup;Park, Yong-Hwan;Shim, Mi-J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41-142
    • /
    • 1983
  • To find anititumor metabolites in Korean basidiomycetes, the shake-cultured mycelia of eight of the higher fungi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the extracts, after being partially purified, were subjected to in vivo antitumor test. When administered i. p. at the dose of 30mg/kg/day for ten consecutive days into the female ICR mice, which had been implanted with $1{\times}10^{6}$ / cells of sarcoma 180 twenty four hours before the first injection, the extracts of Agaricus campestris, Lyophyllum decastes, Lyophyllum ulmarium, Armillaria Tabescence and Calvatia exipuliformis respectively showed inhibition ratios of 64.1%, 65.45, 60.-%, 53.0 and 49.3%. These five specie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whereas the extracts of Phallus impudicus, Coprinus comatus and Pholiota squarrosa whih showed the inhibition ratios of 31.2%, 33.5% and 19.0% were discontinued.

  • PDF

잿빛만가닥버섯의 변이체 유도와 실용적 인공재배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mutant introduction and new practical artificial cultivation of Lyophyllum decastes)

  • 이대진;이원정;권미성;장주원;이원재;허정란;최창현;황철호;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 확보한 균주에 대하여 활성이 좋은 균주를 1차 선발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균주는 변이체 유도법을 통한 육종으로 17종의 균주를 새로 확보한 뒤 반복적인 현장 재배를 통해 복토와 수피 사용이 필요 없는 재배실험을 진행하였다. 1차 재배실험에서는 복토와 수피의 사용 없이도 재배가 가능한 품종 선정에서 주배지로서 후숙 미송톱밥의 사용이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2차로 이어서 후숙 미송톱밥과 영양제 실험으로 미강, 밀기울, 면실피등을 배합하여 재배 실험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으로서 실험결과 발효 미송톱밥 71.0%와 영양제로 밀기울을 29.0%를 사용한 실험군에서 가장 균사 성장이 빠르고 복토와 수피 사용 없이 잿빛 만가닥버섯 재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육성된 품종에 따라 동일한 조건에서 갓의 색깔과 모양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상의 실험결과 복토와 수피사용 없이 잿빛 만가닥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있음이 가능함을 반복적인 재배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향후 첨가제 등 보충 실험을 통해 수확량 증가와 시장에 적합한 모양의 규격을 설정하는 등 현실적으로 경제성을 갖춘 잿빛 만가닥버섯을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느티만가닥버섯에서 감마선에 의한 돌연변이체들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in Mutants Induced by Gamma Ray in Hypsizigus marmoreus)

  • 김종봉;유동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74-1179
    • /
    • 2014
  • 본 연구는 감마선이 새로운 품종의 버섯을 개발하는데 이용 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한국, 일본, 대만 등의 느티만가닥버섯 20종류, 한국 잿빛느티만가닥버섯 5종류, 일본 땅지만가닥버섯 등의 3품종과 돌연변이체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50~2,000 Gy의 감마선을 느티만가닥버섯 포자에 조사하였다. 포자를 이용한 돌연변이 유발의 감마선 적정선량은 50~500 Gy의 저준위선량이었다. 돌연변이 단핵균사를 교배하여 이핵균주를 만들었다. 돌연변이 균주와 재래종의 버섯들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16S ribosomal DNA, ITS의 전부분 28S ribosomal DNA의 일부분이 포함된 ITS서열을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ITS서열의 길이는 1,052~1,143 뉴클레오티드였다. Nei-Li's 방법에 의해 유전적 유연 관계계를 분석하였다. 느티만가닥버섯 품종들간의 비유사도는 0~3.5%였다. 또한 Neighbor-Joining (NJ)방법에 의해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느티만가닥버섯의 품종간의 비유사도는 0~3.5%였다. 또한 23품종과 5 돌연변이 이 그룹의 ITS서열을 바탕으로 한 계통순는 12 cluster를 나타내었다. 돌연변이 균주들은 서로 다른 cluster를 형성하였다. 무작위적인 돌연변이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감마선이 버섯의 품종개량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담자균(擔子菌)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 사료(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Conversion of Fermented Feed by Basidiomycetes)

  • 홍재식;김중만;정진철;이태규;김동한;김명곤;이극로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8
    • /
    • 1985
  • 담자균(擔子菌)을 이용한 발효사료(醱酵飼料)를 제조(製造)할 목적(目的)으로 분리(分離)한 균주(菌株)의 균생육(菌生育) 속도(速度)와 섬유소분해능(纖維素分解能)((여과지(濾過紙) 붕괴법(崩壞法)과 CMC 액화법(液化法))을 비교(比較)하여 1차 5균주(菌株)를 선별(選別)하였고 1차 선별(選別)된 균주(菌株)를 볏짚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 속도(速度)와 CMCase, xylanase, protease 활성(活性)을 비교(比較)하여 Lyophyllum decastes를 선정(選定)하였다. Lyophyllum decastes의 균생육(菌生育)과 효소생산(酵素生産)을 위한 배양(培養) 최적(最適) 조건(條件)은 $25{\sim}30^{\circ}C,\;pH\;6.0{\sim}7.0$, 수분(水分) $70{\sim}75\;%$ 범위였으며 효소생산(酵素生産)은 15일 배양시(培養時) 좋았다. 부원료(副原料)로 미곡(米穀) $30{\sim}40\;%$, 들깨묵 $10{\sim}20\;%$의 첨가(添加)로 효소생산(酵素生産)은 증가(增加)되나 균생육(菌生育)은 늦었으며 무기염(無機鹽)으로 $0.36{\sim}0.72\;%$$(NH_4)_2HPO_4$ 첨가(添加)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볏짚을 40 mesh 이하로 분비(粉碑)하거나 $0.5\;kg/cm^2$의 증기압(蒸氣壓)으로 처리(處理)하면 균생육(菌生育)은 조금 늦으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알칼리 처리중(處理中) $Ca(OH)_2$ 처리(處理)가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좋았고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은 낮았다. 볏짚발효시(醱酵時)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회분(灰分), 환원당(還元糖), 총실소(總室素)는 증가(增加)하였고 섬유소(纖維素), lignin, pentosan은 감소(減少)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 회분(灰分), 총실소(總室素), lignin은 감소(減少)하였고 환원당(還元糖)과 섬유소(纖維素)는 증가(增加)하였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변화(變化)는 심하였다.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in vitro dry matter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여 발효초기(醱酵初期) 55.03 %에서 45일 발효후(醱酵後)는 62.72 %로 증가(增加)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는 KOH, NaOH의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였고 알칼리 전처리(前處理)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 제조시(製造時)도 소화율(消化率)의 향상을 가져 왔다.

  • PDF

Lyophyllum decastes를 이용(利用)한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ll.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및 과탄산(過炭酸)소다 처리(處理)의 영향(影響)- (Studies on Improving the nutritive value of Rice straw by Fermentation with Lyophyllum decastes -II. Effect of $H_2O_2\;and\;2Na_2CO_3{\cdot}3H_2O_2$ treatments-)

  • 홍재식;김동한;이극로;김명곤;김영수;여규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5-143
    • /
    • 1988
  • 볏짚의 $H_2O_2$ 처리는 첨가농도를 늘리거나 pH를 알칼리로 조정하는 것이 첨가비율을 증가시키는 것 보다 비소화성 물질의 분해에 효과적이었고 볏짚입자가 작을수록 이러한 효과는 현저하였다. $2Na_2CO_3{\cdot}3H_2O_2$는 pH를 조정할 필요는 없으나 처리효과는 pH를 11.5로 조정한 $H_2O_2$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Alkaline peroxide 처리에 의하여 lignin과 hemicellulose의 감소는 현저하였다. Alkaline peroxide 전처리 볏짚의 발효로 총질소와회분은 증가하였고, NDF, hemicellulose, lignin은 분해되어 감소되었으며, ADF와 cellulose는 저농도 처리에서 감소하였다. 볏짚의 소화율은 alkaline peroxide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향상되어 대조구의 31.0%에 비하여 pH를 11.5로 조정한 12% $H_2O_2$와 12% $2Na_2CO_3{\cdot}3H_2O_2$ 처리시 각각 89.4%, 76.8%로 상승되었다. Alkaline peroxide 전처리 볏짚의 발효에 의한 소화율의 상승은 저농도 전처리에서 효과적이었다. 4% $H_2O_2$ 반건식처리로 ADF와 cellulose는 감소되어 소화율은 57.5%이었고 전처리 볏질의 발효로 대조구의 33.4%에 비하여 63.4%로 상승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