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phatic System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8초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수산생물의 생산과 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 ELISPOT 기법을 이용한 넙치의 항체생성 세포분석 (Study on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quatic Animal : Application of ELISPOT-Assay for the Detection of Antibody Secreting Cells in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하재이;박준효;김명석;정준기;정현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0-426
    • /
    • 1999
  • 한국 양식산업에서 중요한 어종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포르말린으로 처리한 E. tarda를 항원으로 하였을 때의 면역반응 분석을 위하여 ELISPOT 기법을 적정화시킨 후 넙치의 각 장기에 있는 총 항체생성세포와 특이 항체생성세포를 계수하는데 응용하고자 하였다. 전신과 비장의 항체생성세포를 2.5시간 이상 96 well plate에 배양하면 충분히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총 또는 특이 항체생성세포 분석을 위하여 과량의 토끼 항 넙치 면역글로불린 또는 E. tarda 항원을 plate에 coating하는 것은 오히려 ELISPOT법의 감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ELISPOT법의 특이성은 단백질 합성 억제제인 cycloheximide를 처리한 임파세포에서 총 항체생성세포가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서 입증할 수 있었다. 특이 항체생성세포 수의 최대치는 면역 3주째에 나타났으며 이후 계속 빠르게 감소하여 7주째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반응은 신장과 비장에서 유사하게 나타나 임파장기에 따른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면역 후 2주와 3주 사이에 혈청내 특이 항체량 또한 빠르게 증가하여 ELISPOT법으로 분석된 특이 항체생성세포 수의 변화와 일치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증가된 혈청내 특이 항체량이 면역 5주부터 실험 종료 시점까지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 특이 항체생성세포의 동력학적 변화와는 명확히 구별되는 점이었다.

  • PDF

S100A16 is a Prognostic Marker for Lung Adenocarcinomas

  • Saito, Keita;Kobayashi, Makoto;Nagashio, Ryo;Ryuge, Shinichiro;Katono, Ken;Nakashima, Hiroyasu;Tsuchiya, Benio;Jiang, Shi-Xu;Saegusa, Makoto;Satoh, Yukitoshi;Masuda, Noriyuki;Sato, Yuic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039-7044
    • /
    • 2015
  • Background: Many functional molecules controlling diverse cellular function are included in low-molecular weight proteins and peptides. Materials and Methods: To identify proteins controlling function in lung adenocarcinomas (AC), we performed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employing tricine-SDS polyacrylamide in the second dimension (tricine 2-DE). This system was able to detect proteins under 1 kDa even with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To confirm the utility of detected proteins as novel tumor markers for AC,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using 170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lung AC tissues. Results: Tricine 2-DE revealed that five proteins including S100A16 were overexpressed in lung AC-derived cells compared with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small cell carcinoma, and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derived cells. Immunohistochemically, S100A16 showed various subcellular localization in lung cancer tissues and a membranous staining status was correlated with the T-factor (P=0.0008), pathological stage (P=0.0015), differentiation extent (P=0.0001), lymphatic invasion (P=0.0007), vascular invasion (P=0.0001), pleural invasion (P=0.0087), and gender (P=0.039), but not with the age or smoking history. More importantly, membranous staining of S100A16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 poorer overall survival of either stage I (P=0.0088) or stage II / III (P=0.0003) lung AC patients, and multivariate analysis confirmed that membranous expression of S100A16 was an independent adverse prognostic indicator (P=0.0001).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S100A16 protein is a novel prognostic marker for lung AC.

구강 및 구인두 편평상피암종의 림프절 전이에 대한 PET-CT 영상의 유용성 (Utility of FDG PET-CT Scans on Nodal Staging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 주영훈;선동일;박준욱;유이령;김민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18
    • /
    • 2010
  • Objectives : We evaluated the use of FDG PET/CT for the identification of cervical nodal metastases of SCC of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with histological correlation. Material and Methods : We reviewed 46 medical records, from January 2004 to July 2007, of patients who underwent FDG PET/CT and CT/MRI for SCC of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before surgery. We recorded the lymph node metastases according to the neck level affected and the system used for the imaging-based nodal classification. Results : The FDG PET/CT had a sensitivity of 75.6% and a specificity of 96.7% ; it had a higher sensitivity than the CT/MRI for identification of cervical metastases on the side of the neck(26/28 vs. 20/28, p=0.031) and at each of the cervical levels(34/45 vs. 26/45, p=0.00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V_{max}$ between the benign and malignant cervical lymph nodes($3.31{\pm}3.23$ vs. $4.22{\pm}2.57$, p=0.028). The receiver-operating-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for differentiating the benign from the malignant cervical lymph nodes, showed that the area under the curve(AUC) of the FDG PET/CT was 0.775. The cut-off value for the $SUV_{max}$ was 2.23 based on the ROC curv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V_{max}$ and the size of the cervical lymph nodes(Spearman r=0.353, p=0.048). Conclusion : FDG PET/CT images were more accurate than the CT/MRI images. In addition, the $SUV_{max}$ cut-off values were important for evaluating cervical the cervical nodes in the patients with SCC of the oral cavity and oropharynx.

림프부종 환자에서의 위험 인자 (Risk Factors for Lymphedema Patients)

  • 정규철;김선현;염창환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2호
    • /
    • pp.156-162
    • /
    • 2005
  • 목적: 림프부종이란 림프계 이상으로 생긴 부종으로 주로 팔과 다리에 잘 생긴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1억 명 이상의 환자가 고생하고 있다. 현재까지 적절한 치료방법이 없고, 예방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이다. 그러므로 예방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사람에서 더 잘 발생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림프부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위험인자를 찾아 효과적인 예방방법이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3년 9월 1일부터 2005년 8월 31일까지 1개 대학병원의 림프부종 크리닉에 림프부종으로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위험인자를 찾았다. 설문내용은 인구통계학적 자료, 질병인자, 치료인자, 치료 후 인자 등으로 나누어 부종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총 50명을 대상으로 유방암 환자가 19명, 자궁암 환자가 31명이었고, 부종단계는 1기 이하가 12명, 2기 이상이 38명으로 나왔다. 1기 이하의 환자에 비해 2기 이상의 환자에서 진단시 암의 임상병기가 높았고, 림프관염 발생률이 많았으며, 비만하였고, 부종부위에 장애가 더 심한 것으로 나왔다(P>0.05). 결론: 진단시 암의 임상병기가 높을수록, 자주 감염이 걸릴수록,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부종 부위에 장애가 있을수록 림프부종이 심한 것으로 나왔다. 이중 암의 임상병기나 부종 부위의 장애는 교정이 불가능하고, 비만과 감염은 교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체중을 조절하고 감염을 억제할수록 부종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수술 후 비인두 역류가 동반된 신생아의 후인두림프관종 1례 (A case of postoperative nasopharyngeal reflux associated with retropharyngeal lymphangioma in newborn infant)

  • 구교연;이준석;이순민;박민수;남궁란;박국인;이철;윤춘식;정우희;최홍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58-261
    • /
    • 2010
  • 후인두림프관종은 무증상으로 시작되어 크기의 증가에 따라 주위 구조물들을 압박하여 호흡곤란이나 연하곤란 등의 2차적 증상들을 유발할 수도 있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현재까지 치료는 수술에 의한 완전 적출이 원칙이나 기도 주변에 인접한 림프종의 경우에는 완전 적출이 어려워 예후가 나쁘다. 신생아에서 후인두림프관종이 보고 된 경우는 드물며, 수술 후에 비인두역류증이 발생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생후 14일에 호흡곤란 및 연하곤란 증상을 보인 신생아에서 후인두림프관종을 진단하여 완전 적출술로 치료하였으며 수술 후에 비인두역류증이 일정 기간 지속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회복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최근 경험한 후두부분절제술 8예 (8 Cases of Partial Laryngectomy)

  • 유홍균;김명진;이상학;신홍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4-15
    • /
    • 1983
  • 이비인후과영역의 악성종양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후두암의 외과적료법으로는 1873년 Billroth가 처음으로 후두전적출위을, 1873년 H. B. Sands가 후두부분절제술을 시행한 이래 항생제료법, 수혈 및 보다 안전해진 마취 등의 전반적인 진보로 수술후 보다 좋은 예후를 가져왔다. 후두의 임파계는 구획되어 있는 해부학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후두부분절제술의 시행을 가능케 하였으며 이러한 후두부분절제술은 후두전적출술에 비하여 적응증이 다르긴 하나 환부를 제거함과 동시에 발성작용, 호흡작용 및 방어작용등의 기능적인 면을 보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수술적요법은 화학요법, 방사선료법 등과 병합으로 재발의 빈도를 줄이고 5연생존율을 증가시켰다. 저자들은 1980연부터 1982연까지 고대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후두암환자중 후두부분절제술의 적응이 되는 8예를 경험하였다. 이들의 발병부위는 후두개 2예, 양측성대 전 1/3부위 2예, 우측성대 전 1/3부위 및 전연합부 1예, 우측후두실 1예, 좌측성대 중 1/3부위 2예로서 이들에 시행한 후두부분절제술에 대하여 문헌적 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he Prognostic Impact of Synchronous Ipsilateral Multiple Breast Cancer: Survival Outcomes according to the Eighth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and Molecular Subtype

  • Chu, Jinah;Bae, Hyunsik;Seo, Youjeong;Cho, Soo Youn;Kim, Seok-Hyung;Cho, Eun Yoon
    • 대한병리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396-403
    • /
    • 2018
  • Background: In the current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ing system of breast cancer, only tumor size determines T-category regardless of whether the tumor is single or multiple. This study evaluated if tumor multiplicity has prognostic value and can be used to subclassify breast cancer. Methods: We included 5,758 patients with invasive breast cancer who underwent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from 1995 to 2012. Result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multiplicity (single, n=4,744; multiple, n=1,01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ymph node involvement and lymphatic invasion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001). Patients with multiple masses tended to have luminal A molecular subtype (p<.001). On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patients with multiple masses had significantly poorer disease-free survival (DFS) (p=.016).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multiplicity was seen in patients with anatomic staging group I and prognostic staging group IA (p=.019 and p=.032, respectively). When targeting patients with T1-2 N0 M0, hormone receptor-positive,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negative cancer,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lso revealed significantly reduced DFS with multiple cancer (p=.031). The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multiplicity was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worse DFS (hazard ratio, 1.23; 95% confidence interval, 1.03 to 1.47; p=.02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umor multiplicity is frequently found in luminal A subtype, is associated with frequent lymph node metastasis, and is correlated with worse DFS. Conclusions: Tumor multiplicity has prognostic value and could be used to subclassify invasive breast cancer at early stages. Adjuvant chemotherapy would be necessary for multiple masses of T1-2 N0 M0, hormone-receptor-positive, and HER2-negative cancer.

Dietary glucosinolates inhibit splenic inflammation in high fat/cholesterol diet-fed C57BL/6 mice

  • Gu, HyunJi;Gwon, Min-Hee;Kim, Sang-Min;Yun, Jung-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6호
    • /
    • pp.798-806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Obes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inflammation. The spleen is the largest organ of the lymphatic system and has an important role in immunity. Obesity-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are triggered by Toll-like receptor (TLR)-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88 (MyD88) pathway signaling. Phenethyl isothiocyanate (PEITC) and 3,3'-diindolylmethane (DIM), major dietary glucosinolates present in cruciferous vegetables,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various diseases. However, the effects of PEITC and DIM on the obesity-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spleen are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ITC and DIM on the spleen and their mechanism in high fat/cholesterol diet (HFCD)-fed C57BL/6 mice. MATERIALS/METHODS: We established an animal model of HFCD-induced obesity using C57BL/6 mice. The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et with AIN-93G diet (CON), high fat diet (60% calories from fat) with 1% cholesterol (HFCD), HFCD with PEITC 30 mg/kg/day or 75 mg/kg/day (HFCD+P30, HFCD+P75), and HFCD with DIM 1.5 mg/kg/day or 7.5 mg/kg/day (HFCD+D1.5, HFCD+D7.5).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used to evaluate pro-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Western blot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used to analyze protein and mRNA levels of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p65, interleukin 6 (IL-6), cyclooxygenase 2 (COX-2), TLR2, TLR4, and MyD88 in spleen tissue. RESULTS: Serum IL-6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CD group than in groups fed a HFCD with PEITC or DIM. Levels of NF-κB p65 protein and TLR2/4, MyD88, NF-κB p65, IL-6, and COX-2 mRN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CD group than in the CON group and were reduced by the PEITC and DIM supplements. CONCLUSIONS: PEITC- and DIM-supplemented diets improved splenic inflammation by modulating the TLR2/4-MyD88 pathway in HFCD-fed mice. We suggest that dietary glucosinolates may at least partially improve obesity-induced inflammation of the spl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