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copersicon esculentum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3초

인공광원이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var. cv. 'CF Jelly') 생육에 미치는 영향 (Artificial Light Sources Influence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var. cv. 'CF Jelly') Growth and Development)

  • 허정욱;백정현;홍영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5-251
    • /
    • 2022
  • BACKGROUND: Selection an suitable light source is essential in the year-round production of horticultural crops in closed production systems such as plant factory with controlled environmen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growth of cherry tomato'CF Jelly'(Lycopersicon esculentum var.) under high-pressure sodium lamps (HPS), metal-halide lamps (MH), and LEDs. METHODS AND RESULTS: Light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s was controlled at 220±30 µmol/m2/s with 12 hrs of photoperiod for a day. Flower development was significantly faster in HPS and MH treatments compared to the LE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f number and leaf shape under the HPS and MH treatments. Reproductive growth of cherry tomato was significantly promoted by the LEDs treatment of blue plus red lights. Fruit yield per plant also increased under the LEDs compared to the others. CONCLUSION(S): Growth, flowering, and fruit setting of the cherry tomato were accomplished by the artificial lights under plant factory conditions. The HPS treatment showed negative effect on fruit quality in terms of blossom-end rot incidence compared to the LEDs or MH treatment. Effect of the LEDs on promotion of fruit weight and yield was also proved.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for improving sugar metabolism or decreasing disease in the fruits under plant factory system using only artificial lights.

Pseudomonas putida Strain 17 Isolated from Replant Soil Promotes Tomato Growth and Inhibits Conidial Germination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 Lee, Sang-Woo;Ahn, Il-Pyung;Lim, Jae-Wook;Lee, Yo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44-251
    • /
    • 2005
  • The induction of growth promotion on numerous crops by rhizobacteria is a well documented phenomenon. In case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fruit yield is higher in replant soil than that in fresh soil. To investigate what kind of rhizobacterium is involved, microbial community in rhizosphere and on rhizoplane of tomato plants from each soil was analyzed by dilution plating on selective media. Many Gram-negative bacteria and actinomycetes were isolated from tomato in replant soil. One Gram-negative rhizobacterium isolated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putida based on its biochemical characteristics, fatty acid methyl ester analysis and 16S rDNA sequence. This bacterium designated strain 17 inhibited the growth of Pseudomonas corrugata, and increased growth of tomato seedlings. In addition, its culture filtrate inhibited conidial germination of plant-pathogenic fungi such as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F. oxysporum f. sp. cucumerinum, and Nectria radicicol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strain 17 colonized and persisted on the epidermal surfaces of tomato radicles and ro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putida strain 17 may serv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to suppress multiple soil-borne diseases for tomato plants. Increased microbial populations that suppress deleterious microorganisms including pathogens could be one of the major factors in increased tomato yield in replant soil.

시판 토마토품종의 고구마 뿌리혹선충과 땅콩 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of Commercial Tomato Cultivar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 김동근;류영현;박현로;허창석;배창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30
    • /
    • 2013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토마토 36품종을 이용하여 국내 시설재배지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두 종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와 M.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방울토마토 중에서는 '텐텐', '캐딜락', '큐티', '스위트', '뽀또', '리코핀-9' 등 6품종, 완숙토마토 중에서 '러브리240', '도테랑다이아', '큐피랑', '도테랑마스터', '슈퍼도태랑', '도태랑시즌', '마이로꾸', '호용' 등 8품종, 대목은 '스페셜', '파이팅', '마그네트' 등 3품종이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강한 저항성이었다.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 현탁배양세포에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Suspension Cultured Cells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 유순희;허경혜;권석윤;이행순;방재욱;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7-61
    • /
    • 1997
  • Superoxide dismutase (SOD) 고생산세포주로 선발된 토마토(Lycopersicun esculentum) 배양세포를 사용하여 현탁배양에 따른 SOD 활성과 isoenzyme변화를 조사하고 토마토 식물체의 것과 비교하였다. 현탁배양은 세포생중량 2 g을 1 mg/L 2,4-D, 30 g/L sucrose를 함유한 MS 배지 50 mL과 함께 mL flask에서 $25^{\circ}C$암상태로 배양(100 rpm)하였다. 세포생장은 계대배양후 20일에 최고점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며 배양 후 23일부터 세포가 검게 변하였다. 세포 단위무게당 SOD활성(unit/g dry cell wt)은 배양 후 23일부터 증가하여 28일째에 최고활성(52,400 unit)을 나타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extracellular SOD활성은 배양 후 25일에 최고치(27,800 unit/so mL medium)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Flask 전체의 SOD활성은 배양 후 25일에 최대치(35,700 unit)를 나타내었으며 extracellular SOD 활성이 약 75%을 차지하였다. 토마토 배양세포에는 4개의 SOD isoenzyme이 존재하며, isoenzyme의 패턴변화는 세포생장에 따른 효소활성의 변화와 일치하였다. 토마토 식물체는 배양세포에 없는 CuZnSOD가 존재하며 배양세포와 식물체 조직사이에는 서로 다른 isoenzyme 패턴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Glyphosate 독성(毒性): II. corydalis Sempervirens와 토마토의 세포배양체(細胞培養體)에서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Glyphosate Toxicity: II. EPSP-synthase Activity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Corydalis Sempervirens and Lycopersicon Esculentum)

  • 김태완;니콜라스 암라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8-153
    • /
    • 1995
  • Glyphosate (N-[phosphonomethyl]glycine)를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의 동화부위(同化部位)에 부분처리(部分處理)하거나 전(全) 식물체(植物體)에 분무처리(噴霧處理)하였을 때 EPSP-synthase의 활성(活性) 감소(減少)가 나타났다.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은 처리된 식물체(植物體)의 엽록소(葉綠素)의 감소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은 glyphosate처리(處理)에 민감한 효소(酵素)로서 토마토의 세포현탁배양조직(細胞顯濁培養組織)과 분열조직(分裂組織)간에는 활성(活性)의 차이가 없없다. EPSP-synthase의 활성은 4-6 nkat/mg protein 정도이었다.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억제는 glyphosate 처리(處理) 36시간 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엽록소(葉綠素)의 감소는 처리 48 시간 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세포현탁배양(細胞顯濁培養)에서 치사농도(致死濃度) 이하(以下)에서 glyphosate는 생체중(生體重)을 저하(低下)시켰으며 생육단계(生育段階) 중 lag-phase를 연장(延長)시켜 생육(生育)이 더디도록 하였다. Glyphosate 존재(存在)하에서 생체중(生體重)은 계대(繼代)배양 후 14일이 지난 뒤에 생체중(生體重)이 최고(最高)에 달하였다. EPSP-synthase에 대한 gly-phosate의 억제(抑制)효과는 lag-phase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 PDF

고 이산화탄소 처리 조건이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l.)의 숙성 중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CO_2$ Pre-storage Treatment on the Quality of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During Ripening)

  • 최정희;정문철;김병삼;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8-583
    • /
    • 2007
  • 고 이산화탄소 전처리가 토마토의 숙성 중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breaker와 pink 단계에 토마토를 수확한 후 고 이산화탄소(25, 50 및 100%)를 24시간 처리한 후 상온에서 숙성시키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전처리시 숙성기간 중 과피 변색과 과실의 연화가 억제되는 효과가 극명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pink 단계의 토마토 보다는 breaker 단계의 토마토에서 더 컸다. 이산화탄소 처리가 토마토의 숙성 중 당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100% 농도 처리시 breaker 토마토의 산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breaker 토마토의 경우 고 이산화탄소 처리에 의해 단맛이 감소하였다. 토마토의 산미와 조직감은 과실의 숙도에 관계없이 이산화탄소 처리에 의해 높게 유지되었다. Breaker 단계에서 수확한 토마토는 이산화탄소 전처리에 의한 이취 발생이 없으나, pink 토마토에서는 이취가 발생하여 향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졌다. 상온에서 22일 후 고 이산화탄소 장해 증상이 관찰되었는데, breaker 토마토는 50% 이상의 농도에서, pink 토마토의 경우 25% 이상의 농도 처리시 발생하였다.

주야 온도처리에 의한 토마토, 피만 플러그묘의 초장조절 (Effect of Different Day and Night temperatures on the Height Control of Plug Seedlings of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and Capsicum annuum L.)

  • 임기병;손기철;정재동;김종기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5년도 특강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58-60
    • /
    • 1995
  • 1995년 현재 전국의 육묘장 수는 대략 25개소에 이른다. 1992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플러그육묘 방식은 급속도로 늘어나 매년 5-7개소가 신설되고 있다. 이와 같이 양적팽창에도 불구하고 품질, 수량, 납기 및 경영상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어 상당수의 육묘장은 경영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은 기술수준의 낙후로 인한 품질의 저하이다. 플러그는 작은 셀내에서 육모되기 때문에 밀도가 높아 도장의 우려가 크다. (중략)

  • PDF

Gray Leaf Spot of Tomato Caused by Stephylium solani

  • Kim, Byung-Soo;Cho, Hyun-Jung;Hwang, Hee-Suk;Cha, Yu-S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348-350
    • /
    • 1999
  • Gray leaf spot of tomato was observed on tomato plants growing in a middle of a pepper field where pepper plants were badly infected with gray leaf spot. Both Stemphylium solani and S. lycopersici were isolated from the lesion. Both species were highly pathogenic on tomato and pepper. This is the first report in Korea of occurrence of gray leaf spot of tomato caused by Stemphylium solani Web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