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cii Fructus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35초

가열처리(加熱處理)에 따른 구기자(枸杞子) 추출물(抽出物)의 성분변화(成分變化) (Change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extract of Lycii fructus by various heat treatment)

  • 이상덕;이미현;손현주;복진영;성창근;김찬조;오만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68-273
    • /
    • 1996
  • 구기자 음료의 풍미 개선을 위하여 구기자를 가열 및 볶음 처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의 성분, 색도,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건조구기자의 성분은 수분 21.8%, 전당 27.6%, 환원당 15.2% 조단백질 14.3% 조지방 5.7%, 조섬유 7.5%, 회분 8.0% 이었다. 2. 추출물의 고형물을 기준으로 추출수율은 건조 구기자와 용매비를 높임에 따라 증가하였다. 3. 건조구기자 추출물 제조에 있어 고형물은 물추출이 가장 높았고, ethanol의 농도를 높임에 따라 감소하였다. 4. 구기자는 $140^{\circ}C$에서 8분간 볶음처리하고 $120^{\circ}C$에서 1시간 가열 처리 하였을 때 수율, 색도 등에 있어서 가장 양호 하였다. 5. 생구기자의 향기성분은 hexadecanoic acid, methyl linoleate, benzyl alcohol, dimethal benzene 이었으며 가열 및 볶음처리에 의하여 2-methyl-2-butenal, 1.4-dimethyl-benzene, benzyl alcohol 등은 감소 하였고 methyl thiopropanol, benzene acetaldehyde, ethyl linoleate는 증가 하였다.

  • PDF

구기자 추출성분의 항발암 효과 및 비타민 C첨가에 의한 상승효과 (Enhancement of Anticarcinogenic Effect by Combination of Lycii fructus with Vitamin C)

  • 박윤자;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43-148
    • /
    • 2002
  • 예부터 약용 또는 식용으로 쓰였으며, 사람의 체질을 강하게 하고, 혈관연화,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기자를 추출, 분획하여 4종의 암세포 주(HepG2, HeLa, MCF-7, C6)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을 한 결과, 4종의 암세포주 모두에게 구기자의 ethyl-ether층(LFMEE)이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서도 hexane층 (LFMH)에서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인 HePG2를 이용하여 quinone reductase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 100 $\mu\textrm{g}$/mL에서 1.85배의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구기자에 미치는 비타민 C의 암세포 성장억제 상승효과를 실험한 결과, 구기자와 비타민 C를 각각 혼합 처리시 낮은 농도에서도 아주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즉, HeLa와 MCF-7 암세포주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구기자 성분과 비타민 C의 조합에 의해 암세포 증식이 억제 또는 사멸되는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2종류의 암세포주 모두 구기자와 비타민 C 혼합물의 투여로 인해 증식억제가 현저히 상승됨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을 통해, 구기자의 hexane층(LFMH)과 ethylether층(LFMEE)에서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와 암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비타민 C와 함께 첨가했을 때 낮은 농도의 첨가 시료에서도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구기자의 항암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비타민 C 일정량을 함께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병성 쥐에서의 당뇨병성 백내장과 망막병증에 대한 구기자와 황기 혼합 추출물 등의 면역 조절 및 예방 효과 (Effects of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Mixed Extracts on Immunomodulators and Prevention of Diabetic Cataract and Retinopath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at Model)

  • 전윤희;문준웅;권혁중;정용준;안치선;김해란;허선진;임병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1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mixed extracts on immunomodulators and prevention in a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rat model. A total of 28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dietary groups and fed a commercial diet (A), commercial diet plus induced diabetes by a streptozotocin (STZ) injection (B), induced diabetes by STZ plus medicinal crop extracts(I&$H^{(R)}$) diet (C), and medicinal crop extracts (I&$H^{(R)}$) diet (D). Immunoblotting analyses revealed cytokine expression, and ELISA analyses revealed immunoglobulin 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As a results,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s a inflammatory cytokine were decreased. Interleukin-6 (IL-6)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ion of transcription 3 (STAT3) cytokine related in diabetes expression through JAK/STAT3 pathway were also decreased. Furthermore, immunoglobulin E and nitric oxide production were decreased in the serum and le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ycii fruct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mixed extracts provide positive effects on immunomodulators and prevention in diabetes and eye disease complications.

구기자를 이용한 전통주의 제조 및 생리 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 이대형;박원종;이봉춘;이주찬;이대형;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789-794
    • /
    • 2005
  • 구기자(Lycii fructus)를 이용한 새로운 고부가가치의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구기자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구기자 전통주에 지골피, 두충, 감초와 민들레를 0.1%-3.0%까지 각각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발효주를 제조한 후 에탄올 생성량과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구기자 전통주에 지골피 0.1%, 두충 0.1%, 감초와 민들레 각각 1.0%를 덧밥에 첨가하여 발효시켰을 때 에탄올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하였다. 여기에 구기자 잎을 0.1%, 0.5%, 1.0%씩 각각 첨가하여 구기자 전통주를 제조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구기자 잎을 0.1% 첨가하여 제조한 전통주가 기호도가 제일 높았고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내는 ACE 저해활성도 68.5%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지골피, 산수유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흰쥐에서의 효과 비교 연구 (The comparisons of Lycii Radicis Cortex and Corni Fructus water extract effect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in rats)

  • 한윤경;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1-77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nti-diabetic efficacy of Lycii Radicis Cortex (Lycium chinense Mill.) and Corni Fructus (Cornus officinalis) o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es in rats.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STZ-control, Lycii Radicis Cortex extract-administrated group (LRC) and Corni Fructus extract-administrated group(CF). Diabetes in rats was induced by intraperitonal injection with streptozotocin (STZ) at doses of, 30 mg/kg (body weight) for 5 days (once per a day). STZ-induced diabetic rats were orally administrated LRC and CF extract daily for 4 weeks at doses of 300 mg/kg.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were measured in sera of rats.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kidney, liver and lung tissues were observed by microscope after H&E staining. Results :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and kidney weights, food intake and water intake in LRC- and CF-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STZ control group. However, glucose, TC and TG level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RC-administrated groups compared with STZ-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analysis of kidney, liver and lung, both LRC- and CF-administrated groups showed the inhibition of morphological damag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RC and CF have a biological action on STZ-induced diabetes in rats via decreasing the serum TG and TG levels and may protec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kidney, liver and lung.

구기자와 구기엽 추출물이 난소적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ycii Fructus and Lycii Folium Extracts on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Rats)

  • 김진호;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4-29
    • /
    • 2014
  • 본 연구는 구기자와 구기엽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체중 증가, 골밀도,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실험군은 흰쥐 24마리를 가장수술군(Sham군), 난소를 절제한 대조군(OVX군), 난소절제 후 구기자 추출액을 투여한 군(LCF군), 난소절제 후 구기엽 추출액을 투여한 군(LCL군)으로 구분하였다. 8주 후 난소를 절제한 OVX군($330{\pm}5.39g$), LCF군($315{\pm}2.99g$) 및 LCL군($318{\pm}2.06g$)의 체중은 Sham군($281{\pm}1.71g$)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혈청 osteocalcin 활성은 OVX군($107{\pm}3.52ng/mL$)에 비하여 LCF군($444.6{\pm}26.9ng/mL$)과 LCL군($407{\pm}18.9ng/mL$)에서 증가하였다.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OVX군($95{\pm}2.9U/L$)에 비하여 LCF군($108{\pm}2.7U/L$)과 LCL군($407{\pm}18.9ng/mL$)에서 증가하였다. 8주 후 넙다리뼈를 실체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뼈 기질밀도는 난소절제군에서 감소하였으나, 구기자와 구기엽을 추출액을 투여한 군에서는 뚜렷이 회복되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mRNA 발현은 OVX군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나, LCF군과 LCL군에서 뚜렷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구기자와 구기엽 물추출물이 난소절제에 의하여 유발된 흰쥐의 뼈 기질 회복 또는 손실 지연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약재복합 추출물의 인간피부섬유아세포 HS68에 대한 항노화 효과 (Antiaging Activity of Mixed Extrac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on HS68 Skin Fibroblast)

  • 신동철;김귀철;송시영;김희진;양재찬;이용화;김보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45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aging and antioxidant effects o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 with 80% ethanol extracts of plants including of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Methods : An ethanol extract of three medicinal plants including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Extract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was evaluated by two different assays as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 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ies. These extracts were tested for cell viability on HS68 skin fibroblast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violet-B irradiation on cytotoxicity, type 1 collagen, elastin level and oxidative damage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 (HS68).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astin is also involved in inhibiting or repairing wrinkle formation, although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Results : The extracts obtained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 like activity. The extracts of complex herbal medicine showed low cytotoxicity as more than 100% cell viability in 100ppm/ml concentration. HS68 fibroblasts were survived 70% at 120 $mJ/cm^2$ UVB irradiation and treat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The levels of aging factors and cytotoxicity were decreased by ethanol extract of complex herbal medicin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complex medicinal plants of including of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may have value as th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aging medicinal plant.

구기자(Lycium chinence Miller) 첨가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과 기능성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 배형철;조임식;남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87-700
    • /
    • 2004
  • 요구르트의 제조 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첨가제로서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를 기질로 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젖산균주에 따른 발효특성을 시험하였고, 각 부위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cholestol 저하 효과 및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상업용 starter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후 pH가 4.06 이하로 나타나 발효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에서 높아 발효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젖산균수는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extract 첨가구에서 9시간째 2.62${\times}$$10^9$ cfu/$m\el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유당분해율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i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 extract 처리구에서 36.11%, 37.76% 및 32.70%를 나타내어 높았고, 유기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균주를 sts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의 경우에만 isobutylic acid가 34.39${\sim}$37.72 mM로 높은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점도는 L. acidophilus, B. longum과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였을 때 1,615${\sim}$2,030 cP로서 모든 첨가구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3.27${\sim}$3.44인데 비하여 구기자와 구기엽 extractffm 첨가한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는 1.77${\sim}$2.58로서 상당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골피 extract 첨가구에서 L. casei와 L. acidophilus. B. longum 및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 기호도의 경우는 3.34${\sim}$3.77로 나타나 기호성이 좋았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에 의한 cholesterol 저하 효과는 인체 유래의 각 젖산균과 상업용 starter 균주를 이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17.38${\sim}$32.08%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L. acidophilus KCTC315.와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BU27 젖산균은 25.75${\sim}$32.08%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보였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S. typhimurium M-15 균주에서 약간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설사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균 중 E. coli KCTC1021와 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하는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를 기질로 한 요구르트가 살모렐라, 대장균 및 리스테리아 유발 병원성 균주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

갱년기 장애 유도 시 구기자의 혈중지질 농도 저하 및 골 중 collagen 합성 효과 (Effect of Lycii fructus Extracts on Serum Lipids and Bone Collagen Contents in Ovariectomized Rats)

  • 김미향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116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ycii fructus (LF) on serum lipid and the collagen content of the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From day 2 until day 37 after the ovariectomy,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 sham-operated rat (Sham), ovariectomized control rat (OVX-control), and ovariectomized rats supplemented with the LF 50mg/kg bw/day (OVX-LF). The LF ethanol extract were orally administrated 1ml per day. Body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groups. Although tota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increased in the ovariectomized control, supplementation with the LF extract decreased the levels. Moreover, the serum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upplementation with the LF extract(p<0.05). Supplementation with the LF extract prevented a decrease in the collagen level in bone and cartilage tissue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estrogenic activities of LF. Therefore, it may be used to possib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menopausal women.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 during Storage)

  • 박복희;고경미;전은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6-595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LFP) during storage for 15 days at $5{\pm}1^{\circ}C$. The moisture content, yield rate, tofu whey content and turbidity of soaking solutions of tofu prepared with LFP increased upon the addition of LFP. The pH of tofu prepared with LFP decreased while the acidity increased lightly; however, the acidity of the tofu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LFP. The L value of tofu decreased as the amount of LFP in the formulation increased, whereas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color value of tofu prepared with LFP did not depend upon the storage period. The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level of LFP, but i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icrobial count of tofu prepared with LFP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tofu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the preferred tofu contained 1.0% LFP tof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