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tissue factor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6초

원발성 폐암에서 LKB1 단백질 발현 소실에 따른 임상 양상 및 조직병리학적 특성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according to Loss of LKB1 Protein Expression on Primary Lung Cancer)

  • 황기은;조향정;이강규;심혁;송정섭;신정현;신성남;박성훈;홍경만;박정현;정종훈;김휘정;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5호
    • /
    • pp.362-368
    • /
    • 2008
  • 연구배경: LKB1 (STK11)유전자는 Peutz-Jeghers syndrome에서 생식세포 돌연변이가 있으면 소화기와 폐를 포함한 타 장기의 암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또한 종양 억제 기능이 있다고도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폐암에서 LKB1 유전자의 생물학적 기능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아, 저자들은 폐암조직에서 LKB1 단백질 발현소실과 임상양상 및 조직병리와의 연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받은 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을 택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LKB1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고, 정상 기관지 상피세포 세포질에서의 단백질 발현과 비슷한 정도의 발색을 갖는 종양세포가 전체 종양에서 30% 이상인 경우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LKB1 발현 양성은 40% (31/77)였고, 남성, 흡연, 편평상피암인 경우에 LKB1 발현 음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종양위치가 중앙부위일수록 LKB1 발현 음성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종양 위치가 말초 부위인 경우 흡연력이 있는 군에서 LKB1 발현 음성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NM 병기가 진행할수록 LKB1 발현 음성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T2 병기 이상, N 병기가 진행할수록 LKB1 발현 음성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원발성 폐암환자에서 LKB1 발현소실은 성별, 흡연력, 조직병리 형태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예후인자로서의 의의는 찾지 못했다. 하지만 환자의 숫자가 적어 추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흉수의 혈관육종의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Cytologic Features of an Angiosarcoma in Pleural Fluid - A Case Report -)

  • 주영채;박인서;김윤주;한혜승;한지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6
    • /
    • 1999
  • Angiosarcomas are rare tumors, seen most commonly in the skin and soft tissue of head and neck legion. But it has been described in numerous body sites including thyroid, breast, liver, spleen, bone, etc.. Their biological behaviors depend on the microscopic grade, site of origin, and multifocality. We report the unique cytological features of an angiosarcoma in pleural fluid. A 61-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6 month history of dyspnea on exertion and chest pain. Chest computerized tomography(CT) revealed multiple subpleural small nodules in the right lung and widespread all space consolidation and pleural effusion in the left lung. CT of liver revealed multiple small low attenuated lesion. The smears obtained from pleural fluid showed hypocellularity with a hemorrhagic background. The tumor cells were highly pleomorphic oval or spindle in shape and presented singly, in loose groups, in knitted syncytial aggregates, and in acinar pattern. Their nuclei had vesicular chromatin with delineated, thick nuclear membranes and occasionally a large eosinophilic, prominent nucleolus. The cytoplasm was plump, thin or protected in spindly fashion. Almost ail tumor cells showed variable sized intracytoplasmic vacuoles and their nuclei were sometimes crescentic by a huge vacuole. Occasional binucleated tumor cells and mitotic figures were present. Cellular debris and streaky materials were identified. Needle biopsy specimen from the pleura revealed anastomosing slit-like spaces lined by pleomorphic tumor cells. The tumor cells showed a strong reactivity for CD31 and vimentin and focal weak reactivity for factor VIII-related antigen.

  • PDF

Beneficial effects of naringenin and morin on interleukin-5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BALB/c mice with ovalbumin-induced asthma

  • Qi, Peng;Wei, Chunhua;Kou, Dianb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5권6호
    • /
    • pp.555-564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aringenin and morin on IL-5 and ROS production in PMA+ionomycin-treated EL-4 cells with the corroboration of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using an asthma-induced mouse model. The EL-4 cell line was used to study the outcomes of naringenin or morin, followed by cell viability studies. Western blot analysis and ELISA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2 mediated cytokines. In vivo studies were carried out on BALB/c mice to induce allergic asthma using ovalbumin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Intracellular ROS was determined using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followed by serum enzymatic (AST and ALT) estimations and inflammatory cell count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nd lung tissues.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lung tissue-stained architecture. Our findings suggested that naringenin and morin significantly suppressed IL-5 and ROS production via various pathways. Interestingly, by reducing NFAT activity, naringenin and morin stimulated HO-1 expression, thereby suppressing IL-5 secretion due to regulating the transcription factor Nrf2 via P13/Akt or ERK/JNK signalling pathways in EL-4 cells, demonstrating the involvement of HO-1 expression in inhibiting asthmatic inflammation. The increased inflammatory cells in the BALF were substantially decreased by both naringenin and morin, followed by inhibition in the elevated Th-2 cytokines levels. The TNF-α protein levels in an allergic asthma mouse model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suppressing Akt phosphorylation and eosinophil formation. Recent findings confirmed that naringenin and morin possess the potential to control asthma-related immune responses throug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dicating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or functional foods.

Pectolinarigenin ameliorated airway inflammation and airway remodeling to exhibit antitussive effect

  • Quan He;Weihua Liu;Xiaomei Ma;Hongxiu Li;Weiqi Feng;Xuzhi Lu;Ying Li;Zi Che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8권3호
    • /
    • pp.229-237
    • /
    • 2024
  • Cough is a common symptom of several respiratory diseases. However, frequent coughing from acute to chronic often causes great pain to patients. It may turn into cough variant asthma, which seriously affects people's quality of life. For cough treatment, it is dominated by over-the-counter antitussive drugs, such as asmeton, but most currently available antitussive drugs have serious side effects. Thus, there is a grea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with potent cough suppressant. BALB/c mice were used to construct mice model with cough to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pectolinarigenin (PEC). Hematoxylin-eosin and Masson staining were used to assess lung injury and airway remodeling, and ELISA was used to assess the level of inflammatory factor release. In addition, inflammatory cell counts were measured to assess airway inflammation. Airway hyperresponsiveness assay was used to assess respiratory resistance in mice. Finally, we used Western blotting to explore the potential mechanisms of PEC. We found that PEC could alleviate lung tissue injury and reduce the release of inflammatory factors, inhibit of cough frequency and airway wall collagen deposition in mice model with cough. Meanwhile, PEC inhibited the Ras/ERK/c-Fos pathway to exhibit antitussive effect. Therefore, PEC may be a potential drug for cough suppression.

내독소처치 흰쥐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치 상승에 따른 폐손상 악화 및 35 kDa 단백질 합성 (Lung Injury Indices Depending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 and Novel 35 kDa Protein Synthesis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t)

  • 최영미;김영균;권순석;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236-1251
    • /
    • 1998
  • 연구배경 : 급성폐손상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는 염증세포들이 분비하는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들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중 특히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는 다른 염증세포들의 화학주성 및 각종 염증성 매개물질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proin-flammatory cytokine으로 작용하는 한편, 직접적으로 세포손상을 야기시키는 세포독성 cytokine으로도 작용하는데, 급성폐손상에서 TNF-$\alpha$와 폐조직 손상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확인된 바가 많지 않다. 또한, 최근에 생체내 방어기전으로 스트레스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핵구에 내독소를 처치하거나, 동물에 내독소를 투여하기 전에 미리 스트레스 단백질을 합성시킨 경우, 내독소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켜 준다는 연구가 보고되었지만, 내독소 자극 자체만으로 스트레스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는지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내독소 유도성 급성 폐손상에서 TNF-$\alpha$ 분비와 폐조직 손상을 포함한 일련의 염증반응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생체내 내독소 자극에 대하여 폐포대식세포에서 스트레스 단백질을 포함한 새로운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흰쥐의 기관내로 내독소를 투여한 후 시간별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TNF-$\alpha$농도, 염증세포 백분율 변화,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고, 또한 각 시간대의 폐포대식세포에서 sodium dodes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와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에 대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단백질 합성양상을 분석하는 한편, 폐포대식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내독소 자극과 열처리를 가한 후, 배양상층액에서 tumor necrosis factor-a 농도를 측정하고, 폐포대식세포의 단백질 합성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내독소 투여 후 tumor necrosis factor-$\alpha$는 첫 1시간째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여 (p< 0.0001) 3시간째 최고치에 이르렀고 6시간째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째는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내독소 투여 후 염증세포 백분율의 변화는 2시간째부터 시작하여 6시간째 최고에 이르러 12시간째까지 지속하였으며, 장시간째에 정상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상 폐손상 지표 점수는 내독소 투여후 6시간째 최고치에 이르러 24 시간째까지 지속하였다. 내독소 투여 후 분리한 폐포대식세포에서 첫 1시간째부터 장시간째까지 정상 대조군에서는 관찰할 수 없던 35kDa의 새로운 단백질 띠가 관찰되었으며, 면역화학염색상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는 관찰되지 않았다. 내독소 자극을 가하지 않은 정상 대조세포군에 비해 내독소 자극을 가한 세포군의 배양상층액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01), 내독소 자극만 가한 세포군에 비해 열충격 전처치후 내독소 자극을 가한 세포군의 배양상층액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가 10 ${\mu}g/ml$ 내독소 자극군만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내독소 자극만 가한 세포군은 10 ${\mu}g/ml$의 고농도에서만 35 kDa 의 단백질 띠가 합성되었고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는 관찰되지 않았다. 열충격 전처치후 내독소 자극을 가한 세포군은 모두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가 관찰되었다. 결 론 : 기관내 내독소 투여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서 tumor necrosis factor-$\alpha$는 폐손상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내독소 자극에 의해서는 폐포대식세포에서 inducible heat stress protein72 합성이 유도되지 않으며, 35 kDa의 새로운 단백질 합성이 유도되었는데, tumor necrosis factor-$\alpha$ 농도 및 병리조직소견과의 관계를 볼 때, 급성 폐손상에 있어 35 kDa 단백질이 방어적인 역할을 담당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해서는 향후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투과선량을 이용한 온라인 선량측정에서 불균질조직에 대한 선량 보정 (Inhomogeneity correction in on-line dosimetry using transmission dose)

  • 우홍균;허순녕;이형구;하성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39-147
    • /
    • 1998
  • 목적 : 환자를 통과한 투과선량으로부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종양선량을 계산하는 새로운 개념의 온라인 선량측정시 인체 조직내의 폐 등 불균질조직의 존재는 인체내 종양선량 및 투과선량에 영향을 미친다. 인체내에 불균질조직이 존재하는 경우 측정된 투과선량으로부터 종양선량 환산시 밀도를 이용한 보정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폐조직의 밀도와 유사한 재질인 코르크 (밀도 $0.202\;gm/cm^3$) 팬톰 (CP) 과 연부조직의 밀도와 유사한 재질인 폴리스티렌 (밀도 $1.040gm/cm^3$) 팬톰 (PP)을 사용하였으며 인체의 흥부와 유사한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즉 흥부에 방사선이 전후 방향에서 조사될 경우에 해당하는 팬톰은 3cm 두께의 PP을 CP 상하에 위치하였으며 CP의 두께는 5, 10, 20cm 으로 하였다. 흥부에 방사선이 측면에서 조사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팬톰은 중앙에 종격동에 해당하는 6cm 두께의 PP 을 위치하고 좌우에 10cm 두께의 CP 을 위치하였으며 그 외측에 다시 3 cm 두께의 PP 을 위치하였다. 4 MV, 6 MV 및 10 MV X 선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면의 크기는 $3{\times}3$ 내지 $20{\times}20cm$의 범위, 팬톰-전리함간 거리 (phantom-chamber distance, PCD) 는 10-50 cm 으로 하였다. 또한 두 물질에 대한 밀도차를 이용하여 CP 과 동일한 방사선 감쇄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는 두께의 PP 을 CP 대신 위치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밀도를 이용하여 보정한 CP 와 등가두께의 PP 을 사용한 경우의 투과선량은 CP 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CP 의 두께 5cm 인 경우 4, 6, 10MV에서 각각 평균 0.18(${\pm}0.27$) %, 0.10(${\pm}0.43$) %, 0.33(${\pm}0.30$) %의 오차를 보였다. CP 의 두께 10cm 인 경우에는 에너지별로 0.23(${\pm}0.73$) %, 0.05(${\pm}0.57$) %, 0.04(${\pm}0.40$) %, 20cm 인 경우에는 0.55(${\pm}0.36$) %, 0.34(${\pm}0.27$) %, 0.34(${\pm}0.18$) % 의 오차를 보였다 중간에 6 cm 의 PP 을 위치한 경우에는 에너지별로 1.15(${\pm}1.86$) %, 0.90(${\pm}1.43$)%, 0.86(${\pm}1.01$)% 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는 PCD 10 cm 의 경우에 비교적 큰 오차를 보였으며 PCD 10 cm 인 경우를 제외하면 에너지별로 0.47(${\pm}1.17$) %, 0.42(${\pm}0.96$) %, 0.55(${\pm}0.77$0.77) % 의 오차로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 방사선이 통과하는 경로에 불균질조직인 폐가 존재할 경우에도 불균질조직에 대하여 조직의 밀도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투과선량으로부터 종양선량을 계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Equin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lpha (VEGFα) Gene in Horse (Equus caballus)

  • Song, Ki-Duk;Cho, Hyun-Woo;Lee, Hak-Kyo;Cho, Byung Woo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743-74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 hors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lpha gene ($VEGF{\alpha}$) by constructing a phylogenetic tree, and to investigate gene expression profiles in tissues and blood leukocytes after exercise for development of suitable biomarkers. Using published amino acid sequences of other vertebrate species (human, chimpanzee, mouse, rat, cow, pig, chicken and dog), we constructed a phylogenetic tree which showed that equine $VEGF{\alpha}$ belonged to the same clade of the pig $VEGF{\alpha}$. Analysis for synonymous (Ks) and non-synonymous substitution ratios (Ka) revealed that the horse $VEGF{\alpha}$ underwent positive selection. RNA was extracted from blood samples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different tissue samples of three horses. Expression analyses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quantitative-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showed ubiquitous expression of $VEGF{\alpha}$ mRNA in skeletal muscle, kidney, thyroid, lung, appendix, colon, spinal cord, and heart tissues. Analysis of differential expression of $VEGF{\alpha}$ gene in blood leukocytes after exercise indicated a unimodal pattern.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developing biomarkers that can predict the recovery capacity of racing horses.

Pine bark extract (Pycnogenol®) suppresses cigarette smoke-induced fibrotic response via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Smad family member 2/3 signaling

  • Ko, Je-Won;Shin, Na-Rae;Park, Sung-Hyeuk;Kim, Joong-Sun;Cho, Young-Kwon;Kim, Jong-Choon;Shin, In-Sik;Shin, Dong-Ho
    • Laboraroty Animal Research
    • /
    • 제33권2호
    • /
    • pp.76-83
    • /
    • 2017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PD) is an important disease featured as intense inflammation, protease imbalance, and air flow limitation and mainly induced by cigarette smoke (CS). In present study, we explored the effects of $Pycnogenol^{(R)}$ (PYC, pine bark extract) on pulmonary fibrosis caused by CS+lipopolysaccharide (LPS) exposure. Mice were treated with LPS intranasally on day 12 and 26, followed by CS exposure for 1 h/day (8 cigarettes per day) for 4 weeks. One hour before CS exposure, 10 and 20 mg/kg of PYC were administered by oral gavage for 4 weeks. PYC effectively reduced the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and proinflammatory mediators caused by CS+LPS exposur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PYC inhibited the collagen deposition on lung tissue caused by CS+LPS exposure, as evidenced by Masson's trichrome stain. Furthermore,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expression and Smad family member 2/3 (Smad 2/3) phosphorylation were effectively suppressed by PYC treatment. PYC markedly reduced the collagen deposition caused by CS+LPS exposure, which was closely involved in $TGF-{\beta}1$/Smad 2/3 signaling, which is associated with pulmonary fibrotic chan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PYC could be a therapeutic strategy for controlling COPD progression.

비소세포폐암 수술 후 세포분화도가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 (Cell Differentiation Might Predict the Recurrence in Surgically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 강형구;조성근;이혜민;박성운;이병욱;이재희;김보민;박인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1호
    • /
    • pp.10-15
    • /
    • 2010
  • Background: Lung cancer is the most common cause of cancer mortality in Korea. The TNM stage at presentation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as the greatest impact on prognosis. Patients who undergo a complete resection for NSCLC are likely to develop recurrent and/or metastatic disease. There are several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recurrence. We explored risk factors of recurrence in patients with stages I and II NSCLC, who had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Methods: We reviewed patients who had complete surgical resection as definitive treatment for stage I or II. Patients followed up for more than 36 months. We evaluated several factors which might have relationship with recurrence, such as patient's demographic factors, TNM staging, pathologic finding, tumor markers and surgical technique. Results: A total of 75 patients were enrolled for analysis, of whom 58 were men and 17 were women with mean age of 61 (range, 37 to 76) years. The average size of tumors was 3.9 cm (0.7 to 10 cm). There were 64 patients with stage I NSCLC and 11 with stage II NSCLC. Among 64 patients with stage I NSCLC, 35 patients showed recurrences whereas 8 patients have recurred in stage II NSCLC. Grade of differentiation of tum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currence. Seventy-five percent of patients who had poor tumor differentiation experienced a recurrence. In contrast, 3 patients of twelve had recurrences, who revealed differentiation in their tissue (p<0.05). Conclusion: Tumor differentiation could be a predictive factor for tumor recurrence in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urative resection for stage I or II NSCLC.

밀도를 입력한 CT planning을 이용한 Lung Cancer의 치료계획 (Treatment planning of Lung Cancer with Density corrected Computed Tomography)

  • 김성규;김명세;신세원;홍정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4권2호
    • /
    • pp.19-25
    • /
    • 1993
  • 연구목적 : Lang cancer의 치료계획에서 내부 장기 밀도의 입력에 의한 선량보정 및 선량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CT planning과 contour CT image만으로 planning한 경우의 치료 계획을 비교 검토하여 치료선량의 차이, 치료면적의 교정, 선량의 loading의 교정을 통한 CT planning의 우수성을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영남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1990년 4월 1일 부터 1993년 8월 31일까지 방사선 치료한 폐암환자 87명을 대상으로 Contour나 CT image만을 사용한 치료 계획과 밀도를 입력한 CT를 받은 치료계획에서의 총선량과 선량분포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 폐암환자 87명 전원, Contour와 CT를 이용한 선량비교에서, Contour로 한 경우가 CT로 한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선량 차이가 5%이하인 경우가 45명(52%), 5%에서 10%이하인 경우가 25명(29%), 10%에서 15%이하인 경우가 15명(17%), 15%이상인 경우가 2명(2%)으로 나타나서 45명(52%)에서 5%이상의 선량차이를 보여 contour로 치료계획을 할 경우 신중한 치료 선량의 선택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Simulation을 한 후 CT planning을 시행하여 치료 Field을 확인한 뒤, 치료 부위를 넓히거나 줄여서 보정한 경우가 18/87(21%)였고, 선량 loading의 변경이 있었던 환자는 15/87(17%)였다. 결론 : 본원의 CT planning은 부위별 정확한 밀도가 측정 입력되어 치료계획을 함으로써 tumon volume과 Critical orcal에 조사되는 정확한 선량을 알 수 있어서 Tumor control을 위한 총선량의 정확한 계산이 가능할뿐 아니라 field의 교정, loading의 변화등으로 적절한 선량 분포를 얻을 수 있어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주위 정상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정확히 측정함으로서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어 therapeutic gain을 높이는데 밀도가 입력되는 CT planning에 크게 기여할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0%이상의 선량차이가 있을때 local control의 저하 가능성이 30%정도 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폐암치료에서의 밀도가 입력된 CT planning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