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entrapmen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Lung Entrapment between the Pectus Bar and Chest Wall after Pectus Surgery: An Incidental Finding dur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Kim, Kyung Soo;Hyun, Kwanyong;Kim, Do Yeon;Choi, Kukbin;Choi, Hahng Joon;Park, Hyung J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375-377
    • /
    • 2015
  • We report a case of an entrapped lung after the pectus bar repair of a pectus deformity. The entrapped lung was found incidentally dur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for pneumothorax. Based on VATS exploration, multiple bullae seemed to be the cause of the pneumothorax, but the entrapped lung was suspected to have been a cause of the air leakage.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Pioglitazone을 봉입하기 위한 PLGA 나노입자 제조 및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ioglitazone Loaded PLGA Nanosphere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 우현주;김진수;김준기;너루라비;허강무;조광재;이용규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27-533
    • /
    • 2010
  • Pioglitazone을 봉입한 poly(lactide-co-glycolide)(PLGA) 나노입자를 emulsion-evapo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최적의 나노입자와 봉입률을 조절하였다. 제조된 나노입자의 크기는 125~170 nm이었으며 30% pioglitazone이 봉입된 나노입자(3% PVA)의 봉입률은 85% 이상이었다. 이러한 나노입자들은 40일 동안 일정하게 용출이 되었다. 당뇨병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글루코오스 농도를 저하시켰을 뿐만 아니라, 조직검사에서는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ioglitazone 경구투여를 위한 약물전달을 위한 운반체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예후인자 (The Predictors of Effectiveness on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into Loculated Pleural Effusion.)

  • 송기산;방제소;곽승민;조철호;박찬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21-628
    • /
    • 1997
  • 연구배경 : 흉막의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 흉막의 혈관 및 임파관의 투과성의 증가로 인한 혈장단백질의 유입으로 인해 흉막 비후와 격막의 형성으로 인하여 소방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 있어 흉막강내 섬유소용해 치료의 하나로 유로키나제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효과 예측을 위한 지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생화학적 지표들과 초음파검사상의 격막의 정도를 이용하여 유로카나제 치료효과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4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인하병원에서 소방이 형성된 흉막삼출액 소견을 보인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 초음파검사와 흉막삼출액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1개의 경피적 도관을 삽입하여 배액량이 100ml/day 이하로 감소되면 유로키나제를 주입하였고 배액량이 50ml/day 이하로 측정되면 유로키나제 주입을 중단하였다. 흉부단순촬영 추적검사에서 50% 이상의 폐실질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효과군으로, 50% 미만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실패군으로 분류하여, 각군들에 대한 초기 흉막 삼출액의 당, 단백질, LDH, ADA, pH, 백혈구 수와 초음파 상의 격막 정도를 무에코형, 선상 격막형, 벌집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35명중 치료효과군은 27명 (77.1%)이었고, 치료실패군은 8명(22.9%)였으며, 성과 연령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었다. 2) 치료효과군과 치료실패군 사이의 증상발현 기간에 있어서 치료실패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유로키나제 주입치료 기간중의 배액량도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치료효과군에서 $89.7{\pm}35.9mg/dl$, 치료실패군에서 $41.2{\pm}47.1mg/d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LDH는 치료효과군에서 $878.7{\pm}654.3IU/L$, 치료실패군에서 $2711.1{\pm}973.1IU/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P<0.05), 단백질, pH, ADA, 백혈구수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경피적 도관 삽입을 통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증상발현 기간이 길수록, 흉막삼출액의 당이 낮을수록, LDH 의 수치가 높을수록, 초음파 검사상 격막의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가 어려운 것을 나타내는 예측인자임을 추정할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