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cilia illustri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42초

Proiein A-gold와 colloidal gold 입자에 대한 연두금파리 (Lucilia illustris) 혈구의 세포성 면역반응 (Cellular Immune Responses of Lucilia illustris Hemocvte to Protein A- Gold and Colloidal Gold Particles)

  • 노미전;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00-208
    • /
    • 1993
  • 연두금파리 종령유충의 복강내에 이물질로서 protein-A gold 용액(20 nm 크기) colloidal gold 용액(15 nm 크기), 그리고 이들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혈구가 이들을 처리하는 양상을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Gold 입자에 대한 혈구의 세포성 면역작용 방식은 식세포작용이었고 이러한 식세포 작용은 연두금파리에서 확인한 prohemocyte, plasmatocyte. granulocyte type I, II, III, 그리고 oneocvtoid 등의 6가지 혈구 중 type 11 granulocyte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Gold 입자는 주로 판상의 원형질 돌기를 통하여 혈구 속으로 들어갔으며 coated-pit로 보이는 구조에 의해서도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세포 작용은 gold 용액 주입후 10분 이내에 빠른 속도로 일어났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gold 입자를 함유한 phagosome은 리소소음과 융합하여 phagolysosome을 형성하면서 세포질내에 축적되어 있었다. Gold 용액을 주입한 후 type II granulocyte에서는 세포질 돌기와 전자 밀도가 높은 과립, 그리고 세포 소기관이 소실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protein A-gold 및 colloidal gold 용액에 대한 기본적인 식세포 과정은 별다른 차이점이 없었으나 gold 입자 섭취 초기 과정과 양, 그리고 multivesicular body의 모습등에서는 차이점을 보여 주었다.

  • PDF

연두금파리(Lucilia illustris) 혈구에 대한 결절형성인자와 결절형성과정 (Studies on the Nodule Formation Factor and Mechanism of the Hemocyte in Lucilia illustris)

  • 정민원;김지현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
    • /
    • 1995
  • 연두·금파리에서 혈구 세포가 면역반응의 일환으로 일으키는 결절형성(nodule formation) 현상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고자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연두금파리 종령 유충 체내에 정상 효모, 고정된 대모, 세포액이 제거된 원형질체의 효모를 각각 주입하여 면역반응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정상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 효모와 접촉한 헐구의 과립방출과 곧 이은 혈구의 파괴 그리고 효모 주위에 혈림프와 함께 점액성응혈(clot)의 형성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점액성 응혈에는 여러 유형의 파괴된 혈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같은 면역반응에는 체내 혈구 중 과립혈구(granulocyte)가 가장 활발히 반응였고 응혈의 대부분을 형성하였다. 결절의 중심부인 응혈은 대모와 파괴되지 않은 혈구 대 파괴된 혈구 그리고 방출된 과립들로 차 있었고, 효모 주입 3시간 까지는 이같은 응혈은 계속 확대되었다. 그러나 10시간 이후에는 응혈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때 체강내에서 효모가 관찰되곤 하였다. 고정된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혈구파괴나 과립방출 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고정된 효모에 대한 혈구의 식 세포작용만이 관찰되었다. 이 식세포작용은 주입후 10시간 까지 계속되었다. 원형질 체의 효모를 주입하였을 경우에는 혈구에의한 면역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 PDF

면역유충 체액으로 부터 항균물질의 유도 (Induction of Bactericidal Substance from the Immunized Larval Haemolymph of L. illustris)

  • 육순학;장정순
    • 미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9-317
    • /
    • 1987
  • 정상 상태의 연두금 파리 (Lucilia illustris) 제 3령충의 체액 (normal-haemolymph)으로 부터 그람양성 세균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는 lysozymec (or lysozyme-like substance)을 확인하였으며 체벽을 손상시킨 체액 (injured-haemolymph)의 경우 그 항균력이 증가되었다. 특히 비병원성 세균인 Escherichia coli K-12로 면역하여 얻은 체액 (immune-haemolymph)의 경우 injured-haemolymph보다 그람양성 세율에 대하여 더 높은 항균력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그람음성 세균인 E. coli에 대하여 도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Immune-haemolymph로 부터 유효 분획을 얻고 이에 대한 성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Sephacryl S-300 및 CM-Sepharose CL-6B로 분리시킨 결과 상기 항균울질은 엽기성 만백질로서 산성하에서 내열성의 성질을 나타냈다.

  • PDF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 (Protein Contents During Oocyte Development and Some Characteristics of Egg-Specific Protein in Lucilia illustris)

  • Lee, Jong-Jin;Man-Young Choi;Hee-Kwon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0-146
    • /
    • 1995
  •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gel filtration, 전기영동 및 분자량측정, 아미노산과 지방산함량을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같다. 연두금파리 암컷성충의 난소단백질은 단백질원을 섭식시킨 후 72시간 이후 빠르게 증가하였고, 완전한 성숙이 일어나는 96시간에 최고의 함량을 나타냈다. DEAE-cellulose와 Sephacryl 5-200으로 gel filtration하고 7.5% native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결과 난소에서 분리된 특이단백질은 ${R}_{f}$ 0.4에서 혈림프 및 난소와 다른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자량은 110,000 dalton이였다. 분리된 난특이성단백질내 아미노산 조성은 asparagine 외 모두 13종이 검출되었으며, asparagine, glutamic acid와 함께 tyrosine이 특이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은 난소와 함께 난특이성단백질에서 palmitic acid의 4종이 분리되었다. 따라서, 연두금파리의 난에는 지방체에서 합성, 분비된 난황단백질이외에 난소에만 존재하는 특이단백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연두금파리 종령유충의 복신세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Ventral Nephrocytes in the Larva of Lucilia illustris Meigen)

  • 조정숙;김관선;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2호
    • /
    • pp.29-38
    • /
    • 1991
  • Ventral nephrocytes in the larva of the Lucilia illustris comprise ellipsoid cells situated onto the salivary glands. The cells are $60{\sim}100{\mu}m$ in diameter. Junctional complex beneath the basement membrane hold the plasma membrane in a even contour. Intracellular channels from the juntion complex are well developed at the cortex part of the cell. Coated vesicles pinched off from the channels seems to be connected with the ${\alpha}$-vacuoles via the tubular elements, which is regared as selective absorption system from the hemolymph. Two nuclei are sometimes observed in the medulla part of the cell. Ventral nephrocytes contain well-develop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Golgi complex, and numerous mitochondria. These cellular organelles synthesize lysosome. The lysosome not only digest some cell organells but also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beta}$-vacuoles.

  • PDF

연두금파리의 발생에 따른 cyclic AMP,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Ecdysteroids의 변화 (Wariations in cyclic AMP,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and Ecdysteroids during Development of the Blowfly, Lucilia illustris)

  • 김유경;류진수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65-572
    • /
    • 1994
  • 연두금파리의 유충-번데기-성충의 발생에 따른 cyclic AMP(CAMP)와 ecdysteroids의 농도 및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PKA)의 활성도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와 Liquid Scintillation Counter(LS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관 기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CAMP의 농도와 PKA의 활성도는 종령유충 및 성충에서 낮은 갓(0.29 UM/g, 5.52~5.59 unit/mg)을 나타내었고 번데기 0일(0.49 UM/g. 92.22 unit/mg)과 7일(0.50UM/g, 24.45 unit/mg)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번데기 4일에서 최저수준(0.13 $\mu$M/g3.23 unit/mg)을 나타내었다. Ecdysone 농도는 번데기 2일에 최고치(37 84 USlg)를 4일에 최저치(18.46 Ugyg)를 보인 후, 5일에 24.37 1519로 상승하였으며 성충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20-hydroxvecdysone 농도는 번데기 4일(23.66 UgyS)과 번데기 6일(14.90 Ugyg)에 최고치를 이루었고, 7일에서 최저치(1.21 USi9)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