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er facial height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인 악안면 연조직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KOREAN SOFT TISSUE PROFILE)

  • 오천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93
    • /
    • 1982
  • The purpose of orthodontic treatment is to achieve normal occlusion and good facial esthetics for individual patients. To produce harmonized facial balance,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 who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include both a hard tissue and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uthor studied to derive the normal standards of soft tissue profile in Koreans by roentgenocephalometric analysis. For this study 12 soft tissue profile landmarks were plotted and 23 linear length, 9 soft tissue thickness, 8 vertical height length, 12 angles of soft tissue profile, and 3 vertical proportion were measured. The subjects consisted of 166 males and 209 females from 7 to 19 years with normal occlusion and acceptable profiles, and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ag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From the basis of N-Pog (Nasion-Pogonion) plane, the growth of facial soft tissue in the middle region especially nose area was greater than others facial region. 2. From the basis of G-Pog' (Glabella-soft tissue Pogonion) plane, the values of linear measurement of soft tissue Nasion and Inferior labial sulcus decreased and nose tip grew forward as growing older. 3. The growth of the facial soft tissue thickness was greatest in superior labial sulcus and the thickness of soft tissue nasion gradually became thinner as growing old. 4. The thickness of upper and lower lip was 14.47mm, 14.57mm in adulr male, 12.76mm, 13.78mm in adult female. 5. The soft tissue thickness of the lower lip was thicker than that of upper lip in all age groups and both sexes, 6.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lips were 25.04mm, 49.97mm in adult male and 23.50mm, 48.39mm in adult female. 7. By the significant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fifth adult group on all vertical length measurements of lower face. 8. In fifth adult group, the perpendicular distance from LS, LI to Steiner's line and Ricketts' esthetic line were as follow; Steiner line to LS, LI were 7.98mm, 5.84mm in male. Steiner line to LS, LI were 6.71mm, 5.08mm in female. Ricketts' esthetic line to LS, LI were -0.40mm, 1.72mm in male. Ricketts' esthetic line to Ls, LI were -1.38mm 0.65mm in female. 9. In fifth adult group, the facial convexity angle and lower facial component angle were $171.17^{\circ}142.94^{\circ}$ in male and $172.5^{\circ}$, $144.41^{\circ}$ in female.

  • PDF

Changes in longitudinal craniofacial growth in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s using the Ricketts analysis

  • Bae, Eun-Ju;Kwon, Hye-Jin;Kwon, Oh-W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7-87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fine the Korean norm values for the Ricketts analysis. Methods: In this longitudinal study, lateral cephalograms of 31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were taken biennially from ages 9-19 years. Cephalometric measurements were performed. Parameters for which the 10-year change did not exceed one standard deviation were defined as unchang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the measured parameters were determined for each age group. Results: No significant changes in growth were observed in the molar relationship, incisor overjet, incisor overbite, mandibular incisor extrusion, interincisor angle, lower incisor tip (B1) to A point-Pogonion (A-PO) plane, upper incisor tip (A1) to A-PO plane, B1 inclination to A-PO, A1 inclination to A-PO, B1 inclination to Frankfurt plane (FH), convexity, lower facial height, facial axis, maxillary depth, maxillary height, palatal plane to FH, cranial deflection, ramus Xi position, or porion location. Continual changes over the 10 years of growth were observed in the maxillary first molar distal position to pterygoid true vertical plane, facial depth, mandibular plane to FH, anterior cranial length, mandibular arc, and corpus length. Conclusions: Clinicians can apply the Korean norms at age 9 as determined in this study when using the Ricketts analysis. The patient's ag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their sex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rawing visual treatment objectives.

개방교합성 골격 형태를 가진 아동과 성인의 치성보상 양상 (Dentoalveolar Compensation of Hyperdivergent Skeletal Pattern in Children and Adults)

  • 전영미;박동철;김정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7-207
    • /
    • 1999
  • 심한 골격성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치열 보상에 의하여 교합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경우를 자주 볼수 있으며, 이러한 치열 보상은 삼차원 평면 모두에서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교합성 골격 형태의 치 보상 양상을 관찰하고, 이러한 골격형태를 보이는 성인과 아동의 치열보상 양상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개방교합성 골격형태를 보이는 환자 60명과 정상군 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각각을 연령에 따라 8-12세의 아동군과 17세 이상의 성인군으로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교성골격군의 후하안면고경은 아동과 성인 모두에서 정상군보다 작으며(p<0.01), 전하안면고경은 아동에서 정상군과 차이가 없으나 성인에서는 정상군보다 크다(p<0.01). 2. 개교성골격군에서 기저골 길이에 대한 상하악 전치의 맹출비는 아동기에 정상군보다 크며(p<0.05), 성인기의 상악전치의 맹출비는 아동기에 비해 컸으나(p<0.05) 하악 전치의 맹출비는 아동기와 유사하였다. 3. 개교성골격군에서 상$\cdot$하악 구치의 기저골의 길이에 대한 상대적인 맹출량은 아동기에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지만, 성인에서 상악 구치의 상대적인 맹출량은 정상군보다 컸으며 (p<0.01), 하악 구치의 상대적인 맹출량은 정상군과 동일하였다. 4. 개교성골격군에서 하악평면에 대한 하악 교합평면의 경사는 아동이나 성인 모두에서 정상군보다 더 큰 각을 이루며 (p<0.01), 상악 교합평면 경사는 성인기에 아동기보다 컸다(p<0.05). 상악 교합평면은 성인기에 아동기보다 전상방경사를 보였다(p<0.01). 5. 개교성골격군에서의 치성보상은 아동기에 이미 상$\cdot$하악 전치부의 과맹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개교성골격군은 성장과정중 상악 구치부의 과도한 수직적 발육을 보이며 이에 대한 보상적 반응으로 상$\cdot$하악 전치부는 정상군보다 더 큰 맹출량을 보이는데 특히 상악 전치부에서 더 큰 맹출비를 보인다.

  • PDF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Class III cases by second molar extraction)

  • 이성희;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9
    • /
    • 2004
  • 이 연구는 제 2 대구치를 발거하고 하악 제 1 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위해 CPHG(cervical pull head gear)와 경우에 따라 III급 고무줄을 사용하여 고정성 교정장치로 치료한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전후 안면골 및 치아치조부, 연조직의 평균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평균 ANB가 $-1.4^{\circ}$ 이고 IMPA가 $85^{\circ}$인 중등도이하의 III급 부정교합자 15명을 대상으로 치료전후 측모두부 X-선 규격사진의 평균 두개안면부 측면 중첩모식도를 작성하고 계측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안면고경에 대한 전하안면고경의 비율은 $0.6\%$증가(P<0.01)하였고, 하악 평면각이 $1.5^{\circ}$증가(P<0.05)하였다. 2. 전방 두개저에 대한 하악골 위치는 미약하게 후하방회전하였다. 3. 하악 제 1 대구치가 4.06mm(P<0.001)후방경사이동하였고 하악 전치는 설측으로 $3.2^{\circ}$경사이동(P<0.05)하였다. 4. 하순의 후퇴로 인한 안모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골격성 부조화가 중등도 이하인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하악 제 1대구치의 후방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하악 전치의 지나친 설측경사를 피하기 위해 제 2 대구치를 발거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증례의 선택시 치료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 2 대구치 발거 후 제 3대구치의 맹출 및 치료후 예후에 대한 장기적인 관찰은 이루어지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McNamara분석법에 의한 III급 부정교합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THE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GROWING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BY MCNAMARA ANALYSIS)

  • 양규호;김지영;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2-420
    • /
    • 2001
  • 정상교합아동과 비교적 조기치료가 요구되는 III급 부정교합을 갖는 성장기 아동에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치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에서 9세사이의 III급 부정교합 아동 83명과 안모가 단정하고 정상교합을 갖는 광주지역 초등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촬영을 하여 McNamara 분석법을 이용한 계측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계측치에서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Facial axis, Nasion perp to pogonion, Point A perp to Mx 1, A-Pog line to Mn 1의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2. 여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의 계측치에서 Nasion Perp. to Point A(p<0.05), Effective Mandibular length, Effective Maxillary length,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 Mandibular plane angle, Point A perp to Mx 1, A-Pog line to Mn 1의 항목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3. Effective Mandibular length는 남아에서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러나 Effective Maxillary length는 III급 부정교합자가 남녀 모두에서 정상교합자보다 유의성있게 짧았다(p<0.01). 4. Anterior lower facial height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남아와 여아의 계측치 비교에서 Anterior lower facial height와 Mandibular plane angle은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 교합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 PDF

하악전돌증 환자의 악교정 수술후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HARD AND SOFT TISSUE CHANC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OF MANDIBULAR PROGNATHISM)

  • 최유경;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07-724
    • /
    • 199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imate hard and soft tissue changes after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correction of the mandibular prognathism and to describe interrelationship and ratios of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lateral cephalograms of 31 treated patients(17 males and 14 females) was used ; these patients had received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reatment by means of a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Their ages ranged from 16 to 31 years and mean age was 21.4 years. A computerized cephalometric appraisal was developed and used to analyse linear and angular changes of skeletal and soft tissue profile. The statistical elaboration of the data was made by means of $SPSS/P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s of soft and hard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significantly high and the ratios were $97\%$ at LI, $107\%$ at ILS, and $93\%$ at Pog'. 2. The correlations of vertical changes at Stm, LI and horizontal changes at Pog were high$(26\%)$ and at the other areas were not statistically high. 3. The correlations of soft ad hard tissue vertical changes were not significantly high in all areas except Gn' $(30\%)$ and Me' $(56\%)$. 4. The soft tissue thicknes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upper lip and increased in lower lip, and the amount of changes after surgery was reversely correlated with initial thickness. 5. The facial convexity was increased and relative protrusion of upper lip was increased and that of lower lip was decreased. 6. The upper to lower facial height(Gl-Sn/Sn-Me') was increased and upper to lower jaw height(Sn-Stms/Stmi-Me') was increased.

  • PDF

밀집치열인의 두개안면골의 형태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MORPHOLOGY IN ADULT WITH CROWDED DENTITION)

  • 전준영;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21-433
    • /
    • 1988
  • 정상치열을 가진 성인 84명 (남자 44명, 여자 40명)과 밀집 치열을 가진 성인 61명 (남자 33명, 여자 28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방사선 규격사진상에서 정상치열인과 밀집치 열인간의 두개 안면골의 형태학적 차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상군과 밀집군에서 남녀별 각 계측항목의 평균치, 표준편차 및 Facial polygon들을 얻었다. 정상군에 비해 밀집군에서 두개기저골에 대해 구개평면, 교합평면 및 하악하연이 하방으로 경사되었고 구개평면에 대해 하악하연도 하방으로 경사되었으며 하악우각도 크게 나타났다. 정상군에 비해 밀집군에서 상하악골이 두개기저골에 대해 후방위치하였다. 정상군에 비해 밀집군에서 상악전치는 순측으로 경사되 었으며 하악전치는 설측으로 경사되었다. 정상군의 남자에 비해 밀집군의 남자에서 후안면고경과 하악지길이가 더 짧으며 정상군의 여자에 비해 밀집군의 여자에서 후안면 고경, 하악골체장 및 후두개저 장경이 더 짧으며 전안면고경은 더 길게 나타났다.

  • PDF

정상교합을 가진 유치열기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CEPHALOMETRIC ANALYSIS FOR CHILDREN WITH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

  • 서문선;손흥규;백형선;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18
    • /
    • 2005
  • 소아치과 영역에서 아동의 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비교분석은 성장과 발육의 평가에 중요하며 부정교합의 조기진단과 치료를 위한 두개 안면부의 형태, 성장 양상을 아는 것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표준치가 중요한데 유치열기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으므로 유치열기 정상교합 아동의 표준치를 얻고 과거 연구에서의 계측치와 비교하고자 서울시내 소재의 유아원 아동 중 유치열기의 정상교합을 가진 4세에서 5세 아동으로 본원에 내원한 안모 및 전신 발육 상태가 양호한 아동 4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 사진을 촬영,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격성 계측항목에서 각도 계측치는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길이 계측치는 남자가 여자보다 전반적으로 큰 수치를 보였다. 2. SNA는 $81.3^{\circ}$, SNB는 $76.6^{\circ}$, ANB difference는 $4.7^{\circ}$를 나타냈다. 3. Anterior cranial base length에 대한 Mandibular body length의 비율은 남녀모두 0.9:1이었고 Anterior facial height에 대한 Posterior facial height의 백분율은 남자 61.4%, 여자 62.0%를 나타냈다. 4. 치성 계측항목에서는 IMPA는 $84.2^{\circ}$, UA to SN은 $90.8^{\circ}$를 나타냈다. 5. Ricketts의 심미선에 대하여 상순은 2.6mm, 하순은 2.5mm 전방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 PDF

과로와 전치부 교합과 두개안면골 형태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CONDYLAR PATH, ANTERIOR OCCLUSION AND CRANIOFACIAL MORPHOLOGY)

  • 김상철;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4
    • /
    • 1988
  • The stable occlusion in function is thought as important as the esthetics in form, in order to preserve the healthy oral condition. The stable occlusion requires the harmony between the condylar guidance factors and the anterior guidance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ylar guidance factors and the anterior guidance factors, estimating statistically the measurement of the condylar paths by Pantronic and those of the anterior guidance factors, craniofacial morphology by roentgenocephalometry in 46 relatively good functional oc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surements of the protrusive condylar path inclinations were $36.41^{\circ}$ in the right, $35.63^{\circ}$ in the left, $36.28^{\circ}$ in the mean. The measurements of Fisher's angles were $8.17^{\circ}$ in the right, $6.43^{\circ}$ in the left, $6.87^{\circ}$ in the mean. 2. The anterior facial height and th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mad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protrusive condylar path inclination. 3.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relative to the artificial articulator plan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aximum protrusive condylar path. 4. SNA and SNB mad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and AAP-GoMe, AAP-DcGn, the facial height rati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5. The angulation of maxillary incisor lingual slope, overbite and the ratio of overbite to overie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rticular eminence angle. 6. The angulation of maxillary incisor lingual slope , overbite, and the ratio of overbite to overjet mad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clination of occlusal plane, functional occlusal plane. 7. Overbite and the ratio of overbite to overje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ngulation of maxillary incisor lingual slope. 8. The anterior guidance factor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mean protrusive condylar path inclination and the maximum Fisher's angle, and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hose were made.

  • PDF

성인 정상 교합자의 연조직 비율에 관한 두부 X-선 계즉학적 분석 (A PROPORTIONAL ANALYSIS OF SOFT TISSUE PROFILE IN KOREAN YOUNG ADULTS)

  • 이정화;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05-41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portional characteristics of soft tissue profile in Korean young adults. The sample consisted of 50 young adults(25 males and 25 females) who had pleasing profile and normal occlusion. Soft tissue propor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lateral cephalograms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proportional analysis were obtained. 2.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were larger in male. But facial proportion had no sexual difference except upper/lower face height (p<0.05). Upper/lower face height was larger in female than in male. 3. Vertical dimensions, except SN-ST, had high correlation with horizontal dimensions. 4. Head positioning error of natural head position was smaller than inter -individual variability of SN l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