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Level Laser Therapy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초

물리치료에 따른 근육의 경도와 탄성도 비교 (Muscle Stiffness and Elasticity Related to Physical Therapeutic Modalities)

  • 김성환;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3호
    • /
    • pp.319-328
    • /
    • 2007
  • 본 연구는 근육의 경도와 탄성도를 측정하여 교근 피로에 대한 물리치료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측두하악장애 치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물리치료이면서 작용기전은 서로 다른 세 가지 치료법인 전기침자극치료(EAST), 극초단파(Microwave diathermy), 저수준레이저치료(LLLT)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건강한 20대 지원자 10명을 선정하여, 교근의 전부와 하부의 근육 경도와 탄성도를 촉각센서로 측정하였다. 실험적으로 교근 피로를 유발하기 위해 피검자가 VAS (0 to 10) 5 이상의 통증을 느낄 때까지 껌을 씹게 하여 근육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치료 없이 15분간의 휴식을 준 다음 다시 검사하여 물리치료 후의 효과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하루 간격으로 사흘에 걸쳐 동일한 시간 동안 껌을 씹게 한 다음, 물리치료 한 가지씩을 매일 시행하였으며 3가지 물리치료법의 적용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다. 껌 저작 전, 직후, 15분 후, 각각의 물리치료 시행 후에 근육 경도와 탄성도 측정과 함께 피검자들이 느끼는 근육의 피로도를 VAS로 평가 하도록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저작측에서만 껌 저작 직후와 15분 후에 근육경도의 증가와 탄성도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p<0.05) 비저작측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VAS는 저작측과 비저작측 모두에서 증가하였다(p<0.05). 껌 저작으로 인해 변화되었던 근육경도와 탄성도는 전기침자극치료나 극초단파 치료 후에 효과적으로 회복되고 VAS가 감소했으나(p<0.05) 저수준레이저 치료 후에는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편측 저작은 저작측 근육의 경도를 증가시키고 탄성도는 감소시키는 반면, 비저작측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기침자극치료와 극초단파치료는 모두 근육의 경도를 감소시키고 탄성도를 증가시켜 근육의 피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인데 반해 저수준레이저치료의 효과는 미약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 조수현;박준상;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3호
    • /
    • pp.331-343
    • /
    • 2000
  •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PDF

요통관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Management of Low Back Pain)

  • 현경선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60
    • /
    • 1998
  • The result of studying papers about management of lower back pain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nursing and medical magazines in these 10 years is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 of lower back pain ; 1) In sex distribution, there were more men than women in 5 papers and more women than men in 4 papers among 9 papers surveryed. 2) In age distribution, thirties to forties of patients had more lower back pain as surveyed by general hospitals and fifties to sixties of patients had more lower back pain as surveyed by oriental medical hospitals. 3) In cause factor, there were 50 to 65% of sprain, 32 to 44% of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and 13 to 29% of degenerative changes. 4) In symtom distribution, there were 26 to 57% of lower back pain, 42 to 65% of lower back pain with radiating pain and 34 to 99% of paravertevral muscle spasm. 5) In period of pain management distribution, 18 to 40% of patients experienced pain for less than 6 months and 59 to 82% of them experienced pain for more than 6 months in 3 papers among 4 papers. 6) In surveying the treatment, 66 to 88% of patients had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ere were treatments of general hospital, oriental medicine, self remedy and traditional practice in conservative treatment. 7) In job distribution, 12 to 50% of them were housekeepers, 23 to 31% office workers, 4.6 to 36% blue color workers and 11 to 15% students. 2. As psychological character lower back pain paients had 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phobic anxiety, neurasthenia, hypochondriasis,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3. To distinguish the cause of lower back pain, plain lumbar roentgenogram, straight leg rasing test, eletromyelogic findings,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CT and MRI were performed. 4. To relieve lower back pain. epidural adhesiolysis, epidulal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 in mixture with steroid, lumbar spinal root block, low level laser therapy, acupuncture like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AL TENS), topical capsaicin and lumbar orthotics were used in medical field, and relaxation technique was used in nursing field. 5. Mckenzie's extension exercise and William's flexsion exercise for lower back pain were used in medical field and Yoga exercise was applied in nursing field. 6. The more school education and self efficacy were high, the better they had active coping lower back pain positively and the less self efficacy was the more they had serious pain. As a result of studying the paper there have been very little research for lower back pain in nursing field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Because 60 to 80% of population expeience lower back pain at least more than o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udy and clinical practice for management of lower back p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