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udspeaker Damp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스피커 댐퍼의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Damper of a Loudspeaker)

  • 최도성;이성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2-196
    • /
    • 2004
  • 스피커 댐퍼의 재질에 따른 휨강도와 기하학적 요소인 주름의 반경 및 각 주름의 곡률반경으로 탄성계수를 결정하여 실험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댐퍼의 탄성은 휨강도에 비례하고 원형주름의 반경에는 반비례하며 주름의 곡률반경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댐퍼의 안쪽은 주름을 작게 만들고 바깥쪽은 주름을 크게 만든 변형 댐퍼로 스피커를 제작함으로서 고음부의 감도가 증가하면서도 저음부가 강화되는 소형 스피커를 만들 수 있었다.

스피커 댐퍼용 아미노실란 처리 수분산 폴리우레탄/에폭시 하이브리드 수지의 합성 (Synthesis of Aminosilane treated Waterborne Poly Urethane/Epoxy Hybrid Resin used for Loudspeaker Damper)

  • 최현석;최동호;박주용;허만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6
    • /
    • 2017
  • This study worked on the synthesis of waterborne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containing aminosilane compound to replace conventional phenol resins used for a coating material for loudspeaker dampers, which are not harmful to human being. Waterborne polyurethane resins were synthesized from two diisocyanate of 4,4'-diphenylethane diisocyanate and toluene diisocyanate, two polyols of polyester polyols(PEP), polycarbonatediol(PCD), including and anionic center of dimethylol butanoic acid, a chain extenders of ethylenediamine(EDA), and a neutral agent of triethylamine. Synthesized polyurethane resins and commercially available bisphenol A type waterborne epoxy resin were blended in weight ratios of 80:20 to prepare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The synthesized waterborne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were reacted with aminosilane compound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Aminosilane-treated polyurethane /epoxy hybrid resins show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자성유체의 스피커 댐핑효과에 관하여 (Befitting Test of Magnetic Fluid to Speaker Damper)

  • 이효숙;유제광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98
    • /
    • 1998
  • 자성유체의 자기력, 점성, 비열등을 이용한 댐핑효과로 스피커의 대출력화, 고급화를 도모할수 있다. 공침법으로 합성한 magnetite에 올레인산을 피복하고 윤활유에 분산하여 스피커 댐퍼용 자성유체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자성유기체의 자기적 특성, 전도 및 열안정성을 측정하였고, 이를 고음스피커인 6cm tweeter에 적용하여 댐핑효과와 방열효과를 평가하였다. 일본 NFC의 APG-815 자성유체의 특성돠 비교하였을 때 고체비율 20%로 제조한 자성유페는 자기적특성, 온도상승에 따른 점도변화, 댐핑효과 및 방열특성이 APG-815와 같거나 우수하였다.

  • PDF

스피커용 댐퍼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에폭시 하이브리드 수지의 합성 (Synthesis of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 used for Damper of Loudspeaker)

  • 최현석;최동호;허만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0-47
    • /
    • 2016
  • As a coating material for loudspeaker dampers, resilient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were synthesized to replace conventional phenol resin and examined the physical properties, which are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not harmful to human. Five types of polyurethane resins were synthesized in the step-shot method using methylene diisocyanate, three polyols such as poly tetramethylene ether glycol(PTMEG, MW:2000), poly(1,4-buthylene adipate(PBAP, MW:2000), and poly carbonatediol(PCD, MW:2000), and three chain extenders such as ethylene glycol(EG), neopentyl glycol(NPG), and 1,4-buthandiol(1,4-BD). The five types of synthesized polyurethane resins and commercially available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were blended in weight ratios of 90:10, 70:30, and 50:50 to synthesize 15 types of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Among the polyurethane resins, the one that was synthesized using PCD and 1,4-BD showed excellent tensile strength, 100% modulus, low extension, and relatively high viscosity.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s with higher epoxy resin contents showed better thermal properties and water resistance while those with higher polyurethane contents showed higher flexibility. The polyurethane/epoxy hybrid resin made by blending the polyurethane based on PCD and 1,4-BD with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in a weight ratio of 70:30 was identified to be the most suitable to be used in speaker dampers.

스피커 댐퍼의 음향방사 (Radiation of the damper of Loudspeaker)

  • 이한량;오세진;윤석왕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1호
    • /
    • pp.127-130
    • /
    • 2004
  • 다이나믹 스피커의 진동판과 보이스코일을 지지하는 댐퍼는 스피커 진동부에 복원력을 공급하는 탄성체로서만 고려되어 왔다. 즉, 음파발생 장치로서 스피커를 고려할 때, 음파발생부로서 진동판과 부가적 음파발생부로서 에지에 의한 영향만이 고려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진동판과 에지를 제거한 후, 댐퍼와 보이스코일 만으로 진동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제작하여 댐퍼에 의해 발생된 음파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댐퍼를 개별적인 음원으로 가정하여 댐퍼에 의해 발생된 음파를 계산하여 측정치와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댐퍼는 스피커 진동계 복원력을 제공하는 요소로저 만이 아닌 진동판 이외의 부가적인 음원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저음재생용 소형 스피커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ll Size Loudspeaker for Hi-Fi Low Frequency Sound Reproduction)

  • 남경준;이채봉;김천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31-37
    • /
    • 2001
  • 본 연구는 최근 멀티미디어 기기의 소형화추세에 따라 음향재생 장치인 스피커 시스템을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규격에 적합하게 구성하기 위해 저음재생용 소형스피커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등가회로 해석법을 활용하여 기본 공진주파수를 구하고 이에 대응하는 스피커 부품들의 구조적인 변경 및 재질의 변경 등 다수 회의 반복적인 설계, 제작에 의하여 구현되었다. 그 결과로서 저음재생 특성이 우수한 80 mm 소형 동전형 스피커가 개발되었다. 제작된 저음재생용 소형 스피커의 무향실 내에서 성능 측정 결과, 수치 시뮬레이션인 등가회로법에 의한 기본 공진주파수는 81 Hz인 반면 설계 제작된 최적 모델의 기본 공진주파수는 79 Hz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스피커의 전방 1 m 거리에서 음향재생 주파수 대역은 80 Hz ∼ 15 kHz, 평균 음압레벨은 84±2 dB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피커의 음향특성에 있어서 음질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고조파 왜율은 기존의 전 대역 80 mm 스피커에서의 제 2차 고조파 왜율 (at 400 Hz)은 0.9%, 제 3차 고조파 왜율 (at 100 Hz)은 6%인 반면 본 개발품에서 제 2차 고조파 왜율 (at 400 Hz)은 0.5%, 제 3차 고조파 왜율 (at 100 Hz)이 1.8%로 크게 개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