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us

검색결과 607건 처리시간 0.028초

연자육 분말 첨가 절편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 Seed Powder)

  • 정세현;김순임;심기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05-51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Original Jeolpyeon and Jeolpyeon with BHT (butyl hydroxy toluene) werecompare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ased ontotal poly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OD-like activity. Total poly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were estimated at $37.81{\pm}0.45$ mg GAE/g and $26.35{\pm}0.13$ mg Q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upon addition of lotus seed powder. Further, reducing power was higher in Jeolpyeon containing lotus seed powder than original Jeolpyeon or Jeolpyeon with BH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Jeolpyeon significantly increased uponaddition of lotus seed powder.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Lotus (Nelumbo nucifera) Seeds Powder)

  • 이병구;변광인;차원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8-74
    • /
    • 2009
  • 연자육 분말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 0, 5, 10, 15, 20%를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빵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 등이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구 보다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빵 무게는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증가하였으며, 부피는 감소하였다. 빵의 비용적은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3.59{\sim}4.68\;mL/g$이었고, 대조구는 5.12 mL/g이었다. 연자육 분말 5%, 15%, 20% 첨가구에서 굽기 손실율은 각각 8.95%, 8.17%, 7.67%로 나타났다.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빵의 crumb와 crust 색도를 측정한 결과,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 수 록 명도 L 값은 감소하였으나 적색도인 a 값과 황색도인 b 값은 증가하였다.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 수 록 빵의 경도와 점착성은 증가하였으나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연자육 분말 첨가 빵의 관능검사 결과, 향미,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는 연자육 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색도와 조직감은 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연자육 분말 $5{\sim}10%$를 첨가할 경우 기능성 빵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 김귀순;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98-40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0,1,3,5,7%) substituted for flour. The pH of the cookie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at all levels of lotus leaf powder. The highest dough value was 1.25, which occurred in the 1% lotus leaf powder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st groups. Upon comparing the spread factor values of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the lotus leaf powder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13.53). In addition,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lotus leaf powder content (p < .001). According to textural measurements, the substitution of $1{\sim}7%$ for flour resulted in in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brittleness when samples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Finally, based on sensory evaluations results, the color of the cookies increased dose dependently with the lotus leaf powder concentration. And the cookies containing $1{\sim}3%$ had the highest scores.

Photoprotective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 Seed Tea against UVB Irradiation

  • Kim, Su-Yeon;Moon, Gap-S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162-168
    • /
    • 2015
  • Lotus (Nelumbo nucifera Gaertn.) seed is widely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countries of Asia. Among many functions of the lotus seed, one interesting activity is its skin protection from the sunlight and scar.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skin protective property of lotus seed tea against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Two groups of a hairless mouse model, water as control (water group) and lotus seed tea (LST group), were administrated a fluid drink water for six months. After 6 month of administration, UVB exposure was carried out to both groups for another 3 months. During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the skin moisture content and the morphological and histopathological analyses through biopsy were carried out. Prior to UVB irradi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 skin moisture content for the water group and LST group (P<0.05). However, drastic changes were observed after the UVB treatment. The LST group showed a clear evidence of skin prote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The moisture content, epidermal and horny layer thickness, and protein carbonyl values all revealed that the intake of the lotus seed tea enhanced protection against UVB exposure. As a result, the long-term intake of the lotus seed tea showed the effect of preventing loss of skin moisture, mitigating the formation of abnormal keratinocytes, and contributing to protein oxidation inhibition.

고욤(Diospyros lotus L.)잎 Ethyl Acetate 분획물의 멜라닌형성 억제 효과 (Melanogenesis-Inhibi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Diospyros lotus L. Leaf Extract)

  • 최병민;전인화;김상준;유강열;장선일
    • 생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0-226
    • /
    • 2014
  • Diospyros lotus has been cultivated for its edible fruits and leaves which are considered for its medicinal import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elanogenesis of ethyl acetate (EA) fractions from D. lotus leaves in B16 cells. The order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D. lotus leaves was EA>butanol>metahanol>chloroform>n-hexane. The major compounds of EA fraction from D. lotus leaves by HPLC analysis were myricitrin and myricetin. Cellular TYR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100 mg/mL of EA fraction was inhibited more strongly than group treated with arbutin. Further, EA fraction exhibited significant anti-melanogenesis effects by reducing the levels of microphthalim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E), inhibiting the synthesis of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Therefore, EA fractions from D. lotus leaves may be a good source of skin-whitening agent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cine-based trouble skin therapy.

연근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Made with Lotus Root Powder)

  • 박복희;조희숙;배경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93-600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otus root powder were added to the wheat flour. The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al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epared noodles. The gelatinization points of the composite Lotus root powder-wheat flours were shown to have increased and the viscosity at $95^{\circ}C$, viscosity at $95^{\circ}C$ after 15 minutes, and maximum viscosity values of those samples were reduced, as the Lotus root powder content was increased as measured via amylography. As increasing amounts of Lotus root powder were added, the L and b values were reduced, and the color values, weight, and volume of the cooked noodles increased, as did the turbidity of the soup. With regard to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Lotus root powder additive increased hardness and reduced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the noodles prepared with 15% Lotus root powder were preferred more than the other nood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연근가루 첨가가 다식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Quality of Dasik)

  • 윤숙자;노광석;정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3-149
    • /
    • 2009
  • 본 연구는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연근을 우리나라 전통 한과류인 진말다식에 0%, 20%, 40%, 60%, 80%로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평가 한 후 연근 다식의 표준레시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근 다식의 수분함량은 연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연근 다식의 색도 변화에서는 연근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 a 값, b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연근 다식의 물성에서는 연근가루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경도(hardness), 검성(gumminess), 씹힘성(chewiness), 탄력성(springiness)과 응집성(cohesiveness)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부착성(adhesiveness)은 연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연근 다식의 정량적 묘사분석에서 연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color), 향(flavor), 맛(taste), 씹힘성(chewiness)의 강도가 높았으며, 부드러움(softness)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기호도 검사에서는 연근가루 40% 첨가군(LR40)이 색, 향, 맛, 전체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연근 다식으로 가장 적당한 제조 방법은 볶은 밀가루 60 g, 연근가루 40 g, 꿀 80 g으로 제조한 연근 다식이었다.

고전 시문과 회화를 통해 본 연(Nelumbonucifera)의 활용과 애호 행태 (Utility and Care Patterns of Lotus Shown in Classic Poetries and Proses, Painting)

  • 김명희;홍형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옛사람들이 '연'이라는 식물소재를 활용한 방법과 그로부터 취하고자 했던 가치와 의미, 감상 태도 등에 대한 실제적 사례들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연에 대한 감상과 관념세계가 반영된 시문과 회화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의 관상 가치는 대규모 집단식재와 부지규모의 소규모 식재, 분연(盆蓮)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특히 대규모 면적에 집단적으로 식재된 연은 여타의 초화류와 차별화되는 독특한 경관을 제공하였다. 별서와 후원 등 사적인 공간에 연지를 조성하고, 연을 애호한 여러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장소는 연이 개화할 무렵에 아회의 장소 등으로 활용되었다. 작은 연지조차 조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분지를 이용하여 연을 즐기기도 하였다. 또 꽃과 잎, 줄기와 연밥 등 세부요소 모두의 관상가치가 뛰어난 점은 연의 또 다른 특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둘째, 주돈이의 '애련설(愛蓮說)'에 '향원익청(香遠益淸)'으로 표현된 향기는 연의 중요한 매력 중 하나이다. 전통정원에 있어서 연은 향기를 제공하는 후각적 요소로 활용되었다. 옛사람들은 연의 향기를 단순히 즐기는 것에 더해 '군자의 품격'에 비유되는 상징물로 여겼으며, 이를 시문과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연은 청각적 요소로도 활용되었다. 즉, 수면과 넓은 연잎에 빗방울이 어우러져 내는 소리를 '연당청우(蓮塘廳雨)' 또는 '하당야우(荷塘夜雨)'라 하여 운치 있는 소리로 즐겼다. 넷째, 연꽃을 구경하는 여름놀이를 '세속에 오염된 마음을 씻는다'라는 의미의 세심(洗心)놀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풍류는 일반 서민들로부터 왕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계층이 즐겼다. 이 밖에 연과 관련된 풍류로 큰 연잎과 속이 빈 줄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술을 마시는 방법인 '벽통주(碧筒酒)' 혹은 '하심주(荷心酒)', 상비주(象鼻酒)가 있다. 또 유교의 영향으로 남녀유별이 엄격하던 조선시대에 연밥과 '채련곡'은 남녀 간의 연애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중요한 기호(記號)가 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많은 '채련곡'이 전해지며, 남녀 간의 애정을 묘사한 여러 풍속화에는 연당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연은 고대 이래로 사상과 종교 등 문화적 배경을 초월해 폭 넓은 계층이 애호하여 왔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연이 갖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와 사찰 등 종교시설과 관련된 식재 사례를 다각적으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며 추후 연구과제이기도 하다.

연잎 분말 함유 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Lotus(Nelumbo nucifera) Leaf Powder)

  • 신영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47-953
    • /
    • 2007
  • 연잎 분말을 0, 0.5, 1, 1.5, 2%를 함유한 어묵을 제조하여 수분함량, 색도와 절곡검사, 기계적 texture, 관능검사, 기호도 검사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연잎어묵의 수분함량은 모든 시료가 37%대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른 분포를 띠었다. 색도 변화에서 L, a, b값은 연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 검사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AA로 측정되어 연잎 분말의 첨가에 관계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연잎어묵의 기계적 texture 특성에서는 경도, 응집성, 탄력성에서는 유의한 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껌성과 파쇄성은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어묵의 관능검사에서는 연잎의 향미, 경도, 부착성은 연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구수한 맛과 탄력성은 0.5 LP군이, 씹힘성은 1 LP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어묵의 기호도 검사에서는 0.5 LP군이 외관의 기호도, 향미의 기호도, 맛의 기호도, 질감의 기호도,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연잎을 첨가한 건강기능성 연잎 어묵의 가공 적성에 적절한 연잎의 첨가량은 0.5%가 적당하다고 사료되며 연잎을 함유한 고품질의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ochujang with lotus leaf powder

  • Jin-Tae, Kim;Ji-Hy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81-190
    • /
    • 2023
  • 고추장은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으로 시대의 변화에 따라 관능적 특성 이외에 건강지향적 기능성 또한 중요시 여기고 있다. 연잎은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기능 뿐만 아니라 지질을 저하시키고, 포도당을 자극하는 인슐린을 분비하고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고추장에 연잎가루 1%, 3%, 5%를 첨가하여 연잎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실험 결과 pH는 연잎 1% 첨가 고추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수분함량은 연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점도는 연잎 5% 첨가 고추장이 15.61 dPa·s로 가장 낮게, 색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염도는 연잎 3% 첨가 고추장이 가장 낮았으며, 당도는 연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항산화능 측정 결과,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연잎 5% 첨가 고추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연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환원력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도는 연잎 3% 첨가 고추장이 가장 높았다. 고추장 제조시 연잎을 첨가하면 다른 고추장보다 높은 항산화능, 항당뇨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