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inal Data

검색결과 1,662건 처리시간 0.025초

무인항공기(UAV)를 활용한 건설현장 가시설물 안전관리 (Safety Management of Steel Pipe Scaffold using UAV)

  • 전병희;김남균;전계원;최봉진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9-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UAV) 촬영을 통하여 얻어진 사진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작업발판 등의 가설시설물 설치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내 건물보강공사를 위한 가시설물이다. 검토대상은 강관비계의 띠장방향 비계기둥 간격, 장선방향 비계기둥 간격, 띠장 간격이다. 무인항공기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 장선방향 비계기둥 간격은 기준을 잘 준수하여 설치되어 있었으나, 띠장방향 비계기둥 간격과 띠장 간격은 기준에 미달된 개소도 다수 발견되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특히 띠장 간격은 대부분 지점에서 기준에 미달되어 있었다. 무인항공기촬영으로 3차원 자료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측량이 가능하여, 타 시설물에 가려져 있거나 내부에 위치한 시설물도 측량이 가능하였다. 무인항공기 촬영을 통하여 신속하게 현장의 상태를 자료화할 수 있으며, 현장인력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 측량을 수행할 수 있었다. 가시설물의 설치기준은 작업자의 안전확보를 위해 반드시 준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아직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장공정관리에 무인항공기 등을 활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가 보완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퇴직한 납 취급 근로자들에서 골밀도 저하와 경골납량이 혈중납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ne Demineralization and Tibia Lead on Blood Lead in Retired Lead Workers)

  • 김남수;김진호;김화성;김희선;이성수;;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4-333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ne demineralization and tibia lead on blood lead in retired lead workers. Two hundred thirty five(126 females and 109 males) retired lead workers who worked in 4 different lead factories and 101 non-occupationally lead exposed subjects(51 females and 51 males) were recruited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4. Bone mineral density(BMD) was measured at left calcaneous bone area by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BUA) method with QUS-2(Metra Biosystems Inc, USA). The BUA value transformed into T-score by WHO standard conversion criteria. Tibia bone lead was measured for skeletal bone lead with K-xray fluorescence(K-XRF) and blood lead was analyzed with flameless atomic spectrophotometer. Hemoglobin, hematocrit, serum calcium and iron were also analyzed. In addition, information for smoking and drinking status and basic personal data such as age, gender and lead exposure were also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inquiry. Blood lead was correlated with tibia lead (r=0.664) and these two vari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in bivariate analysis. BMD showed significant main effect on the change of blood lead independent to tibia lead without any effect modification of age or gender; the one T-score unit decrease of mineral bone density made $0.43{\mu}g/dl$ increase of blood lead. On the other hand, tibia lead showed effect modification with gender on blood lead; the slope of tibia lead on blood lead in male was steeper than in female and crossed at around zero of tibia lead.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lood lead and tibia lead on BMD after adjustment of related covariates, only blood le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MD. This study confirmed that BMD and blood lea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To verify the causal association of BMD on blood lead and vice versa,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GIS 자료사용을 위한 건물 구축 알고리즘 개선 및 건물 주변 흐름과 확산 분석 (Improvement of Building-Construction Algorithm for Using GIS data and Analysis of Flow and Dispersion around Buildings)

  • 권아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31-7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건물 꼭지점의 위 경도 좌표를 제공하는 GIS로부터 수치 모델의 건물 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인접한 건물 꼭지점 위 경도 좌표를 지나는 선분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건물 외곽선을 구성하고, 외곽선 내부의 지점을 건물로 인식하기 때문에, Lee et al. (2009)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의 한계를 개선하였고, 복잡한 형태의 건물을 실제에 가깝게 재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GIS로부터 수치 건물을 구축할 때, 알고리즘 한계에 의해 발생한 건물 형태의 변화가 건물 주변의 흐름과 오염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에 의한 건물 변형이 나타날 수 있는 세 가지 형태의 건물을 대상으로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한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고리즘 한계에 의해 발생한 건물 변형은 풍하영역의 흐름 패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미쳤으나, 건물 사이의 공간에 나타나는 소용돌이와 같은 건물 규모 대기 현상의 수치 모의에는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건물 변형에 따른 건물 사이 공간의 축소는 건물 주위에 나타날 수 있는 소용돌이를 전혀 모의하지 못하거나 소용돌이 규모를 과소 모의 하는 등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건물 변형에 따른 평균 바람장 변화는 건물 주변 지역에서 배출된 스칼라 오염물질의 확산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의 보건관리 실태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Health in Small-Scale-Enterprises of Korea)

  • 윤순녕;김영임;정혜선;김순례;유경혜;송영숙;김화중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0-104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and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working in small-scale-enterprises (SSE)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Samples were chosen among the two thousands employees working in 838 factories where located in Youngdungpo-Ku, Seoul, Korea.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ed: 1. Most factories investigated in the study were manufactures (68.6%) which were established in 5 to 10 years ago (29.2%), employing less than 5 workers (72.9%) and registered in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23.0%). 2. Health screening was undertaken in 24.9% workplaces fo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nd in 1.5% for special health examination.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done in 3.3% factories. Very few factories displayed Material Substance Data Sheet (MSDS) in 3.1% among the total factories. 3. Workplaces usually had their own toilets in 75.9% and washing basin in 58.6% as types of sociowelfare facilities. 4. Employees responded in the study were mostly in the range of age from 30 to 39 in 34.7%. male in 84.8%. the married in 70.3%. manual workers in 42.0%. mostly working regularly 51 hours per a week in 48.2% and earned 710.000 Won to 1.000.000 Won per month in 35.0%. Medical utilization for employees were covered by factories sponsored medical insurance in 12.7% and by provincial sponsored medical insurance in 83.4%. 5. Two point six percents of employees were suffered by diseases. The health complaints indicated were mainly digestive problems in 46.7% and hypertension in 24.4%. 6. Employees wo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for work such as gloves in 48.1%. safety shoes in 30.5%. ear plug in 5.5% and mask in 6.9%.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we recommend that various types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workplace working condition of each factory.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health strategies. we think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monitor and to allocate how effectively they operate each other on the basis of longitudinal continuity. Besides, we would like to insist that these all management effort should be focused on prevention of disease and occupational health education of employees.

  • PDF

사춘기 여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신체발육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By Obesity Level of Adolescent Girls)

  • 김영복;김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8-102
    • /
    • 1992
  • The exact estimation of physical growth by Obesity level has important meaning to the health care and evaluation on adolescent girls. So this study tried to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body fat by using data for the height, weight of 124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Then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physical growth pattern and various characteristics by Obesity level by using longitudinal for the height, weight of 1113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it also tried to show what influencing factors on the physical growth of this aged population.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body fat(%) has 0.81475(r) at age 9 and 0.69361(r) at age 18.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and lean body muscle(LBM %) has -0.81470(r) at age 9 and -0.64729(r) at age 18. 2. The weakness, normal and obesity groups were classified by Obesity level. In case of weakness group showed the very low Obesity level at age 8 to 11, in case of obesity group showed the high Obesity level at age 15 to 18. Also Rohrer index was decreasing tendency up to age 12 in weakness group and increasing tendency over age 14 in obesity group. 3. When the height and weight growth pattern was compared, height growth was superior to weight growth at age 9 to 14.5 in normal group. But weight growth was inferior to height growth at age 9 to 14.5 in normal group. In obesity group, weight growth was superior to height growth at age 7 to 18.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growth of weakness group was superior to the normal group and the obesity group except age 11 to 12. 4. On height velocity curve by PHV age obesity group showed the most growth amount per year(9.00Cm/yr), and the next is normal group(8.77Cm/yr), weakness group(8.70Cm/yr). Then the difference between PHV age and PWV age was within 1 year in these three groups. 5. In these three groups, height velocity curve by menarcheal age showed the PHV before 2~3 years of menarcheal age. And weight velocity curve by menarcheal age showed the remarkable PWV before 1 year of menarcheal age.

  • PDF

철근콘크리트 보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전단설계기준에 대한 고찰 (Evaluation of Shear Design Provisions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s)

  • 김강수;김상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17-7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전단실험결과를 모아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보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에 대한 ACI와 국내의 전단설계기준을 평가 분석하였다. 또한 두 전단설계기준에 대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의 안전율과 강도감소계수에 대하여도 고찰하였다. 전단설계기준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해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전단철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정확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기준에서 전단강도에 대한 전단철근의 기여도의 제한은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전단철근이 없고 휨인장철근비가 낮으며$(\rho_w<1.0\%)$ 춤이 높은 (h>700mm) 보에 대하여 매우 위험한 전단강도를 제공하였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대해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하여 매우 정확한 전단강도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ACI와 국내의 전단설계기준은 전단강도의 예측정확도가 매우 다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대해 동일한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부재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설계안 전율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훼손비탈면 복원을 위한 콩과목본류로서 참싸리 및 낭아초의 적정파종량에 관한 연구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Miquel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as Leguminous Woody Plants for the Cut-slope Revegetation)

  • 유병득;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as leguminous woody plants for the cut-slope revegetation. To investigate the coverage ratio and appearance frequency, we divided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into five treatment groups with various quantities of $0.0g/m^2$, $1.0g/m^2$, $2.4g/m^2$, $3.8g/m^2$, and $5.2g/m^2$. For each treatment group, we mixed the identical quantities of herbaceous flower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and Pennisetum alopecuroides) seeds and cool-season turfgrasses (Festuca arundinacea and Poa pratensis) seeds. In this result, as the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increased in the spray, the coverage ratio for leguminous woody plants appeared to increase whereas the coverage ratio decreased in herbaceous flowers and cool-season turfgrasses. However, when the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exceeded $3.8g/m^2$ in the spray, the coverage ratio of leguminous woody plants rather decreased compared to four treatment groups less than $3.8g/m^2$ seeding ratio.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of coverage ratio in five treatment groups, we observed the gradual process of a short-term succession in which the dominant species shif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cool-season turfgrasses; Second, herbaceous flowers; Third, leguminous woody plants. Comparing the appearance frequenc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Lespedeza cyrtobotrya appeared more frequent in 2014 whereas Indigofera pseudo-tinctoria appeared to be relatively more frequent in 2015. As a result, Indigofera pseudo-tinctoria was discovered to be a dominant species among woody plant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he optimal seeding quantity of Lespedeza cyrtobotrya and Indigofera pseudo-tinctoria was $2.4g/m^2{\sim}3.8g/m^2$. Moreover, the coverage ratio of 29.1%~35.4% and appearance frequency of 4.6plants~5.8plants were found in the condition of optimal seeding quantity.

자기회귀교차지연 모델을 활용한 청소년 우울과 신체화 증상의 인과관계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 of the Adolescence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한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46-652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대한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해서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2011년 2차, 2013년 4차, 2015년 6차에 모두 참여한 1968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전 시점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은 모두 다음 시점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전 시점의 우울은 다음 시점의 신체화 증상의 교차지연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전 시점의 우울의 정도가 높을수록 다음 시점의 신체화 증상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신체화 증상은 다음 시점의 우울의 교차지연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전 시점의 신체화 증상의의 정도가 높을수록 다음 시점의 우울의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인지적이고 심리적인 요인들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종단적 연구들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GIS 활용 연구 (GIS-based Study on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Slum Area)

  • 김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09-225
    • /
    • 2017
  • 대전시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 문제점 및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기반 커뮤니티매핑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지리정보 및 기타 속성을 지도화한 결과, 여성과 고령자가 중심지역에 밀집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2009년과 2016년의 자료비교를 통해 빈곤밀집지역이 다소 분산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실내외 모습을 담은 252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의미단위별 유목화, 범주화 작업을 실시, 주거환경문제를 미관-위생, 협소-주택기능미비, 안전-사생활노출, 낙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사진자료를 통한 커뮤니티매핑실시 결과 이 지역이 4곳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주택형태, 주거형성의 역사, 비빈곤지역과의 접촉면, 폐쇄와 개방 등의 특징으로 주거문제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실시, 구역별로 일자리참가여부, 이웃만족도, 낙인, 사회적 배제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가 사회적 배제에 가장 큰 요인임이 드러났다. GIS기반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있어서 구체적 접근과 문제별 대응이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대학편입생의 편입 이전 대학생활 특성 탐색 (Exploring Transfer Students' University Life before Transferring)

  • 서재영;최원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23-1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05 데이터를 사용하여 편입생들의 편입 이전의 대학생활이 일반학생과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조집단은 편입하지 않는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대조집단 1과 관찰집단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학생을 1:1 매칭하여 표집한 대조집단 2로 나누었다. 대조집단 1의 7차년도 및 8차년도 대학생활과 비교하고, 대조집단 2의 7차년도 및 8차년도 대학생활과 비교하여 각 변수별로 총 4 종류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편입학생들은 이전의 대학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성적이 우수하고, 수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수업 외의 항목에서 교수와도 활발히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편입학생들은 이전 대학에서 상대적으로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고, 학교에 대한 소속감이 낮았다. 또한 학생회, 축제와 같은 기타 교내 활동 참여도나 친구 및 선후배와의 교류도 적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편입생들은 편입 이전의 학교에서 학점과 교수와의 교류 등 학교의 공식적인 활동에서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뛰어났으나 학생들 간의 교류나 대학생으로서의 다양한 활동 등 학교생활의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활동을 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편입생들의 학교 적응을 효율적으로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