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ng-term development plan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7초

인구변동 추이와 전망 -2000년대를 향한 국가장기발전 구상을 중심으로- (Trend of Population Change and Future Population in Korea - Korean Future in Year 2000;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

  • 고갑석
    • 한국인구학
    • /
    • 제8권1호
    • /
    • pp.87-117
    • /
    • 1985
  • In Principle, the distriction should be understood between projections and forecasts. When the author or user of a projection is willing to describe it as indicating the most likely population at a give date, then he has made a forecast Population change since 1 960 has been reviewed briefly in order to forecast the population of Korea in the year 2,000 which is a leading factor in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plan for which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KIPH) has been participated since 1983. The author of this paper introduced the population forecast prepared for the long term national development plan and an attempt of comparisons with other forecasts such as D.P. Smith's, T. Frejka's, Economic Planning Board's (EPB), UN's and S.B. Lee's was made. Those six forecasts of Korean future population in year 2,000 varried from 48.5 million to 50.0 million due to the base population and assumption of fertility and mortality however the range of total population size is not large enough. Taking four forecasts such as KIPH, EPB, UN, and Lee based on 1980 population census results and latest data of fertility and mortality, KIPH and UN forecast are close in total population size even though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fertility and mortality assumptions. The smallest size of total population was shown by S.B. Lee (see Table 13)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KIPH and Lee was approximately one million which is two percent of total population in year 2,000. As a summary of conclusion the author pointed out that one can take anyone of forecasts prepared by different body because size and proportion wise of the Korean population until early I 990s can not be different much and new population projections must be provided by using 1985 population census data and other latest fertility and mortality information coflected by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and Economic Planning Board in forth comming year.

  • PDF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이용자 및 전문가 인식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Users and Specialists for Establishing Mid-to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Libraries in Anyang City)

  • 송민선;장인호;황금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67-93
    • /
    • 2022
  • 본 연구는 안양시 지역 주민과 안양시 지역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안양시 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설문조사 및 FGI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안양시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주요 시사점과 논의사항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이용률에 비해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극히 제한적이며, 도서관 프로그램 이용률이 낮아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 제공, 서비스 이용 절차 간소화 등에 대한 현장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도서관 만족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일부 불만족 의견의 이유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과 함께 신간 자료 구입에 대한 적극적인 예산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특화도서관 운영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타 지역 우수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안양시 공공도서관만의 특화도서관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향후 안양시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센터, 평생교육센터, 생활편의센터로서의 기능과 함께 복합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양시 도서관 운영 조직체계 개편을 통해 장기적으로 도서관 운영을 체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컨트롤타워 구성이 요구된다.

상암 새천년 신도시 계획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SANG-AM Millennium Newtown Plan and Its Design Concepts of the Outdoor Space)

  • 이재근;신규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6-105
    • /
    • 2004
  • Throughout the modernization which was dominated by development theory in Korea, land use planning for housing tended to spoil the environment. Numerous studies, however,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is development-led planning and there was a broader consensus that the past planning was part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of inner city. These observations changed the development-led planning into the environmental friendly development planning. In particula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eld the international planning competition to develop 'Sangam' as an environment friendly residential area. With this plan 'Sangam' would be the sustainable residential area with the harmony of nature, human and technology. Furthermore it would be the outset of the long-term plan to develop 'Seoul' as a 'gate-city, an 'information-city' and an 'eco-city'. To do this, it needs especially the planners' and the constructors' constant concerns and efforts as well as the citizen's participation.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 (A Research on the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곽동철;윤정옥;김용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1-39
    • /
    • 2020
  • 이 연구의 목표는 강원도 교육청 소속 22개 교육문화관(도서관)이 지역사회 내 교육, 지식과 문화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를 향한 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각종 공공도서관 통계 분석, 2019년 11월부터 12월 사이 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명을 도출하고, 비전, 목표, 전략, 핵심과제를 체계화하여 교육문화관(도서관) 정책 기반 강화, 교육 중심 특화장서 개발 및 구성, 이용자 친화적인 공간 재구성 및 지자체 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라는 4개 전략목표 및 16개 핵심 추진사업을 제안하였다.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운영 활성화에는 도서관 건물과 시설, 장서와 서비스, 사서 전문인력을 핵심으로 하는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및 휴먼웨어(HW)의 3개 요소 전반의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래에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도봉구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지역주민 인식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of Users for Establishing Mid-to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Public Libraries in Dobong-gu)

  • 이수영;양지안;남재우;송민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83-205
    • /
    • 2023
  • 본 연구는 도봉구 공공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해 도봉구 공공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이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주민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요인별로 분석하여 도봉구 도서관에 특화된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도봉구 지역주민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모든 도서관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도봉구 공공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을 위한 운영 전략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은 지역사회와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양적·질적 수준을 충족하는 장서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자책 및 오디오북을 포함한 전자자료 및 온라인자료와 더불어 주제 특화자료를 확충하여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도봉구는 고령화 도시이지만 다양한 연령층이 거주하고 있으므로 세대공감 프로그램을 통해 세대 간 소통과 이해를 증진하고 지역사회의 통합을 추진해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최신 도서관 공간구성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도서관 시설 및 환경을 개방형 공간으로 구성하고 직접 체험·실습을 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복합문화공간 등으로 노후화된 도서관의 리모델링 및 공간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신뢰성 로트보증 샘플링 검사방식 (Reliability Sampling Plans for Lot Assurance)

  • 김종걸;전봉룡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5-151
    • /
    • 2004
  • Reliability assurance problem is an important issue in advanced company with good R&D capacity. In Korea, long-term and large-scale project for reliability improvement and certification have been conducted from 2000, 4 years ago. Generally, assurance is composed of system assurance and lot assurance. For reliability lot assurance. it is prerequisite to development reliability sampling plan with time-saving and minimum cost. In this paper, we aim to investigate previous study on reliability lot assurance focused on reliability sampling plans and propos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 PDF

우리나라의 우주개발 추진체계 및 현황 (Space Development System & Status in Korea)

  • 이기성
    • 기술사
    • /
    • 제41권5호
    • /
    • pp.59-64
    • /
    • 2008
  • Having regarded space technology as one of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the Korean Government legislated "Space Development Promotion Act" in 2005. Based on i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National Space Committee" and set up "Long-Term Plan for Korea's Space Development". For the fulfillment of those national policies,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re developing various satellites, space launch vehicle(KSLV-1), and Naro-space center. etc.

  • PDF

방사성폐기물 신분류기준을 고려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핵종재고량 예측 (Prediction of Radionuclide Inventory for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by the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 정강일;정노겸;문영표;정미선;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78
    • /
    • 2016
  • To meet nuclear regulatory requirements, more than 95% individual radionuclides in the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inventory have to b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radionuclide inventory has been estimated by taking the long-term radioactive waste generation, the development plan of disposal facility, and the new radioactive waste classification into account. The state of radioactive waste cumulated from 2014 was analyzed for various radioactive sources and future prospects for predicting the long-term radioactive waste generation. The predicted radionuclide inventor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e the development of waste disposal facility and to deploy the safety case for its long-term safety assessment.

재난환경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 Plan for R&D Long-term Load-map Design in the Facility Disaster on response of the changing Disaster Environment)

  • 이태식;석금철;안재우;송철호;정종수;이영재;조원철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5-42
    • /
    • 2014
  • 본 연구는 재난환경 변화에 대응한 인적재난 R&D 중장기 로드맵 수립 기획에 관한 것으로서, 인적재난 안전기술 분야의 기술개발 투자 확대 방안 및 관련분야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격차해소를 위한 전략 제시,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 사업의 차세대대응기술 예측을 통한 사업 고도화, 중장기 로드맵 및 중점추진전략 도출, 중점 추진전략에 따른 주요 추진사업 및 세부추진과제 RFP 도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성과로서, 인적재난안전기술개발 중장기 투자 확대, 미래 인적재난 발생 가능성 예측을 통한 향후 재난대응 환경 변화와 안전관리 정책관련 패러다임 예측 및 효율적 대응, 인적재난안전기술 개발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인적재난기술의 가치향상과 미래도약 기반강화 등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