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Care Facility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노인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약물사용 현황에 대한 연구 (Assessment of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서미경;배민경;이인향;전성실;윤정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4-263
    • /
    • 2015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prevalence of the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in Korean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risk factors that affect PIM use. Metho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of 2009. PIM use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as examined based on 2012 Beers Criteri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PIM use. Results: Among 5,277 elderly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88.9% of patients used PIM(s) at least once. The average number of PIM items used per patient was 4.2. PIM use ratio, the proportion of total amount of PIMs to all medications per patient, was 12.6%. Frequently used PIM therapeutic classes were benzodiazepines (32.7%), first-generation antihistamines (19.2%), and prokinetics (17.5%). Individual PIMs most commonly used included chlorpheniramine (11.4%), levosulpiride (10.9%), diazepam (9.0%), and alprazolam (7.6%). Women (odds ratio [OR] 1.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16), medical aid (OR 1.18, 95% CI 1.15-1.21), and long-term facilities (OR 2.43, 95% CI 2.22-2.65) were shown to b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IM use. Of particular, wide variation in PIM use was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healthcare facility. Conclusion: The PIM prevalence was very high in elderly Parkinson's disease patients. Nationally effective and systematic efforts to identify and prevent PIM use should be made to ensure patient safety and to improve quality of care in the elderly.

융복합 연구를 위한 국내 치매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omestic dementia research trend for integrated study)

  • 유순덕;백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는 15년간 치매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여 치매 관련 연구 및 정책수립 등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정량적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고 자료 조사는 구글 스칼라 사이트에서 15년간 12,588편의 치매 관련 연구 자료를 사용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치매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둘째, 정부 지원과 같은 사회적 영향에 따라 치매 연구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셋째, 치매를 시설보호 및 치료적 관점에서 경증환자관리, 지역사회 참여중심의 사전예방 관점으로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넷째, 치매는 중증으로 부정적인 인식으로 외부에 공개를 꺼리는 분위기에서 느리지만 관리가 되는 질환으로 수용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치매 친화적 사회환경으로 변화하고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환경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제시하여 치매 관련 분야 연구에 기여한다.

일 시설노인에게 나타난 주요 간호진단의 관련요인 분석 (An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Major Nursing Diagnoses Identified for Instituionalized Elders)

  • 허혜경;박소미;김기연;신윤희;임은실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6-13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ed factors for major nursing diagnoses used in caring for institutionalized elders.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92 residents in a long-term care facility in Wonju,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he instrument was a checklist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related factors suggested by NANDA (1997) and a literature review. Data was collected by chart review,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with the SPSS WIN program. Result: The most frequent nursing diagnosis was 'risk for injury', 'self-esteem disturbance', 'activity intolerance', 'impaired phyical mobility', and 'powerlessness'. The most frequent component for related factors for the five component for each nursing diagnosis was the physical component, followed by the social component. Common related factors for the nursing diagnoses were 'pain', 'change of emotional state/disorder', 'cognitive disorder', 'change of physical structure and function', and 'physical impairment', and 'immobilit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elders (eg. 'Injury Prevention Programs',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s' etc.). Clinical guidelines that gerontological nurses can use to accurately assess health problems and select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s may be developed.

  • PDF

노인요양시설 뇌졸중 노인을 위한 운동중심 연하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n Exercise-based Swallowing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Home Residents with Stroke)

  • 방활란;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swallowing and to test its effect on swallowing capacity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with stroke. Methods: A swallowing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literature review, expert validation and a pilot test. A pretest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study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wallowing training was conducted for thirty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8 weeks. Swallowing capacity including dysphagia screening score, swallowing symptom questionnaire and tongue pressure, and nutritional status including body mass index and mid arm muscle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t the baseline and at 8 weeks. Results: The exercised-based swallowing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oromotor exercise, expiratory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effortful swallow. The participants were 77.2 years old on average. At the completion of 8-week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scores in dysphagia screening (p=.039) and swallowing symptom questionnaire (p=.004)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ongue pressure (p=.003). Conclusion: The exercised-based swallowing training program was safely applied to nursing home residents with stroke and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swallowing capacit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its effect on the nutritional status.

Effects of a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Based on Validation Therapy on the Mental Functions of Elderly Patients in Nursing Homes

  • Lee, S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1-619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ental functions of the elderly in nursing facilities affected by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validation therapy. To meet the purpose, we conducted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validation therapy with 58 elderly participants (average age 79.12±6.84, men and women) once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in a total of 10 session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ith convenience sampling.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rom March 15 to November 22, 2018. Vibraimage 8 pro(ELSYS, 2014) is a recent, psychologically based, emotional-recognition visual imaging technology that measures pixels microvibration in terms of digital frequency and amplitude parameter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validation therapy, Vibraimage was used to assess aggression, stress, tension, suspect, balance, charm, energy, self-regulation, inhibition, neuroticism and positive, negative, physiological domains of mental functions before and after program.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positive domain i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3.89±5.09 to 60.74±5.48, but it decrease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from 63.98±5.45 to 61.39±6.02. The mean score of neuroticism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1.64±10.94 to 22.87±13.79. Moreover, the mean score of the physiological domain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5.08±6.27 to 19.42±8.80. Accordingl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validation therapy can be utilized as a program to promote mental health, especially maintaining positive mental health function of the eldery, helping those who liv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enjoy a happier life more happier.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업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Care givers on Job Change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ccupational Adaptation)

  • 박스잔;김윤재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9-175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업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장기적으로는 요양보호사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증적 연구과제로 확인하고자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직업적응 및 이직의도를 선정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업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경기지역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심할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고 직무에 몰입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하다고 느길수록, 직장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수록 이직의도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직업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은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만 매개역할을 하고,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변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평소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긍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되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조직에 몰입하면 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장은 요양보호사들이 보다 직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과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시설운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 경영전략 및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간호학에 적용한 캡스톤 디자인의 적용사례 및 결과 (Capstone Design Trail in Nursing Education and Its Outcome)

  • 문경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94-202
    • /
    • 2017
  • 본 논문은 간호교육에 캡스톤 디자인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고 적용한 결과에 대해 분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기본간호학 교과목을 이수한 간호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들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여 팀활동으로 진행하였다. 기본간호학 수업을 통해 학습한 지식을 시작으로 지식-팀구성-주제선정/분석-디자인/개발-모의실험-평가/피드백의 과정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5. 5. 1~2015. 10. 30일 까지 6개월간 진행하였다. 최종 결과물로 욕창 예방을 위한 욕창예방양말(BBS: Bed Sore Socks)이 개발되었고, 욕창예방양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와상환자에게 무작위 대조군 실험설계로 BBS를 7일간 적용하여 욕창 발병과 욕창위험 점수를 평가 하였다. 모의 무작위 대조군 실험결과, 중재군의 욕창발병률($x^2=.40$, p= .500)과 욕창위험점수(z= -.45, p= .690)에 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캡스톤 디자인을 본 연구에서는 간호교육에 적용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간호학 분야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교육의 다양한 적용가능성과 교과목에 적용 후 그 성과를 분석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The Present State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Overview of the Nursing-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윤인경;장명희;이현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5권4호
    • /
    • pp.19-4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육의 운영 현황과 교육과정 편성 운영, 교육환경 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간호과 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방법은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학교알리미, 교육통계연보 등 간호관련 학과 개설 및 운영 현황 자료, 학교 교육과정, 각 기관 및 협회의 홈페이지에 소개된 공시 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년 1학기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중에 간호과를 개설 운영하는 학교는 총 38개교로 전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약 6.4% 정도이다. 이들 학교는 주로 보건간호과, 치의보건간호과, 간호과, 의료간호관광과. 간호회계 및 간호경영과 등의 명칭으로 개설하였다. 간호과 졸업생은 2012년 이후 취업률과 진학률간의 격차가 좁혀지고 있으며 2015년에는 특성화고등학교 전체 평균 취업률인 46% 수준이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는 인력양성 목표를 간호조무사 양성에 두고 관련 취득 자격으로 간호조무사, 요양보호사 등을 주로 제시하고 있었다. 간호과 교육과정은 자격 취득 요건, 현장 직무 수행에서 필요한 역량과 관련한 과목들을 편성하고 있었으나 간호과 교육과정의 충분성, 자격과 교육과정 편성과의 정합성 등을 검토해야 한다. 법적 요건인 780시간의 현장실습은 주로 1학년부터 2학년까지 3번의 방학을 통해 병의원 현장에서 별도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셋째, 간호과 교육의 물적 환경은 전공별로 2개 정도의 실습실과 학생 규모를 고려한 시도교육청의 시설설비 기준을 적용하여 비교적 기본 환경을 구축 활용하고 있었다. 인적 환경인 교사 확보는 간호 표시과목이 없음에 따라 표시과목의 개설, 지역별 배치 기준의 검토,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 및 연구, 장학의 지원을 위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