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Care Elderly

검색결과 557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한 방문간호사의 역할.업무분석 (Roles of Visiting Nurses Defined Based on Long-Term Care Insurance Regulation for the Elderly)

  • 김명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2-25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fine the roles, tasks, and activities of home visiting nurses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regulation for the elderly introduced on July 1, 2008 in Korea. Methods: A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as used to formulate the proposed roles, tasks, and activities of visiting nurses, which were subsequently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he agreement of home visiting nurse experts and acceptance of 127 nurses. Data was collected from 04 June - 17 September 2008 and analyzed concerning frequency and percentile using SPSS ver. 15.0. Results: The established functions of home visiting nurses were direct nursing service provider, case manager, patient educator, decision maker, care coordinator, and research worker. These functions involved 27 different tasks and 167 activities. Conclusion: The roles, tasks, and activities of visiting nurses, established based upon the guidelin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Act for the elderly, were verified for their applicability by nurses involved in home care delivery. These parameters will provide a useful tool in developing an assess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home-based care for the elderly in Korea.

요양병원 입원 치매노인을 위한 율동적 걷기프로그램이 보행, 인지 및 낙상위험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lking Program with Dance on Gait, Cognition, and Risk of Falls of Elderly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Hospital)

  • 주혜정;전미양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3호
    • /
    • pp.141-14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walking program with dance on gait, cognition, and risk of falls of elderly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hospital.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42 elderly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hospital (21 elderly with dementia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21 elders with dementia in a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4 to April 30, 2016.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walking program with dance (three times a week, 30-50 minutes session, 18 sess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the SPSS/WIN 21.0.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f cadence (F= 8.36, p= .007) and improved scores of cognition (F= 9.95, p= .003) compare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walking program with dance is recommend a regular exercise program to enhance the cadence associated with walking speed and cognitive function elderly.

요양병원 간병비 지급이 건강보험 진료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Is the amount of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affected by the cash benefits for patients in the geriatric hospital?)

  • 강임옥;한은정;이정석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6-50
    • /
    • 2009
  • Korean Government had performed three pilot programs to introduce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Persons aged 65 or older who are dependent on others for daily living could use long term care services in the pilot program. The long-term care insurance covered nursing home services, home care services and cash benefits. The cash benefits are included that for elderly at home and for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had been any change in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cash benefits for geriatric hospitalization. This study used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and Long term Care Insurance claims 2003 through 2006. Data were composed of subjects who undertook both insurance coverage. The subject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Case group included participants with the cash benefits of geriatric hospitalization. Control group included persons without the cash benefits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ase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the amount of medical care utilization of the case group i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adjusted their health condition and functional condition. This result will be helpful for making decisions on whether the cash benefit of geriatric hospitalization can be introduced into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노인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노인 성행동 경험 (The experience of Long term Care Hospital Workers on Sexual Behaviors of the Elderly)

  • 조한아;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7-32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노인 성행동에 대한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실시되었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실시하였다. 참여자로부터 수집된 면담 자료는 질적 주제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노인요양병원 종사자가 경험하는 노인의 성행동은 의미있는 진술로부터 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들은 4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어 각각 '노인의 성행동에 부정적 감정 생김', '노인 성행동에 대한 돌봄 부재를 깨달음', '돌봄의 역할 유지가 어려움', '성행동에 대해 치료적인 역할 수용'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요양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노인의 성행동을 이해하도록 돕는 교육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일본 노인보건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 소준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42-152
    • /
    • 2005
  • It is estimated that the need to build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ll grow in the near future as the Korean society is aging. Thus the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22 facilities as well as on the cases of health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Japan, where public health and medicare for aged people are well taken care of,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As of 2000, there was one facility for every 8,000 and 1,100 aged citizen under long-term care, and these facilities secured beds enough for $8\%$ of those who need long-term care. 2. The spatial composition was categorized into general living space, long-term care, management, provision, and home assistance, and housing was provided. Moreover, the space was divided according to their nature of use, the arrangement, the form of entrance into the building, moving line inside, the relationship with the health facil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ased on different users, managers, moving line including that of provision of foo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paces with different functions as well 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s of each space. 3. The total capacity, building area and actual area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re analyzed, and area per person, detailed area for each space, percentage of each living space for long-term care patients and characteristics of recuperation room are suggested.

요양병원 확충이 급성기병원 노인입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ans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on Elderly Hospitalization in Acute Care Hospitals)

  • 김동환;이태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6
    • /
    • 2009
  • The expans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eeting the long-term care need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a rapidly aging society. I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efficiency of health resource use and decrease elderly health expenditures by transferring patients from acute care hospitals (ACHs) to LTCHs.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how the expansion of LTCHs had influences 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in ACHs.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s an analytic tool using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2 to 2006. The expansion of LTCHs was measured as location quotient (LQ) of LTCHs, denoting the share of LTCHs in a large city or province relative to the share of LTCHs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per capita 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over 65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LQ of LTCH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in ACHs. Seco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evident among general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while it was not among hospitals with less than 100 beds. Third, LQ of LTCHs had more influences among the elderly over 85. I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LTCHs seems to contribute to decrease in the inpatient cost of the elderly in ACHs and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resources.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 안명선;박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25-534
    • /
    • 201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보건의료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과 저출산 등으로 세계에서 가장 급속도로 인구구조의 고령화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사회적 구조 및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요양대상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부양 부담의 완화 등을 목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을 제정 시행 중에 있다. 하지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시행결과, 시설의 민영화와 난립으로 서비스의 공적 책임과 시설의 질 제고에 대한 요청이 확산되고 있다. 이 밖에, 저임금 요양인력의 양산, 질 개선에 관한 과제, 재원조달 방식에 관한 문제, 등의 대비가 다각도로 필요하다. 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장기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대적인 사회환경의 변화에 따라 법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의 모색과 더불어 노인복지서비스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노후 생활의 안정을 위한 정신적 심리적 조치를 강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노인장기요양 등급인정자와 등급 외자의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분석 (Analysis on the Use of Welfare Services of Elderly Long-term Care Grade Accredited and Unidentified)

  • 이용재;김효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9-37
    • /
    • 2019
  • 노인들은 건강상태가 다소 좋지 않더라도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거주하기 원한다. 그러나 노인의 건강 및 기능상태에 맞는 통합적인 돌봄지원 시스템의 부재로 생활시설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장기요양인정을 신청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장기요양인정을 통해 등급을 받은 노인 중에서 경증 노인은 방문요양 등 재가서비스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증 노인 중에서 일부는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어서 기능 상태에 맞지 않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방문요양서비스가 주야간보호서비스에 비해 월등히 이용이 높아서 노인 상태에 맞는 복합적인 재가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등급 외 노인의 경우 등급인정 노인에 비하여 일상생활 수행을 위한 도움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었으며, 경로당이나 노인복지관 등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이용도 낮았다. 따라서 장기요양인정자의 경우 건강 및 기능상태가 경증 임에도 지역사회에 계속 거주하지 못하고 시설에 입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고, 등급 외 노인의 경우 필요한 지역사회 돌봄 서비스를 적절이 이용하지 못해서 장기요양인정자로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요양기관 노인의 일상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Daily Stress, Ego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 이강일;이종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25-336
    • /
    • 2017
  • 이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노인의 일상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질 변인 간 인과관계 모델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민간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최종 380명을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일상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질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일상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적인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자아탄력성은 삶의 질에 정(+)적인 직접 효과가 있었다. 셋째, 노인의 일상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직접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일상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간접 효과 및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일상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도적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장기요양 재가서비스이용 노인의 만성통증과 삶의 질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Pai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in Long-term Care Servi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노유미;양정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41-349
    • /
    • 2018
  •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 노인의 만성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장기요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 204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만성통증과 우울은 정적관계, 만성통증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부적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또한, 만성통증과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우울은 완전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장기요양 재가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다양한 융합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