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tudinal effec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중심 축력을 받는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및 연성에 관한 연구 (Strength and Ductility of 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Uniaxial Loads)

  • 이강건;이재연;김성수;이리형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7-62
    • /
    • 1990
  •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 of rectilinear confinement in high-strength concrete subjected to a monotonically increasing compressive axial loads. To investigate behavior of columns rectilinearly confined with lateral ties and longitudinal rebars, twelve specimens including two plain concrete specimens were tested. The main variables in this study are volumetric ratio of lateral ties, cistribution of lateral ties, yield strength of logitudinal steel, ratio of area of longitudinal steel to the area of cross section. The test results were not only compared with an empirical model for the stress-strain curve of rectilinearly confined high-strength concrete but also the existing model. The empirical model used calculating column capacity shows better agreement with the test results tham the existing model.

  • PDF

소(우(牛))의 식도구 평활근 절편에 대한 catecholamine의 작용 (Effects of catecholamines on the smooth muscle strips of the cattle oesophageal groove)

  • 조제열;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1-178
    • /
    • 1991
  • Effects of catecholamines were investigated on isolated strips of the male cattle oesophageal groove. In the circular muscles of the bottom and longitudinal muscles of the lip. isometric tensions was recorded with isometric myograph in 25ml organ ba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uscular activity was different in preparations from the two parts. In the longitudinal muscle from the lip, rhythmic contractions generally occurred. while in the circular muscle from the bottom they were not seen almost. 2. In the circular muscle of the bottom, the increased tone and biphasic contractions were caused by catecholamines. And these contractions were mediated through $\alpha$-excitatory adrenoceptor. Also circular muscle showed minor inhibitory response to catecholamines. And these effects were mediated through $\beta$-inhibitory adrenoceptor. But the circular muscle was more sensitive to the $\alpha$-excitatory effect than $\beta$-inhibitory effect. 3. In logitudinal muslce of the lip. rhythmic contractions were reduced or disappeared by catecholamines(especially propranolol) and these effects were mediated through $\beta$-adrenoceptor.

  • PDF

터널 화재시 종류식 환기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Longitudinal Ventilation on the Variation of Burning Rate in Tunnel Fires)

  • 양승신;김성찬;유홍선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2005
  • 본 연구는 터널내 화재 발생시 종류식 환기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Froude scaling에 의해 1/20크기로 축소한 모형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원으로는 $8.5cm{\sim}14.5cm$의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발열량은 $3.57{\sim}10.95kW$이다. 연소율은 로드셀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연기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K형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풍동은 터널의 한쪽부분과 연결하였고, 터널 공간의 배연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풍동의 전압을 조절하였다. 메탄올 화재인 경우 배연속도가 증가할수록 냉각효과로 인하여 연소율은 감소하였으며, 또한 같은 무차원속도(V)일때 화원 크기가 커짐에 따라 연소율은 감소하였다.

자유학기제의 학교생활만족감과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fluences of Free Semester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Classes)

  • 곽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67-174
    • /
    • 2021
  •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참여가 학교생활만족감과 수업흥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효과가 종단적으로 지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도시에 거주 중인 중학생으로서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실험집단 451명과 자유학기제에 미참여한 통제집단 466명으로 자유학기제가 종료된 이후 매 년 3차년도까지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학교생활만족감의 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 경향은 2차년도까지 지속되었지만 3차년도에는 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 흥미 중 주지교과 수업의 분석 결과, 3년 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예체능 수업 흥미에 대한 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시행집단이 미 시행집단 보다 1차년도, 2차년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3차년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의 지속적 효과를 위하여 단기적 운영에서 벗어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제도 마련과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중고령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단기·종단적 영향 (Longitudinal and short term effects of senior life plans of the middle aged employee on life satisfaction)

  • 안기선;김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07-3015
    • /
    • 2012
  • 본 연구는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중고령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단기 종단적인 영향력을 파악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노인복지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2001년(4차년도) 데이터와 2008년도(1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2001년도를 기준으로 하여 45세 이상 60세 이하의 중고령취업자의 노후생활계획과 삶의 만족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중고령취업자는 8년이라는 기간 동안에 건강이 나빠지고 직업이 불안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노후생활계획, 신체적 노후생활계획은 중간수준 이하이지만, 관계적 노후생활계획, 여가사회활동 노후생활계획은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생활계획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단기적으로 봤을 때는 삶을 즐기기 위한 여가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경제적 노후생활계획의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유일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노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역의 노후생활계획을 수립하여야 하지만 그 중에서도 경제적 노후생활계획에 대한 준비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사회와 국가적으로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