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stic Model

검색결과 1,905건 처리시간 0.032초

Association of Pre- and Perinatal Risk Factors With Tourette Syndrome or Chronic Tic Disorders in a Korean School-Age Population

  • Wooseok Choi;Soon-beom Hong;Johanna Inhynag Kim;Jung Lee;Soomin Jang;Yebin D Ahn;You Bin Lim;Sumin Kim;Mee Rim Oh;Bung-N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1호
    • /
    • pp.37-44
    • /
    • 2023
  • Objectives: Tic disorders are highly heritable; however, growing evidence suggests that environmental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ir pathogenesis. Studies on these factors have been inconsistent, with conflicting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pre- and perinatal exposure to Tourette syndrome (TS) or chronic tic disorders (CTD)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used data from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The primary outcome was TS/CTD diagnosis according to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 criteria and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Korean Version. Demographic, pre-, and perinatal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maternal questionnaires. Data between the TS/CTD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chi-squared or Student's t-test, as appropriate. Two-step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the association between TS/CTD and pre- and perinatal risk factors. Results: We included of 223 children (78 with TS/CTD and 145 contro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data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The male sex ratio, mean parental age, parental final education level, and family history of tics were included as confounders. In the final adjusted multivariable model, TS/CT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tiemetic exposure during pregnancy (odds ratio [OR]=16.61, 95% confidence interval [CI] 1.49-185.22, p=0.02) and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 (OR=7.89, 95% CI 2.28-27.28, p=0.01). Conclusion: Antiemetic exposure and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TS/CTD. These results should be replicated in future prospective and gene-by-environment studies.

입상 암면 용량과 코이어 및 암면 배지 종류에 따른 수경재배 멜론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Hydroponically Grown Melon according to Volume of Granular Rockwool and Substrates of Coir and Rockwool)

  • 정대호;오수환;김다미;이수오;조철희;조혜원;하철규;이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2-80
    • /
    • 2023
  • 멜론은 풍부한 비타민과 섬유질을 제공하는 작물로 대부분 토양에서 재배하고 있다. 그러나 수경재배를 통해 생산량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생육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배지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상 암면 배지를 이용하여 근권부 용량을 다르게 수경재배한 경우와 코이어 및 암면 슬라브 배지를 활용하여 수경재배한 경우 멜론의 수체와 과실의 생육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금세계' 품종(Cucumis melo L. cv. Geumsegye)을 입상 암면 용량을 1.0, 1.5, 2.0, 3.0, 4.0L로 달리하여 수경재배하였으며, 코이어 슬라브와 암면 슬라브를 사용해 재배하였다. 작물의 초장, 엽장, 엽폭 등 생육 특성을 조사하여 로지스틱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과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멜론의 생육 특성은 1.0L 용량의 입상 암면에서 재배한 것에 비해 4.0L 용량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코이어 슬라브와 암면 슬라브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암면 슬라브에서 재배한 멜론에서 가장 과실 생체중과 과장, 과폭이 크게 나타났다. 수경재배 시 입상 암면 용량은 4.0L 수준에서 가장 생육이 좋으며, 코이어 슬라브와 암면 슬라브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생육을 보였다. 앞으로 무네트 멜론의 근권부 환경에 따른 생육을 확인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범이론적모형에 근거한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in Middle Aged Men who Work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 이혜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행위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 충북에 거주하며 직장을 다니고 있는 40~59세 중년남성으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170명의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운동자기효능감(𝛽=.965, p=.003)과 지각된 건강상태가(𝛽=.805, p=.025)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행위가 있는 직장 중년남성이 운동행위가 없는 직장 중년남성에 비해 운동자기효능감이 2.6배 높고, 지각된 건강상태는 2.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 중년남성의 운동실천을 위한 전략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하며, 이를 바탕으로 직장과 지역사회 차원의 운동프로그램 운영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물류 자동화 창고의 출고 프로세스 설계 검증 및 대안 분석 (Simulation-based Design Validation and Alternatives Analysis of Release Process of Logistics Automation Warehouse)

  • 정문기;김종필;박진성;서경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75-91
    • /
    • 2023
  • 코로나 팬데믹 이후 B2C(Business to Customer) 중심의 온라인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물류 산업계는 다품종 소량 중심의 물류 처리를 위한 물류 자동화 창고를 구축하고 있다. 물류 자동화 창고 구축 시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부터 자동화 창고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도록 설비 성능과 운영 로직이 설계되었는지 공학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북 익산의 H 물류 자동화 창고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모델 기반의 설계 검증 및 최적 대안을 제시한다. 먼저, 전체 물류 프로세스 중 설계 검증 대상을 출고 프로세스와 관련 있는 박스 공급과 포장 프로세스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대상 프로세스에 대하여 병목현상이 발생 가능한 부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식별한 설비 파라미터와 운영 로직은 전체 자동화 창고의 성능 요구사항을 일부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추가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설비 파라미터와 운영 로직을 변경하여 시스템 성능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해당 시뮬레이션 연구는 추후 시스템 설계 단계뿐 아니라 시스템 구축 단계에서도 설계에 맞게 구축이 진행되는지 확인하는 검증 목적으로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도시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시민의 지불의사액 추정 연구 (Estimation of citizen's willingness to pay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urban rivers)

  • 강지윤;양진우;황영순;김기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225-233
    • /
    • 2023
  • 도시하천은 급속한 경제성장과 개발 등 여건변화로 본연의 모습과 가치를 잃고 인공적인 모습으로 변해왔다. 이로 인해 도시민의 삶의 질과 만족도 또한 하락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대표적 도시하천인 수영강을 대상으로 도시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도시민의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비시장가치 추정을 위해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적용하여 수질개선을 위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를 파악하고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가상시나리오는 EPA, 수질사다리(waterquality ladder)의 개념을 이용하여 현재 수영강 수질이 오염된 물(4등급)이라고 가상시장을 설정하고 낚시가 가능한 수준(2등급)까지 개선을 시키고자 할 때의 지불의사를 조사하였다. 이때 지불수단은 기부금의 형태로 지불기간은 연 1회 향후 5년간으로 설정하였다. WTP는 한국개발연구원(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에서 제시하고 있는 로지스틱 분포와 스파이크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지불의사 추정결과 수영강 인접 지역주민의 지불의사가 상대적으로 높게 추정되었다. 또한 부산시민의 절반 이상(56.5%)이 '자연 및 생태보전'을 수영강의 주요 기능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하천환경개선을 위한 지불의사의 상승은 도시하천의 가치 향상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 기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 기대수준 충족과 더불어 도시하천 경제적 가치상승을 위한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산림휴양복지 수요자에 대한 시장 세분화 연구 (Market Segmentation to Identify Forest Recreation Welfare Consumers)

  • 변승연;허성윤;구자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248-257
    • /
    • 2023
  • 최근 소득수준 향상, 유연근무제 확산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하여 산림휴양복지에 대한 수요 및 이용 패턴의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산림휴양·복지 시장 전반에 대한 세분화를 통해 각 유형별로 어떤 특성이 있는지 규명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차별화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산림휴양·복지 활동 경험 유형을 4개의 그룹(소극적 이용형, 보통형, 적극적 애호가형, 무관심형)으로 세분화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그룹 간 차이의 원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본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3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산림휴양 복지를 경험하는 그룹이 세분화되어있다는 것이다. 둘째, 산림활동 경험 유형별 그룹을 구분 짓는 사회경제적 특성이 규명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산림휴양복지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대상 및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룹별 차별화된 정책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그룹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책수단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PA기법을 통한 항만배후단지 내 국제물류센터 입주결정요인 분석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Location Selection Factors for International Distribution Center in Port Hinterland)

  • 김시현
    • 무역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83-301
    • /
    • 2017
  • 항만의 역할이 변화하고 그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항만배후부지의 역할과 기능은 부가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SCM구축을 위한 국제물류의 거점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었다. 부가가치 물류활동에 대한 항만배후단지 입주 및 항만배후부지 내 부가가치물류 활동을 통한 이익 창출형 사업모델(Biz-model) 개발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만배후단지 내 국제물류센터의 입지경쟁력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요인분석 및 AHP 방법론 등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IPA 기법을 적용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동시에 비교하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 19개의 평가요인은 지원정책, 성장잠재력, 시설활용, 시장접근성, 연결성 등을 포함하는 5개의 상부요인으로 분류되었다. IPA 기법을 통한 분석 결과 사분면에 속해있는 세부내용들은 항만과 항만의 배후단지를 연결하는 연결성, 시장접근성, 지원정책 등이 입주결정에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정책적인 지원들은 우선 시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혀졌다. 추가적으로, 연구결과는 사분면 내 세부 내용들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낮은 영역인 복합운송체계 구축 수준 및 효율성, 그리고 지원정책을 구성하는 인센티브 프로그램, 홍보 및 마케팅 지원, 입주 시 금융지원정책, 자유무역 시스템 및 관련 법규 등에 대한 집중적인 우선 시정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퇴원 의지가 요양병원의 성공적 퇴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A Multilevel Analysis about the Impact of Patient's Willingness for Discharge on Successful Discharge from Long-term Care Hospitals)

  • 강하렴;이연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7-355
    • /
    • 2022
  • Background: Since November 2019, long-term care hospitals have been able to provide patients with discharging programs to support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both patient- and hospital-level factors that affect successful community discharge from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performed using hospitals as a clustering unit. The dependent variable was whether a patient stayed in the community for at least 30 days after discharge from a long-term care hospital. As for the patient-level independent variables, an agreement between a patient and the family about discharge, length of hospital stay, patient category, and residence at discharge were included. The number of beds and the ratio of long-stay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hospital-level factors. The sample size was 1,428 patients enrolled in the discharging program from November 2019 to December 2020.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to the community and stayed at least for 30 days was 532 (37.3%).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22.9%, indicating that hospital-level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uccessful community discharge. The odds ratio (OR) of successful community discharge increased by 1.842 times when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greed on discharge. The ORs also increased by 3.020 or 2.681 times, respectively when the patients planned to discharge to their own house or their child's house compared to those who didn't have a plan for residence at discharge. The ORs increased by 1.922 or 2.250 times when the hospitals were owned by corporate or private property compared to publicly owned hospitals. The ORs decreased by 0.602 or 0.520 times when the hospital was sized over 400 beds or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compared to less than 200 bedded hospitals or located in metropolitan c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s willingness for discharge had a great impact on successful community discharge and the hospital-level factor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and support long-term care hospitals to involve active in the patient discharge planning process.

Famine exposure in early life and type 2 diabetes in adulthood: findings from prospective studies in China

  • Feng Ning ;Jing Zhao ;Lei Zhang ;Weijing Wang ;Xiaohui Sun ;Xin Song ;Yanlei Zhang ;Hualei Xin ;Weiguo Gao;Ruqin Gao ;Dongfeng Zhang ;Zengchang Pa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780-788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ne exposure in early life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in adulthood during the 1959-1961 Chinese Famine. SUBJECTS/METHODS: A total of 3,418 individuals aged 35-74 years free of diabetes from two studies in 2006 and 2009 were followed up prospectively in 2009 and 2012, respectively. Famine exposure was classified as unexposed (individuals born in 1962-1978), fetal exposed (individuals born in 1959-1961), child exposed (individuals born in 1949-1958), and adolescent/adult exposed (born in 1931-1948).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ne exposure and diabetes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variates. RESULTS: During a three-year follow-up, the age-adjusted incidence rates of type 2 diabetes were 5.7%, 14.5%, 12.7%, and 17.8% in unexposed, fetal-exposed, child-exposed, and adolescent/adult-exposed groups, respectively (P < 0.01). Relative to the unexposed group, the relative risks (95% confidence interval) for diabetes were 2.15 (1.29-3.60), 1.53 (0.93-2.51), and 1.65 (0.75-3.63) in the fetal-exposed, child-exposed, and adolescent/adult-exposed groups,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covariates. The interactions between famine exposure and obesity, education level, and family history of diabetes were not observed, except for the urbanization type. Individuals living in rural areas with fetal and childhood famine exposure were at a higher risk of type 2 diabetes, with relative risks of 8.79 (1.82-42.54) and 2.33 (1.17-4.6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amine exposure in early life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type 2 diabetes, particularly in women.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may help prevent diabetes in later life.

한국 암환자들의 근력운동 빈도, 근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4-2016년 (The Association between Resistance Exercise Frequency, Muscular Streng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Cancer Patien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4-2016)

  • 안기용;강동우;민지희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5호
    • /
    • pp.269-27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암환자들의 근력운동 빈도, 근력, 그리고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총 647명의 암환자들의 주당 근력운동 빈도, 악력,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력운동빈도가 주당 0~1일인 암환자들은 5일 이상인 암환자들에 비해(0.852±0.016 vs. 0.890±0.020 ; p=0.006), 상대 악력이 낮은 암환자들은 높은 그룹에 비해 (0.850±0.018 vs. 0.911±0.016; p<0.001) 건강관련 삶의 질 지수 (EQ-5D index) 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주당 근력운동 빈도가 0~1일인 암환자들은 5일 이상인 암환자들에 비해 운동능력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4.07배 (95% CI=1.31-12.63), 상대 악력이 낮은 그룹은 높은 그룹에 비해 운동능력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4.94배 (95% CI=2.14-11.41), 일상생활에서는 5.18배 (95% CI=1.56-17.14), 통증/불편에서는 2.46배 (95% CI=1.33-4.55) 증가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암환자들의 근력운동 빈도와 근력이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꾸준한 근력운동으로 인한 근력향상은 암환자들의 삶의 질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