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cal

검색결과 2,661건 처리시간 0.033초

SOME PROPERTIES OF CELLULAR AUTOMATA

  • Kim, Jae-Gyeom
    • 충청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7-454
    • /
    • 2008
  • In this short note, we will point out and modify some logical errors in literatures about the theory of cellular automata.

  • PDF

TFT-LCD 패널 검사를 위한 지역적 분별에 기반한 결함 영역 분할 알고리즘 (Segmentation of Defective Regions based on Logical Discernment and Multiple Windows for Inspection of TFT-LCD Panels)

  • 정건희;정창도;윤병주;이준재;박길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04-214
    • /
    • 2012
  • 본 논문은 비전장비의 결함 검사 시스템을 위한 불균일한 휘도분포를 가지는 TFT-LCD 영상에서 결함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을 다룬다. 불균일한 휘도분포 때문에 결함의 영역을 찾기 어려우며 이를 위해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Kamel과 Zhoa는 문자 및 그래픽의 분할을 위해 논리적 단계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방법은 공간상에서 수행되어지는 지역적 분할 방법으로 불균일한 분포 상에서도 문자가 잘 분할되는 장점이 있다. TFT-LCD의 저해상도 영상도 배경의 분포가 불균일하여 본 논문에서는 Kamel과 Zhoa의 방법을 답습하여 새로운 결함 영역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결함주위에 발생하는 과검출(Ghost object)이 적은 장점이 있으며 제안 방법의 성능을 증명하기위해 실제 결함이 존재하는 TFT-LCD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하고, 주파수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FFT의 밴드패스 필터를 이용한 분할 방법과 비교하였다.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지배적 디자인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 Process of Dominant Design of Smartphone Operating Systems)

  • 이상현;박철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7-13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지배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제시된 요인들과 사용만족 간의 논리적 인과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배적 디자인을 결정하는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주요 결정요인을 OS호환성, OS향상성, 사용자기반, 그리고 네트워크 효과 등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사용만족과의 논리적 인과관계를 실증분석했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운영체제의 OS호환성과 OS향상성은 사용기반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OS향상성은 사용기반을 확대 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효과를 강화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사용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그동안 실증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운영체제의 지배적 디자인 결정과정에 대해 논리적 인과관계를 제시하여 학문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무적으로도 크게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새로운 H.264/AVC CAVLC 고속 병렬 복호화 회로 (A New H.264/AVC CAVLC Parallel Decoding Circuit)

  • 여동훈;신현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1호
    • /
    • pp.35-43
    • /
    • 2008
  • 새로운 컨텍스트 기반 적응형 가변 길이 코드의 효율적인 병렬처리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적인 병렬처리, 작은 면적, 저전력 설계를 위한 몇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 제시한다. 첫 번째, 빠른 저전력 연산을 위해 메모리 방식 대신에 단순화된 논리 연산 방식으로 회로를 설계하였다. 두 번째, 효율적인 논리 연산을 위하여 코드 길이를 이용하여 코드들을 그룹지었다. 세 번째, M 비트까지의 입력은 고속 처리를 위하여 병렬 처리하였다 비교를 위해 M=8인 병렬 논리 연산 복호기와 대표적인 기존 방식의 복호기를 설계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고속 병렬처리가 가능하며 같은 복호 속도 (M=8일 때, 1.57codes/cycle) 에서는 기존 방식의 복호기보다 46% 작은 면적을 사용한다.

게임세대를 위한 수학문장의 그래픽 표현방법 (A Method of Graphic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Sentences for Game Generation)

  • 장희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12
    • /
    • 2012
  • 그래픽으로 표현된 정보는 컴퓨터게임에 익숙한 게임세대들에게 정보를 인지하는데 텍스트보다 선호하는 스타일이다. 또한 수학교육에 있어서도, 그래픽으로 표현된 수학문제를 통해 해를 찾는 학습은 학습자들에게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뚜렷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세대인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수학문장을 그래픽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가시성이 우수한 그래픽 요소들을 사용하여 단위정보를 논리적인 구조로 배치하고 단위 정보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을 기호, 선분, 또는 화살표로 표현하여 게임세대들이 문장의 내용을 인지하지 쉽고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기존의 수학문장의 그래픽표현방법과 달리 제안하는 방법은 문장의 시제와 태까지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게임세대인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또 수학교육용 컴퓨터게임의 학습 스캐폴딩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정보의 그래픽표현을 위해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초 .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인지적, 정의적 특성에 대한 공변량 구조분석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f Science Process Skills Affected by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 임청환;김승화;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of causal effects of students' variables on science process skills. Student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 the study included attitude related to the science, logical thinking ability, scientific experiences, cognitive style.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procedures were used to test causal inferences about hypothesized relationships. The sample consisted of 319 6th grade students and 321 8th grade students in Seoul City, Korea. Five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study, TSPS(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CEFT(children embedded figures test), questionnaire of attitude related to the science, questionnaire of scientific experience.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adop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lSREL, a computer statistical program developed by J reskog and S rbom.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1) Logical thinking ability has a most strong direct effect on science process skills. 2) The structural coefficient of scientific experience influence on attitude related to the science has the greatest direct one than the others in the covariance structural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very importance that various scientific experiences, particularly hands-on activity, should be offer to students to improve science process skills. Als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of student variable to science process skills will be helpful to decision making on the part of curriculum developers, science teachers and researchers.

  • PDF

문제와 문제해결자의 특성에 따른 화학 문제 해결:문제 해결 시간과 전이 분석 (Chemistry Problem Solving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and Problem Solver: An Analysis of Time and Transition in Solving Problem)

  • 노태희;전경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9
    • /
    • 1997
  • Students' protocols obtained from think-aloud interviews were analyzed in the aspects of the success at first two problem-solving stages (understanding and planning), the time to complete a problem, the time at each problem-solving stage, the number of transition, and the transition rate. These were compared in the aspects of the context of problem, the success in solving problem, students' logical reasoning ability, spatial ability, and learning appro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Students tended to spend more time in everyday contexts than in scientific contexts, especially at the stages of understanding and reviewing. The transition rate during solving a problem in everyday contexts was greater than that in scientific contexts. 2. Unsuccessful students spent more time at the stage of understanding, but successful students spent more time at the stage of planning. 3. Students' logical reasoning ability, as measured with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ccess in solving problem. Concrete-operational students spent more time in completing a problem, especially understanding the problem. 4. Students' spatial ability, as measured with the Purdue Visualization of Rotations Test and the Find A Shape Puzz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a problem and to plan for its solution. 5. Students' learning approach, as measured with the Questionnaire on Approaches to Learning and Studying,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ccess in solving problem. However, the students in deep approach had more transitions and greater transition rates than the students in surface approac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