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 Storage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8초

Spreadable 간 제품의 저장온도별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Spreadable Liver Product)

  • 김영붕;전기홍;이남혁;이현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2-38
    • /
    • 2008
  • 돼지 도축부산물의 하나인 돼지 간의 활용도 증진을 위하여 퍼짐형 간 제품을 제조하여 저장온도별 품질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저장시험은 $-2^{\circ}C,\;5^{\circ}C$$20^{\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 VBN, 색도,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관능검사를 분석하였다 pH는 저장온도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TBA는 $-2^{\circ}C$ 저장구에서 30일째에 0.6 MA mg/kg의 값을 보이고, $5^{\circ}C$ 저장구에서는 21일째 0.80 MA mg/kg 이상을 나타냈으며, $20^{\circ}C$저장구는 14일째 0.91 MA mg/kg를 보였다. VBN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계속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으나 그 중 $20^{\circ}C$ 저장구가 10일째 가식권을 벗어났다. 색깔변화는 각 저장구간 전체적으로 명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온도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있었지만 퍼짐성은 높은 온도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의 변화는 $-2^{\circ}C$저장구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세균 증식이 일어나지 않아 저장 30일째에도 3.31 log CFU/g의 수준을 보였다. $5^{\circ}C$ 저장구 30일까지 저장 후에도 3.56 log CFU/g 정도였다. 반면 $20^{\circ}C$ 저장구에서는 저장 14일에 8.74 log CFU/g까지 증식하였다. 대장균군에서는 $-2^{\circ}C$$20^{\circ}C$ 저장구에서는 전 저장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며 $5^{\circ}C$ 저장구 3일째에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돼지 간을 이용한 제조된 퍼짐형 간 제품은 이하에서 14일까지는 식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다.

DEFT/APC 측정에 의한 시판 분말수프의 살균처리여부 확인 및 감마선 처리에 따른 품질특성 평가 (Screening of Sterilized Ramen Soup by DEFT/APC Method and Its Quality Properties as Affected by Irradiation)

  • 안재준;김광훈;박성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15-521
    • /
    • 2009
  • 시판 라면분말수프(RS-1, RS-2)의 사전 위생화 처리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DEFT(direct epifluorescent filter technique)/APC (aerobic plate count) 측정을 실시한 결과, 사전 살균처리가 이루어진 제품임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초기 존재했던 균수인 log DEFT는 RS-1 6.46, RS-2 7.05를 보이면서 조사선량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총 생균수인 log APC는 RS-1 2.74와 RS-2 1.95를 보이면서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로써 log DEFT/APC 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사전 살균여부가 알려지지 않을 경우 방사선에 의해 위생화 처리될 수 있음을 감안, 5 및 10 kGy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을 실온($10{\pm}3^{\circ}C$)에서 6개월 저장 중 평가하였다. DEFT count는 조사선량에 무관하게 일정한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으나 생균수(APC)는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시료에서는 대장균군과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초기 호기성 세균은 5 kGy 이상에서 사멸되었고 실온 저장 6개월 동안 뚜렷한 생육이 없었다. 라면수프 RS-1은 조사선량에 따라 pH가 감소하였고(p<0.01) 저장 중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조사선량의 증가로 라면수프의 VBN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TBA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VBN 함량과 기계적 색도는 1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에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저장 조건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가 쌀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of Cooked Rice)

  • 이유석;오상희;이주운;김장호;이종욱;이효구;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82-586
    • /
    • 2004
  • 면역결핍 환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한 무균식 제품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쌀밥에 0, 5, 10 kGy로 감마선 조사하여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색, 물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선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yellowness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0 kGy 조사구의 부착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부착성과 경도의 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비조사구의 경우 저장 3일 후 7 log cycle까지 증가하였으나 5 kGy 조사구는 저장 4주 후 4 log cycle수준을 유지하였으며 10 kGy 조사구의 경우는 검출되지 않았다. 감마선 조사의 선량은 색도, 물성 및 미생물적인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5 kGy 내외가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5 kGy로 조사하였을 경우 3$0^{\circ}C$ 저장시 1개월 이상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 저장을 위한 고선량 적용을 위해 색도의 변화 및 물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ous-vide Cook Chill System으로 생산된 닭찜의 저장성 향상효과에 관한 연구 - 오레가노-올스파이스와 아스코르브산 첨가를 중심으로 - (Improvement in the Storage Quality for of Steamed Chicken Processed by a Sous-vide Cook-Chill System - Focused on Addition of Oregano-Allspice and Ascorbic acid -)

  • 김혜영;배지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7-305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ies of steamed chicken samples by prepared with combined additions of oregano-allspice and Ascorbic acid (OA/AA), and processed by a sous-vide cook - chill system. The hurdle effect of the OA/AA addition was examined in terms of microbial stability improvements and their effects on sensory were also evaluated. First, the microbial risk was lowered and chicken quality was good with the addition of the OA/AA hurdle as compared to the control. Second, over various days of storage, the microbial quality of the OA/AA samples was relatively high. In standard plate counts, the control group presented a bacteria level of 2.75 LogCFU/g at 10 days of storage, but the OA/AA groups were had counts of 2.38, 1.89 and 1.81 LogCFU/g, respectively. And at 15 days of storage, the control group had a level of 3.65 LogCFU/g whereas the OA/AA groups had counts of 3.55, 3.54, and 3.24 LogCFU/g, respectively. Lastly, the sensory scores of the OA/AA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overall microbi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better in the OA/AA hurdle groupsf than in the control group. Thus, the combined addition of Oregano-allspice and Ascorbic acid may be and alternative means for extending shelf - life.

비휘발성 캐시를 사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SSD의 데이터베이스 로깅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lash Memory SSD with Non-volatile Cache for Log Storage)

  • 홍대용;오기환;강운학;이상원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107-113
    • /
    • 2015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이 수행한 변경 사항은 커밋 전 2차 저장장치에 보존되어야 한다. 일반적 2차 저장장치는 비휘발성 미디어의 처리 지연을 보완하기 위해 휘발성 DRAM 캐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휘발성 DRAM에만 쓰여지는 로그들은 영구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DRAM 캐시에서 저장매체로 로그를 쓰는 지연 시간을 감출 수 없다. 최근 이러한 단점 극복을 목적으로 DRAM 캐시에 커패시터를 장착한 플래시 SSD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비휘발성 캐시를 가지는 저장 장치는 DRAM 캐시에 로그를 쓰고 즉시 커밋 가능하므로, 커밋 대기를 줄이고 트랜잭션 처리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논문은 커패시터 백업 캐시를 사용한 SSD를 로그 저장소로 사용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대해 실험 및 분석 한다. 로그를 낸드 플래시에 저장하지 않고 DRAM 캐시에 저장한 직후 커밋 함으로써, 3배 이상의 처리량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적절한 튜닝을 거친 후 이상적 로그 성능의 73% 이상을 보인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미역의 저장성 개선 (Improvements in Storage Stability of Undaria pinnatifida after Gamma Irradiation)

  • 김현주;최종일;김재훈;전병수;안동현;김광훈;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90-593
    • /
    • 2009
  • 감마선 조사가 미역의 저장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미생물 오염도 평가 결과 3 kGy 이하의 선량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2주 저장한 후, 조사처리 하지 않은 미역의 미생물이 6 log CFU/g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5 kGy 조사 처리한 미역의 경우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5 kGy의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였을 때, 미역의 명도 값이 소폭 증가하였다. 미역의 경도 측정 결과 3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 kGy 감마선 조사는 미역의 품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저장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장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소스류의 총균 및 Bacillus cereus 포자에 대한 줄가열 및 초고압 처리 효과 (Effect of Joule Heating and Hydrostatic Pressure on Reduction of Total Aerobes and Spores of Bacillus cereus in Sauces Prepared with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 조은지;오세욱;허병석;홍상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619-1626
    • /
    • 2014
  • 마리네이드, 간장소스, 된장소스 및 고추장소스를 대상으로 총균수 및 Bacillus cereus 접종포자에 대해 초고압, 줄가열, 항균물질에 단독처리나 hurdle 복합처리에 의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줄가열 처리는 된장 및 고추장소스의 총균과 접종포자에 대해서 1.0~2.0 log 범위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J($85^{\circ}C$), A(EtOH 3.0%) 및 P(550 Mpa, 5분)를 허들로 설정하였을 경우 된장소스의 총균수는 JA 처리구가 0.35 log, JP 처리구가 0.92 log 및 JAP 처리구가 1.21 log 감소하였고, 고추장소스의 총균수는 JA 처리구가 1.26 log, JP 처리구가 1.7 log 및 JAP 처리구가 1.47 log 감소하였다. 포자의 경우 된장소스는 AP 처리구가 0.50 log, JP와 JAP 처리구는 각각 1.42 log 및 1.38 log로 감소 효과가 증가하였고, 고추장소스는 AP 처리구가 0.47 log, JA 처리구가 3.3 log, JP와 JAP 처리구가 모두 3.45 log만큼 크게 감소하였다. 상기 소스의 총균과 포자에 대한 처리구는 $30^{\circ}C$에서 8주간 저장 시 대조구 대비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소스류 중에서 고추장소스와 된장소스는 줄가열과 초고압을 연계한 허들처리를 통해 총균수와 B. cereus 포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aCl을 첨가한 데침 열처리 취나물의 미생물 보존성 (Microbial Analysis of Aster scaber Blanched with NaCl for Storage)

  • 김봉주;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51-557
    • /
    • 2014
  • 취나물의 보존과 유통 시에 미생물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hurdle technology를 이용한 데침, 위생처리제와 감압포장 처리에 따른 분석을 하였다. 데침 열처리 후 위생처리제로는 20% 에탄올과 10% NaCl에서 6일 후에 총 세균수가 2 log CFU/g으로 효과적으로 제어되었다. 데침 시의 물온도는 $100^{\circ}C$ 온도가 균의 제어에 더 유리하였으며, 보관온도는 $4^{\circ}C$ 온도가 균 증식을 적게 하였다. 2회 반복적인 데침과 NaCl 첨가 $80^{\circ}C$ 데침 물온도의 처리에서도 현저한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데침 시에 접촉되었던 물이 없는 감압포장 상태에서의 데침도 10일간 2 log CFU/g 총세균수를 보여 주어 세균 억제에 효과적임을 알았다. 그리므로 $80{\sim}100^{\circ}C$에서 10% NaCl 물로 2회 반복 데침이 취나물의 미생물적인 품질을 높여 주었고, 물 접촉이 없는 반복 데침도 취나물의 보관 유통에 도움이 됨을 알 수가 있었다.

현미와 백미의 저장 중 초기흡습 속도의 비교 (Comparison of Initial Adsorption Rate of Brown and Milled Rices During Storage at $25^{\circ}C$)

  • 송보현;김동연;김성곤;강성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2호
    • /
    • pp.79-84
    • /
    • 1989
  • 현미와 백미를 상대습도 $57{\sim}86%$, 저장온도 $25^{\circ}C$에서 각각 13일과 7일간 저장하면서 초기 흡습속도를 분석하였다. 상대습도 75%에서의 흡습속도식은 현미의 경우 log($d{\omega}/dt{\times}10^{3}$)=-0.8108 log t+3.0347, 백미의 경우 log($d{\omega}/dt{\times}10^{3}$)=-0.8451 log t+3.0087로 표시되었다. 여기에서 ${\omega}$는 수분함량(%, 건량기준), t는 저장시간(시간)이다. 상대습도 $57{\sim}86%$에서의 저장 중 수분함량은 각 상대습도에서의 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Kinetic Models Describing Kinetic Behavior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Milk

  • Kim, Hyoun Wook;Lee, Sun-Ah;Yoon, Yohan;Paik, Hyun-Dong;Ham, Jun-Sang;Han, Sang-Ha;Seo, Kuk-Hwan;Jang, Aera;Park, Bum-Young;Oh, Mi-Hw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5-161
    • /
    • 2013
  • This study developed predictive models to evaluate the kinetic behaviors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milk during storage at various temperatures. B. cereus and S. aureus (3 Log CFU/mL) were inoculated into milk and stored at $10^{\circ}C$, $15^{\circ}C$, $20^{\circ}C$, and $30^{\circ}C$, as well as $5^{\circ}C$, $15^{\circ}C$, $25^{\circ}C$, and $35^{\circ}C$, respectively, while bacterial populations were enumerated. The growth data were fitted to the modified Gompertz model to estimate kinetic parameters, including th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mu}_{max}$; Log CFU/[$mL{\cdot}h$]), lag phase duration (LPD; h), lower asymptote ($N_0$; Log CFU/mL), and upper asymptote ($N_{max}$; Log CFU/mL). To describe the kinetic behavior of B. cereus and S. aureus, the parameters were fitted to the square root model as a function of storage temperature. Finally, the developed models were validated with the observed data, and Bias (B) and Accuracy (A) factors were calculated. Cell counts of both bacteria increased with storage time. Primary modeling yielded the following parameters; ${\mu}_{max}$: 0.14-0.75 and 0.06-0.51 Log CFU/mL/h; LPD: 1.78-14.03 and 0.00-1.44 h, $N_0$: 3.10-3.37 and 2.09-3.07 Log CFU/mL, and $N_{max}$: 7.59-8.87 and 8.60-9.32 Log CFU/mL for B. cereus and S. aureus, respectively. Secondary modeling yielded a determination of coefficient ($R^2$) of 0.926.0.996. B factors were 1.20 and 0.94, and A factors were 1.16 and 1.08 for B. cereus and S. aureus, respectively. Thus, the mathematical models developed here should be useful in describing the kinetic behaviors of B. cereus and S. aureus in milk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