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based Services

검색결과 1,197건 처리시간 0.047초

위치기반의 드라마 콘텐츠서비스용 스마트 플랫폼 설계 (Smart Platform Design for Location based Drama Contents Services)

  • 최영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7-4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PPL(Product Placement)을 변경할 수 있는 위치기반 실시간 비디오 클립을 스트리밍하는 스마트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LTE 위치인식 기반의 GPS 좌표 값과 비콘 기술을 활용하여 Active Push형태로 사용자에게 촬영지의 드라마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비디오 클립 내의 PPL 객체에 대한 사진, 동영상, 음악,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태의 DB를 구성하였다. 제안한 플랫폼에서는 비디오 클립 스트리밍 서비스 상황에서 PPL 객체 DB에 대한 인터액티브 태그 동기화를 통해 PPL 객체의 색깔과 모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하는 플랫폼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의 요구에 따라 PPL 변경이 가능한 위치 기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한다.

위치기반서비스를 위한 지도정보가 반영된 옥내측위통합 시스템 (Integrated Indoor Positioning Systems Reflecting Map Information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임재걸;주재훈;정승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1-153
    • /
    • 2008
  • So many location based service systems, including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logistic management, taxi fleet management, and so on, are being used everywhere. However, these are all outdoors. This paper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commercial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s by developing an integrated system of our indoor positioning and map viewer modules. For the indoor positioning, we propose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ased EKF (Extended Kalman Filter) which estimates user's current location and tracts user's trace in the sequence of time. Our map viewer renders a map recorded in an Autocad DXF file and provides functions of map manipulation such as zoom-in, zoom-out, and move. We integrate our indoor positioning and map viewer modules and discus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integrated system.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RFID 기반의 효과적인 위치 인식 기법 (An Effective Location Acquisition Method Based on RFID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복경수;이미숙;박용훈;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1호
    • /
    • pp.33-4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의 불필요한 연산량을 제거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 인식을 빠르게 연산함과 동시에 측정된 객체의 위치 정보에 대한 높은 정확성을 보장하는 RFID 기반의 새로운 위치 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응용 서비스에서 알고 있는 해당 객체의 위치 정보를 새로 생성된 위치 정보로 갱신하기 위한 RFID 기반의 위치 갱신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응용 서비스로의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비용을 감소시킨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함을 보이기 위해 기존 연구와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평가 결과 기존 연구에 비해 위치 측정시 요구되는 연산량이 약 500배 이상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RFID 기반의 위치 갱신 기법에 의해 응용 서비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켰다.

비대면 지향의 위치-기반 서비스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on-Face-to-Face Oriented Location-Based Service Software)

  • 박혁규;원동현;신광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0-581
    • /
    • 2021
  •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에서 GPS 기술을 적용하는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비대면 지향의 위치-기반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물품 혹은 서비스를 거래하는 주체들이 거래를 위해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확인된 정보를 활용한다. 제안된 스케줄링 및 우선순위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효율적인 서비스 할당이 가능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웹/앱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상용화된 플랫폼이 위치-기반 중고 물품 거래 중심인데 반해, 설계한 방법은 개인간 직거래가 아닌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상공인, 프랜차이즈 등 사용자에게 광범위한 거래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 PDF

ZigBee의 RSSI 위치정보기반 보안 영상정보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Image Information Search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RSSI of ZigBee)

  • 김명환;정영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3-258
    • /
    • 2011
  • With increasing interest in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an infrastructure for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extended socially, bringing spotlight to the security system using the image or location. In case of existing security system, there have been issues such as the occurrences of blind spots, difficulty in recognizing multiple objects and storing of the unspecified object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zone-based location-estimation search system for the image have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combined with imag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search service for the image zone-based location-estimation. For this, it proposed the location determination algorism using IEEE 802.15.4/ZigBee's RSSI and for real-time image service, the RTP/RTCP protocol was applied. In order to combine the location and image, at the event of the entry of the specified target, the record of the time for image and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on a global time standard, it has devised a time stamp, applying XML based meta data 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media's feature data bas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tion based data for the events of the object. Using the proposed meta data, the service mode which can search for the imag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entry of the specified target was proposed.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에서 위치기반서비스 이용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의 영향 (Influence of Privacy Concerns on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Based on Privacy Calculus Perspective)

  • 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265-272
    • /
    • 2017
  • 스마트폰의 위치기반서비스가 활발히 사용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노출에 대한 염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자신의 위치정보의 제공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martPL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프라이버시 계산 관점의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은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이며, 위험과 효과 측면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 정보의 제공을 결정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위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나, 사용의도는 효과에 의해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적 판단과 행동적 판단이 서로 상이한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행동경제학적 관점과 일치한다.

모바일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해외 관광콘텐츠 정보 제공 연구 - 일본 오사카 지역 웹/앱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Study of foreign tourism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tilizing mobile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 김영재;오세종;두일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23-235
    • /
    • 2014
  • In this study, it is the study of foreign tourism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tilizing mobil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In particular, we compared the Web App used in Osaka, Japan.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in the world increases, it is changed to free travel of individuals from group travel. Tourists cultural complex shopping mall is able to travel in a room is increasing. By utilizing the services of the guidance location based on the room,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the discount coupon information, tourism content. Also, it is possible to grasp the movement path and disaster relief information. Osaka Japanese tourists increased after the earthquake in Tokyo. So we compare the difference in Osaka web and applications. If improving the indoo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method of domestic if it would help foreign tourists attract. In addition, it will give a big impact if there is a fus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이동 클라우딩 환경에서 LBS 지원 핸드오프 기법 (Handoff Method Supporting LBS Information in Mobile Clouding Computing)

  • 김기영;김선집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이동 클라우딩 환경에서 LBS(Location Based Services)를 지원하는 핸드오프 기법을 제안한다. 이동 클라우딩 컴퓨팅은 핸드오프 지연과 함께 재인증 지연이 발생한다. 단말이 새로운 AP에 도착하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다시 인증을 받는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위치정보를 이동 단말의 재인증에 사용하면 인증에 따른 지연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기법은 위성신호를 받지 못하는 실내에서 사용할 수 없는 GPS기반 기술을 보완할 수 있는 WiFi 기반의 위치정보 서버에 AP의 위치정보를 구축하고 핸드오프 수행 시에 위치정보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또한 핸드오프 시에 위치정보 요청을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하여 핸드오프지연 시간의 증가 없이 LBS 처리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은 핸드오프 지연시간과 위치정보 처리시간과 이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의 양을 기존의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핸드오프 기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핸드오프 시에 위치정보 서버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하여 LBS 처리에 따른 지연시간이 낮았으며 핸드오프 수행시간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의 모바일 서비스 기법 연구 (The Study on Mobile Service Methods of Location-based Social Media)

  • 최진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4-116
    • /
    • 2012
  •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로 개인 위치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또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수가 대폭 증가함에 따라 위치에 기반한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치에 기반한 소셜 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 표준 API를 사용한 접근과 결과의 분석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 모바일 서비스를 하기 위한 기술적 기법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연구 결과를 보인다.

  • PDF

A Survey of System Architectures, Privacy Preservation, and Main Research Challenges on Location-Based Services

  • Tefera, Mulugeta K.;Yang, Xiaolong;Sun, Qifu Tyle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6호
    • /
    • pp.3199-3218
    • /
    • 2019
  • Location-based services (LBSs) have become popular in recent years due to the ever-increasing usage of smart mobile devices and mobile applications through networks. Although LBS application provides great benefits to mobile users, it also raises a sever privacy concern of users due to the untrusted service providers. In the lack of privacy enhancing mechanisms, most applications of the LBS may discourage the user's acceptance of location services in general, and endanger the user's privacy in particular. Therefore, it is a great interest to discuss on the recent privacy-preserving mechanisms in LBSs. Many existing location-privacy protection-mechanisms (LPPMs) make great efforts to increase the attacker's uncertainty on the user's actual whereabouts by generating a multiple of fake-locations together with user's actual positions. In this survey, we present a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LPPMs and the state-of-art privacy measures in service quality aware LBS applications. We first study the general architecture of privacy qualification system for LBSs by surveying the existing framework and outlining its main feature components. We then give an overview of the basic privacy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LPPMs. Furthermore, we discuss the classification and countermeasure solutions of existing LPPMs for mitigating the current LBS privacy protection challenges. These classifications include anonymization, obfuscation, and an encryption-based technique, as well as the combination of them is called a hybrid mechanism. Finally, we discuss several open issues and research challenges based on the latest progresses for on-going LBS and location privacy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