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quotient analysis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5초

Economic Performance: Leading Sector, Economic Structure and Competitiveness of Export Commodities

  • WIJAYA, Adi;ILMI, Zainal;DARMA, Dio Caisar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0권3호
    • /
    • pp.23-3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leading sector, a pattern of shifting structure of the economic sector, and community export competitiveness on the economy Malinau Regen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type of data used is secondary data with a quantitative approach of 2009-2018. The study data used Location Quotient (LQ), Shift Share Analysis (SSA),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analysis tools. Results: There are 6 leading sectors: agriculture; electricity, gas, and clean water; building and construction; trade, hotels, and restaurants. That has been classified has changed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Malinau Regency from the secondary sector to the tertiary and primary sectors in 10 years. While, community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Malinau Regency through RCA Analysis, see if the export products of coal and excavation (types A, B, C) are shown to have a higher comparative advantage with comparative advantage. This shows that only a few commodities that can provide the good performance of export. Conclusions: Analysis of economic growth in the Malinau Regency after regional autonomy shows that there has been a shift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economy which is dominated by the structure of the primary sector.

특화지역 분석을 통한 권역별 특화사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축산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e of Regional Specialized Policy through Suitable Cultivation Area Analysis - Focusing on Stockbreeding Items -)

  • 유병욱;이성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33-34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ume suitable cultivation areas by items and expectably suitable cultivation areas through coefficient of specialization and spatial concentration analysis, and suggested regional specialized items discovered by this research and regional specialized business management plans & development directions. This study has monitored changing aspects of spatial distribution of suitable cultivation areas in stockbreeding items from 2000 to 2010 by applying methods of location quotient(LQ), a multiple model, and etc, and predicted changing aspects of suitable cultivation areas from 2015 to 2020. As the result of analysis, I found that there were specialized items which were spatially concentrated and that there were hot-spots which were focused on some areas by items. Additionally, there we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which remained stable or changed by them. To discover specialized items and to develop businesses, I hav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nsure business project's feasibility including the present conditions, circumstances & potential of specialized items, and etc., and to secure business competitiveness including technology exchange, production cost curtailment, business management based on consumer's needs and building systematic data about achievement and etc.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격차분석 연구 (A Study on the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buk Region)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25
    • /
    • 2022
  • 대다수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을 지식정보센터, 복합문화공간, 평생학습시설, 제3의 장소다. 이러한 정체성과 역할에 충실할 때 회자되는 사회적 오마주가 지식정보 아고라, 문화기반시설, 도시의 거실, 민중의 대학이다. 그런데 국가나 지역을 불문하고 공공도서관 상호간에 상당한 격차가 존재하면 지역별 주민의 접근·이용의 불평등을 초래하고, 정보격차 및 지역격차의 동인으로 작용하며, 사회격차 및 문화복지 격차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을 지역문화시설의 요체로 간주하고 지역 간의 상대적 격차가 문화격차를 유발한다는 전제 하에 시도별 및 경북지역의 시군별 입지계수, 투입지표(서비스 대상인구, 연면적, 직원수와 사서수, 운영예산과 자료구입비, 도서수), 산출지표(자료실 이용자수, 대출책수, 강좌 참가수)를 이용하여 상대적 격차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투입·산출지표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핵심요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시군별 공공도서관의 지표별 관리모형 및 격차해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연공원의 보호계획을 위한 광역적토지자연의 분석에 관한 연구 (I) -잠재자연의 분석에 관한 고찰- (Fundamental Studies on Regional Analysis of Land Potentiality for Conservation of Natural Park(I))

  • 배병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5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basic natural park planning guidelines which have to be considered before conservation plan. For this purpose, land potentiality was analyzed in the regional context. Natural parks in Tokyo Province were chosen as study areas because park systems in Japan and Korea are similar and lots of information are available in Japan. Land capabilities of study areas were analyzed, then the results were utilized to discuss how the natural parks. Land potentiality was analyzed by the degree of location quotient of land use allowance in homogeneous bio-physical land units, then comprehensive potentiality of bio-physical land units was revealed from existing and historical land use allowance. These 2 allowances, also, were utilized to find the limit of land use intensity,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qualitative identification of the land potentiality and the land capability. As a results, the land use allowance and characteristics of 6 groups were identified as shown in Table 3 and Figure 6. Qualitative analysis of land potentiality in this study enabled to disscus the conservation and/or preservation of natural parks, based upon elements of land, and the guidelines of natural park conservation policy were sugges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land potentiality and regional relationship. This discussed land potentiality, and existing natural resources which were stressed from conservational view point need to be combined for comprhensive understanding of land resources.

  • PDF

자연공원의 보호계획을 위한 광역적 토지자연의 분석에 관한 연구 (II) -잠재자연 및 현재자연과 보호를 위한 계획지침의 설정- (Fundarmental Studies on Regional Analysis of Potentiality for Conservation of Natural Park(II) -Analysis of Existing Natural Resources in Tokyo Province-)

  • 배병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9-52
    • /
    • 1994
  • Existing natural resources were analyzed in regional scale in order to suggest natural park guidelines as a previous step of conservation plan. Results of both existing natural resources and land potentiality in preceding paper were combined to suggest comprehensive and qualitative method for understanding of natural l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park were, then, analyzed by this method, and specific planning guidelines were discussed. The existing natural resources were analyzed by the degree of location quotient, which were found by comparison of the grade of vegetation naturalness and the bio-physical land unit in preceding paper. Then, allowance of existing natural resources was identified, and importance of protection was described based on this result. The bio-physical land unit on Tokyo Province was found to be composed by smaller land units, which had a variety of relationship with grade of vegetation naturalness: from the specific(1st) to many stages(5th). This meant a characteric of each land unit. By this combined approach,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natural land were discussed in the regional scale, and characteristic of nateral park were analyzed in terms of natural location. National park were located in the land unit where both land capability and importance of portection were the 6th. Quasi national park and 1 province natural park were located in the land unit where land capability was the 6th and importance of protection were the 5th. Seven province natural parks were located in the land unites were both criteria under the 5th were mix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specific planning guidelines in the case of Takao quasi nation park: (a) conservative land use within the limit of carrying capacity of this area by the conservation of biotic and abiotic natural resources, (b) conservation of both natural and semi-natural vegetation, (c) utilization of this area as a urban forest.

  • PDF

농촌 어메니티자원의 다양성과 특화도 분석 - 충청남도 시군단위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Diversity and Specializ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 Case By Chungcheongnamdo Province -)

  • 장우석;정남수
    • 농촌계획
    • /
    • 제20권3호
    • /
    • pp.33-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f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of Rural Amenity Resources Planning. It will be performed analysis of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in each city and district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indices were calculated by separately category of rural amenity resources into natural, cultural, and societal resource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specialization degree of rural amenity resources based on a location index showed that eleven regions (Asan City, Buyeo District, Gyeryong City, Gongju City, Nonsan City, Boryeong City, Seocheon District, Seosan City, Seajong District, Cheongyang District and Yesan City) specialized in natural resources; four regions (Geumsan District and Hongseong Distriect) specialized in cultural resources; and six regions (Dangjin District, Cheonan City) specialized in societal resources. Examining resource specialization degrees by regions, there was a high number of regions specialized in natural and societal resources while those specialized in cultural resources were the rarest. Examining the calculation results for the tendency of resource specialization degree by areas showed that, with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specialized regions, the average specialization degree showed a clear distinction with a 2.19 natural resource specialization degree and a 2.05 societal resource degree; However, in contrast, areas specialized in cultural resources-with an average degree of 1.52-were judged as not being especially more specialized than the average degree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Also, there was seen a great gap between regions with high diversity and regions with low diversity of rural amenities, and measures to solve this difference is required.

집중지표 기법을 활용한 수도권 주거지 분리에 대한 실증적 접근 (Exploring Residential Segregation through Spatial Concentration Index - as a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 봉인식;최혜진
    • 지역연구
    • /
    • 제32권3호
    • /
    • pp.17-27
    • /
    • 2016
  • 본 연구는 주거지 분리를 진단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집중지표 기법과 특화계수를 제시하고, 부동산 거래관리 시스템(RTMS) 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 79개 시군구의 임대료 수준별(상, 중상, 중, 중하, 하) 주거지 분리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임대료가 낮은 집단이 밀집한 지역은 수도권 외곽의 농촌지역 및 도농복합지역뿐 아니라 부천시, 수원시 등에서도 목격되었다. 경기도는 가장 다양한 집중도 유형이 나타났고, 서울시와 인천시에서는 각각 임대료가 매우 낮거나 높은 집단이 밀집한 지역을 발견하기 어려웠다. 집중도의 변화는 27개 지역에서 나타났고, 기존 집단보다 임대료 수준이 낮은 집단의 유입이 증가하는 하향 변화는 13개, 그 반대인 상향 변화는 14개 지역에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는 하향 변화가, 수원시 영통구 등에서는 상향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도권 지역은 하 집단의 집중이 줄어들며 다양화 지역 비율이 높아졌지만 상 집단과 하 집단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었다. 이는 임대료 집단별 특화계수를 통해서도 계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방법론적으로 특화계수는 집중지표의 설명력을 강화해 줄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특화계수 외 다른 정량적 방법과의 연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지역전략산업에 따른 특성화고 졸업자 신규수요 예측: 대전과 전남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New demand forecast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n regional strategic industrie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Daejeon and Jeonnam)

  • 김진모;최수정;전영욱;오진주;류지은;김선근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1호
    • /
    • pp.47-7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전략산업에 따른 특성화고 졸업자의 신규수요를 예측함으로써 지역별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정책수립과 특성화고의 변화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전과 전남을 중심으로 지역전략산업을 선정하고, 특성화고 졸업자의 신규수요를 산업별 및 직업별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지상 분석 및 변이할당 분석 결과, 대전과 전남의 전략산업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전은 전남과 달리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목재, 종이, 인쇄 및 복제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전기 전자 및 정밀기기 제조업'이 전략산업에 포함되었다. 전남은 대전에서는 도출되지 않은 '기계 운송장비 및 기타 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석탄 및 석유, 화학제품 제조업', '광업', '농림어업' 등이 지역전략산업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대전과 전남의 특성화고 졸업자에 대한 산업별 직업별 신규수요 역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대전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신규수요가 많은 반면, 전남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신규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직업별로는 대전이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의 신규수요 비중이 많은 것과 달리, 전남은 사무 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의 신규수요 비중이 많았다. 셋째, 각 직업별 신규수요 중 지역전략산업에서 발생하는 신규 수요의 비중은 대전과 전남에서 모두 높았다. 넷째, 대전과 전남의 특성화고 졸업자에 대한 신규수요를 산업의 입지계수와 변화효과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대전과 전남 모두 총 변화효과가 정적인(+) 산업들에서 많은 신규수요를 보였다. 입지계수 측면에서는 대전과 전남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충남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nam Display Industry)

  • 김대중;고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20-626
    • /
    • 2021
  • 본 논문은 지역산업정책에 의해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지원·육성되어온 충남 디스플레이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의 집적과 성장성 및 산업효율성 분석을 통해 현재의 산업구조적 특성을 점검하고 미래의 산업적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체규모계수(BQ)와 특화도(LQ)를 통해 산업규모와 산업집적현황을 분석하고, 산업성장률(IG)과 산업구조변화율(CIS)을 통해 산업의 성장성과 산업구조변화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산업의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해 노동의 상대적 효율성 지수(RLQ), 부가가치율, 고용계수 및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충남 디스플레이산업은 2017년 현재 산업규모가 전국대비 대규모 형태이고, 매우 높은 집적을 통해 충남의 특화산업으로서 견고한 위상을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노동의 상대적 효율성지수에서도 전국대비 상대적인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고, 부가가치율도 전국 대비 높게 나타났으며, 고용계수 역시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효율적인 산업활동이 높게 평가된다. 그러나 2013년에서 2017년간의 성장률이 떨어지고 전국보다 산업구조 변화 속도가 낮게 나타나는 등 산업구조적으로 지역경쟁력 측면이 악화되고 있어 구조적이고 혁신적 변화모색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타산업과의 벨류체인을 형성하여 동반 발전을 할 수 있는 분야로 타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시장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연관 산업과 연계된 융복합디스플레이산업으로의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최근의 지역산업정책인 '지역혁신성장계획'을 통해 지역 특성과 발전방향 등을 고려한 지역산업 육성을 도모하고,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육성을 통해 관련 소부장산업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역할이 필요해 보인다.

U-City 구축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 화성.동탄지역을 중심으로 - (The Propagation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Induced by U-City Construction in Wha-sung and Dong-tan City)

  • 김방룡;조병선;정우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2B호
    • /
    • pp.1087-1098
    • /
    • 2006
  • 본 연구는 RAS 계수법과 입지 계수법을 동태적 산업연관 모형에 동시에 적용하여 u-City 구축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통상적인 산업연관분석과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u-City 구축 사례라 할 수 있는 화성 동탄 지역의 u-City 구축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생산유발 효과 측면과 전후방연쇄 효과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화성 동탄 지역 u-City 구축에 따른 총 생산파급 효과는 약 2.9배로 추정되었으며, u-City 산업은 전방연쇄 효과는 매우 높지만 후방연쇄 효과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