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quotient(LQ)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새만금신항 활성화를 위한 전라북도 수출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xport Structure in Jeollabuk-do for the Activation of Saemangeum New Port)

  • 송민주
    • 무역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3-30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ort and export volume of Jeollabuk-do to establish a plan to activiation Saemangeum New Port.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the HHI(Herfindahl-Hirschman Index), LQ(Location Quotient) analysis using the annual data set from the Korea Trade Statistics Promotion Institution between 2015 to 2020.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export volume concentration (HHI (Herfindahl-Hirschman Index)) in Jeollabuk-do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past 5 years. According to results of LQ(Location Quotient) analysis, Brazil had the highest index in the case of exporting countries, and Meat, edible meat offal (HS 2) had the highest index in the case of export item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analyzing the export structure using import and export volumes and proposing a plan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aemangeum New Port.

2015 농림어업총조사 지역조사 자료를 이용한 농업공동체 현황과 지역별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of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Location Quotient (LQ) using Regional Survey Data in 2015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 이지민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83-93
    • /
    • 2020
  • Rural areas have been faced with various problems such as aging and population decline, and in these circumstances,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ies is suggested as a solution. Agricultural producer organizations are a powerful means of maintaining r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community activities by region by comparing the status of organization and activities and analyzing Location Quotient(LQ) based on the regional survey data in the 2015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38.35% of villages participated in economic organizations and 32.22% of villages were having urban-rural exchange activities. The crop clubs were actively operated in the Gyeongsangbuk province, and other economic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in Jeju, Haenam-gun, and Dangjin-si more than other regions. And the urban-rural exchange activities were found in Chungcheongnam province mainly. The results of detailed LQ analysis by organization and activity showed that specialized regions for each community or activity were differen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for regional planning 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community activation.

한국 조선산업 연구: 산업클러스터 특화분석 중심으로 (The Study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Busan, Ulsan, Koungnam as Southeast Area of Korea Analysed by the Location Quotient(LQ) Analysis Method)

  • 이상윤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99-621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 지역에 집중되어 위치한 조선 산업에서 산업클러스터의 존재여부를 도출하고 그 위상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정책추진에 있어 주요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를 활용한 특화도 분석을 통하여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지역의 산업클러스터 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이는 산업클러스터의 구체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먼저 산업클러스터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이 동남권의 입지계수의 값은 1.25보다 작은 결과가 도출되어 이 지역의 조선산업은 아직 특화되지 못했음이 밝혀졌고, 부산 울산 경남지역 각각의 경우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지역의 조선 산업이 아직 특화되지 못했음이 분석되었다. 한편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세 지역 중 어떤 곳과 조선관련 산업 중 어떤 업종이 각각 전국 대비 가장 특화될 가능성이 높은지도 밝혀졌다.

  • PDF

입지계수를 이용한 지역 농특산물 지리적표시제의 정량적 평가기준 연구 (Quantitative Evaluation on Geographical Indication of Agricultural Specialty Products using Location Quotient (LQ) Index)

  • 김솔희;서교;김유안;김찬우;정찬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2호
    • /
    • pp.75-83
    • /
    • 2019
  • Using geographical indication, a type of source identification, can effectively promote local specialty agricultural products of superior quality, by identifying the specific geographic location or origin of the produce. Agricultural products can be registered using the geographical indication by describing the product's relation to its geographical origin including the reputation and quality. However, this indication has no objective standards to qualify goods as agricultural specialty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criteria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and criteria of agricultural specialties based on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To propose this basic standard, we used the proportion of arable land to denote the major production areas and the location quotient (LQ) index to grasp the extent of the specialty of a product.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LQ values of registered agricultural products, particularly apples, pears, and garlic, are 3.26, 8.01, and 2.82,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y are more specialized than produce from other areas that have not registered for a geographical indication. Low LQ values were found in some areas with registered rice geographical indications, which are also more focused on their historical reputation as the main rice producing areas. Considering the agricultural specialty of products, the recommendation is that the producing proportion should be over 1% of the national scale and over 10% of the province scale, and the LQ value should be over 2.0. This recommendation is not a requirement, but the criteria can prove to be useful in identifying a higher range of specialized agricultural products.

해양공간의 현안진단 및 정책지원 필요성에 대한 사례연구 : 인천지역 해양특화산업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Need for Diagnosis of Current Issues and Policy Support in Marine Space: Focusing on the Specialized Marine Industry in Incheon)

  • 이정은;정민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58-116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대상지역(인천)의 특화산업에 대해 LQ지수분석을 통해 해양특화산업을 도출하고, 특화산업의 해양공간 활용현황과 용도구역 설정에 따른 현안을 진단하였다. 대상지역의 해양산업에 대한 LQ지수(Location Quotients, LQ) 분석을 통해 사업체수 기준 LQ지수 1.08, 종사자수 기준 LQ지수 1.67로 전국평균 대비 높은 해양바이오산업을 인천지역 해양특화산업으로 선정하였다. 해양특화산업인 해양바이오산업의 현안진단을 위해 영흥도 실증 배양장 사례 검토 및 가장 낮은 특화도를 나타낸 해양에너지개발 부문에서의 현안 진단을 통해 해양용도구역의 중첩문제, 이해관계자간 민원발생 이슈 등 현장문제 해결을 위해서 객관적이고 정량적 근거를 기반으로 정책의사결정지원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LQ분석과 GAP분석을 통한 부산 문화콘텐츠 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and competitiveness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in Busan region using LQ and GAP analysis)

  • 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84-990
    • /
    • 2017
  • 국내 문화 콘텐츠 산업은 2000년대부터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정부는 차세대 국내 성장 산업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을 지정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법규를 만드는 등 예산의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으며, 각 지자체에서도 문화콘텐츠산업의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 콘텐츠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을 분석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Q분석과 GAP분석을 토대로 권역별 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수준과 역량분석을 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의 고 부가가치 문화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검토하고 문화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 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는 부산과 다른 지역의 경쟁력을 비교하고 부산시의 경제적 기여도를 보여줄 것이다.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충청지역 산업분석 (Industry Analysis of Chungchong area Using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 임응순;정군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61-1368
    • /
    • 2009
  • 본 연구는 충청지역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산업선정과 투자우선순위 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RAS기법을 이용하여 2005년 전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2006년 전국산업연관표를 작성한 후에, 입지계수법을 이용하여 2006년 충청지역산업연관표를 작성하여, 충청지역의 각종 파급효과들을 분석하였다.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결과는 제조업부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취업유발효과의 경우 음식점 및 숙박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감응도계수는 광업, 영향력계수는 제조업부문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기대빈도를 활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의 제안 (A Study of Developing a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Using Expected Frequence)

  • 남기성;오민홍;홍현균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581-588
    • /
    • 2008
  • 본 연구는 기존의 순위만 고려하는 집중도를 보완하여 기대빈도를 이용한 새로운 상대집중지수 NOHI(Nam-Oh-Hong Index)를 제안하고, 이를 지역별 직업별 종사자 수에 적용함으로써 지역별 특화 직종 분포에 활용하는데 있다. 지역 간 특화정도를 보여주기 위해 개발된 입지계수(LQ)의 경우, 해당산업의 지역 내 비중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지 못함에 따라 지역 내 특성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산업 및 직종의 지역간 지역내 특화도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OHI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서울은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은 기계 재료관련직의 특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친환경농업의 공간적 확산 양상과 그 지리적 함의 (Spatial Diffusion Patterns of the Organic Farms in Korea a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현기순;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7-39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업공간에 나타나는 변화의 공간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특히 세계화에 따라 가속되는 농산물 시장개방과 함께 안전한 먹거리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부상하고 있는 친환경농업의 공간적 확산 양상과 그 지리적 특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농가와 친환경 농가의 공간적 분포 양상에 나타나는 변화를 분석하고, 특히 친환경농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와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의 경우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업의 주요 집적지가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분포하여 매우 불균등하게 나타났으나 2005년에는 전라권과 경상권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특정지역의 공간집중이 비교적 완화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친환경농가 분포에 작용하는 지리적 변수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2005년 현재 친환경농업 분포는 농가 경영자의 연령, 농업관련 사업 경영농가, 농가의 정보화, 농가 경영자 교육수준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요양병원 확충이 급성기병원 노인입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ans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on Elderly Hospitalization in Acute Care Hospitals)

  • 김동환;이태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6
    • /
    • 2009
  • The expansion of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eeting the long-term care needs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a rapidly aging society. It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efficiency of health resource use and decrease elderly health expenditures by transferring patients from acute care hospitals (ACHs) to LTCHs.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how the expansion of LTCHs had influences 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in ACHs.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as an analytic tool using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2 to 2006. The expansion of LTCHs was measured as location quotient (LQ) of LTCHs, denoting the share of LTCHs in a large city or province relative to the share of LTCHs at the national level. In addition, per capita 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over 65 were included as control variabl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LQ of LTCH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f the elderly in ACHs. Seco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evident among general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while it was not among hospitals with less than 100 beds. Third, LQ of LTCHs had more influences among the elderly over 85. I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LTCHs seems to contribute to decrease in the inpatient cost of the elderly in ACHs and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