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Recommendation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Location Responsive Vehicle Digital Signage System for Visual Mobile Advertisement

  • 이병덕;양승연;신재권;김진태;이선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9-53
    • /
    • 2017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mbination of location based mobile advertisement services and dynamic digital signage markets has been developing recent days to provide consumer admired visual mobile advertisement on all kind transportation vehicles. In spite of that, the digital signage advertisement content management is still not that easy to manage the content dynamically as well operation is most time consuming to handle the contents dynamically in digital signage business. As location based services is most impactful service in shopping, the location responsive advertisement on vehicle signage will be most desirable mobile advertisement to help people migrate from one place to another place for travel or stay. This paper propose a mobile location responsive digital signage system for vehicles using the GPS and wireless infrastructure integrated with digital signage system. This proposed research use the centralized digital signage system architecture for the mobile advertisement application and this system can be expanded to different vehicles for digital advertisement including buses, trucks, train, air vehicle and any other form of mobile advertising vehicles. Also, this present an effectiv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by which the advertisement can be selected broadcasted for the right advertisement ventures more effectively as the service requested from advertiser. This paper present the emulated experimental result to evidence the proposed dynamic vehicle signage system performed better than compared with traditional signage random advertising. The emulated result proves that the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algorithm can effectively works out the targeted key audiences in location responsive region the algorithm evaluated.

Traffic Safety Recommendation Using Combined Accident and Speeding Data

  • Onuean, Athita;Lee, Daesung;Jung, Han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1호
    • /
    • pp.49-54
    • /
    • 2020
  • Speed enforcement is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n traffic safety. The increasing number of accidents and fatalities has led governments to respond by implementing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example,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a speed camera system for maintaining road safety. However, many drivers still engage in speeding behavior in blackspot areas where speed cameras are not provided.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ology to analyze the combined accident and speeding data to offer recommendations to maintain traffic safety. We investigate three factors: "section," "existing speed camera location," and "over speeding data." To interpret the results, we used the QGIS tool for visuali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cidents. Finally, we provide four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three aforementioned factors: "investigate with experts," "no action," "install fixed speed cameras," and "deploy mobile speed cameras."

소셜 라이프 로그를 이용한 개인화된 여행 경로 추천 (Personalized Travel Path Recommendations with Social Life Log)

  • ;임종태;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3-454
    • /
    • 2017
  • The travellers using social media leave their location history in the form of trajectories. These trajectories can be bridged for acquiring information, required for future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travelers, who are new to that location, providing all sort of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sonalized travel path recommendation scheme based on social life log. By taking advantage of two kinds of social media such as travelogue and community contributed photos, the proposed scheme can not only be personalized to user's travel interest but also be able to recommend a travel path rather than individual Points of Interest (POIs). It also maps both user's and routes' textual descriptions to the topical package space to get user topical package model and route topical package model (i.e., topical interest, cost, time and season).

  • PDF

Intention-Oriented Itinerary Recommendation Through Bridging Physical Trajectories and Online Social Networks

  • Meng, Xiangxu;Lin, Xinye;Wang, Xiaodong;Zhou, Xingm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12호
    • /
    • pp.3197-3218
    • /
    • 2012
  • Compared with traditional itinerary planning, intention-oriented itinerary recommendations can provide more flexible activity planning without requiring the user's predetermined destinations and is especially helpful for those in unfamiliar environments. The rank and classification of points of interest (POI) from location-based social networks (LBSN) are used to indicate different user intentions. The mining of vehicles' physical trajectories can provide exact civil traffic information for path planning. This paper proposes a POI category-based itinerary recommendation framework combining physical trajectories with LBSN. Specifically, a Voronoi graph-based GPS trajectory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build traffic information networks, and an ant colony algorithm for multi-object optimization is implemented to locate the most appropriate itineraries. We conduct experiments on datasets from the Foursquare and GeoLife projects. A test of users' satisfaction with the recommended items is also performed. Our results show that the satisfaction level reaches an average of 80%.

소셜 미디어 상에서 개인화된 여행 경로 추천 기법 (Personalized Travel Path Recommendation Scheme on Social Media)

  • ;임종태;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84-295
    • /
    • 2019
  •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여행과 커뮤니티에서 기고한 사진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 (태그, 지리적 위치 및 찍은 날짜)에 기반한 개인화 된 여행 경로 추천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사용자는 소설 미디어를 사용하고 자신의 위치 기록을 여행 경로의 형태로 기록한다. 이러한 여행 경로 정보는 미래의 여행자들에게 새로운 추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 로그를 기반으로 한 개인화 된 여행 경로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여행자 및 지역 사회가 제공한 라이프 로그 및 사진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 관심 장소가 아닌 대중적인 여행 경로도 추천 할 수 있다 (POI). 제안하는 개인화된 여행 경로 추천 기법은 POI 가지치기 단계와 여행 경로 생성 단계로 구성된다. POI 가지치기 단계에서는 POI 전체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에게 추천할 경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POI만을 남기고 가치기를 수행한다. 여행 경로 생성 단계에서는 POI 가지치기 단계를 통해 도출된 POI 사용자 관심도, 비용, 시간, 이벤트 등을 고려하여 후보 경로를 생성한다.

LBSNS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 (Locati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LBSNS)

  • 정구임;안병익;김정준;한기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277-287
    • /
    • 2014
  •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은 체크인 데이터를 이용해 장소를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체크인 데이터는 POI명, 카테고리, 장소 좌표/주소, 사용자 닉네임, 장소 평가 점수, 관련 글/사진/동영상 등으로 구성된다.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이러한 체크인 데이터를 상황에 맞게 분석하면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체크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LBSNS(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LBSNS 기반 장소 추천 시스템은 체크인 데이터 중 장소 카테고리를 분석하여 가중치를 추출하고,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해 사용자간의 유사도를 구한다. 그리고 협업적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천 장소에 대한 선호도 점수를 구하고, 추천 대상 장소의 위치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해 유클라디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거리 점수를 구한다. 마지막으로, 선호도 점수와 거리 점수에 대해 가중치 계수를 적용하여 상황에 맞게 장소를 추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제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스템의 우수성도 입증하였다.

상황기반과 협업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 영화 추천 시스템 (Personalized Movi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Context-Aware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 김민정;박두순;홍민;이화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289-296
    • /
    • 2015
  • 정보의 폭발적인 증가로 사용자들은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에 얻는 것이 힘들어졌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새로운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개인에게 맞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개인화 추천 시스템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추천 시스템 중 협업 필터링은 추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개인화 추천 시스템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방법이다. 협업 필터링 방법은 고객들의 프로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을 하므로 희박성 문제와 cold-start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에게 더 정확하게 추천하기 위해 협업 필터링 기법과 상황기반 기법을 함께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황기반 기법은 사용자를 둘러싼 시간, 감정, 장소 등과 같은 환경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아이템을 추천하는 방법으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기반 기법을 활용하기 위해 상황정보로 감정을 이용하며 이를 위해 개인의 주관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영화 리뷰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협업 필터링 방법보다 성능평가 결과,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사용자 상황인지 기반 지식 필터링을 이용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User Context-aware based Knowledge Filtering in Smart Environments)

  • 이동우;김웅수;염근혁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5-48
    • /
    • 2017
  • 스마트 환경에서는 센서,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 각종 장치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콘텐츠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환경에서 사용자에 대한 고려가 없거나 위치, 시간 등의 간단한 요소만을 고려하고 있어 사용자를 위한 유의미한 콘텐츠 제공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 콘텐츠가 가진 상황 정보를 인지하여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인 상황인지 기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황인지 기반 콘텐츠 추천 시스템은 스마트 환경의 컨텍스트를 추론하고 사용자와 콘텐츠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콘텐츠별 선호도를 산출하고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추천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도메인 지식을 온톨로지 모델로 구축하고, 콘텐츠 추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부산의 센텀시티를 도메인으로 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며 산출된 0.8730의 평균 절대값 오차를 이용하여 제시한 시스템의 콘텐츠 추천 성능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모바일 환경을 위한 지능형 추천 에이전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lligent Recommendation Agent for a Mobile Envionment)

  • 주복규;김만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5-62
    • /
    • 2006
  • 유비쿼터스 시대가 시작되면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지와 어떤 서비스와 이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인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지능형 멀티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움되는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프로파일 모듀르 규칙 생성 모듈, 필터링 모듈, 서비스 모듈 구조로 구성된다. 추천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지능적인 사용자의 요구 파악을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것을 응용하여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소셜 사물인터넷에서 소셜 관계를 이용한 사물 추천 기법 (Things Recommendation Method using Social Relationship in Social Internet of Things)

  • 김성림;권준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9-59
    • /
    • 2014
  • The Internet of Things(IoT) is a new promising technology made from a variety of technology. The IoT links the objects or people, then enabling anytime, anywhere connectivity for anything and not only for anyone.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changed the way people communicate. Recently, new research challenges in many areas of Internet of thing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f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ings recommendation method using social relationship in social Internet of Things. We study previous researches about social network service, IoT, and social IoT. We proposed SIoT_FW(Social IoT Friendship Weight) using static and a dynamic social friendship weight. Also, our method considers four social relationships (Ownership Object Relationship, Co-Location Object Relationship, Social Object Relationship, Parental Object Relationship). We presents a music device scenario using our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