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festival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3초

Analysis of Festival Ordinances of Gyeonggi Province: Focusing on Developing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Seongnam City

  • PARK, Hyun Jung;HAN, Seon Mi;KWON, Ki Hyun;SEO, Won Jae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9
    • /
    • 2021
  • Purpose: In Seongnam City, a number of festivals are held in various areas, led by the city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Seongnam City, which can enhance the brand value of Seongnam, a cultural city, and promote a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economic effects, is emer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stival-related ordinances of Gyeonggi-do local govern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festival support ordinances representing Seongnam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d the database of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of the Ministry of Legislation and the autonomous legal information system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ordinances related to festival support of basic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and the whole country. To do th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168 organizations (68.6%) of 245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have adopted the festival support ordinance, and there are a total of 231 ordinances. In the case of basic organizations, out of 228 basic organizations, 151 organizations, including Seongnam City, adopted the ordinance on festival support, showing an adoption rate of about 6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sic organizations that enacted representative festival related ordinances among Gyeonggi-do basic organizations, 9 out of 28 cities adopted 16 representative festival ordinances, based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supporting representative festivals. Conclusions: In the case of Seongnam City,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develop a representative festival, an ordinance to support the representative festival must be established.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the ordinance for the representative festival were discussed.

지역 축제 평가결과와 만족도 간의 관련성 분석: 2012-2014년 축제를 사례로 (An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Local Festival Evaluation and Visitor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the Local Festival Events in the period of 2012 to 2014)

  • 조창현;김진휘;백진휘;안병민;라윤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2-504
    • /
    • 2015
  • 유망 지역 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행해지는 지역 축제의 평가는 기간에 시행된 지역 축제의 성공 정도를 잘 반영하여야 한다. 전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역 축제들은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남기고 있어, 지방 재정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서는 축제 지원을 위한 평가가 잘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2~2014년 기간의 지역 축제 자료 분석을 통해 지역 축제의 실제 성공 정도가 지역 축제 평가 결과에 의해 잘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 성공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와 방문자의 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한 후, 방문자 만족도와 지역 축제 평가 결과 간 유의한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결국 축제 성공지표가 축제 평가 결과에 반영이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축제 지원을 위한 축제 평가 결과와 방문자의 전반적 만족도 간 관련의 유의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지역 축제 성공 정도의 지표인 선택속성 변수들이 축제 평가 결과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하여, 현행 지역 축제 평가의 개선과 관련 후속 연구 수행 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PDF

지역축제 매력성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지역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동래읍성역사축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ceived Attractiveness of Local Festival on the Esteem of Residents -Focusing on Dongnae Historical Festival-)

  • 김한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203-210
    • /
    • 2014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성공적 개최 및 사회문화적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축제에 대한 매력성, 축제만족도 및 지역자긍심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동래읍성역사축제를 방문한 지역주민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축제의 매력성은 지역주민의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으며, 축제만족은 지역주민들의 지역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매력성 중에서 지역축제의 신기성과 재미성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축제의 내용성, 독특성, 편의성 등이 모두 지역주민의 만족을 유인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출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지역 축제와 연계한 향토 음식 개발 방안 - 함평 "나비축제"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Associated with Regional Festival - Focused o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

  • 장정옥;윤혜경;이영미;정재홍;양미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8-435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associated with the "2008 World Insect Festival in Hampyeong" and to contribute to the efforts to market the festival as tourist attraction and increase the income of the local community. To assess the local foods and restaurants, we investigated the principal products, inclination for sightseeing and recognition of the "Butterfly festival"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local restaurant operators, employees and general tourists.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general tourists chose scener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 sightseeing tour, followed by food, lodging, and transportation. 2. The tourists enjoyed eating native local foods, and they indicated that the taste was important. 3. Regarding the cost of food, 53.6% of the respondents answer that 10 to 20 thousand won was a resonable price, and they also reported wanting to eat seafood in Hampyeong. Thus the Menu of seafood to be served at the Hampyeong festival needs to be developed first followed by that of the healthy food. This result showed that individuals prefer fish to meat and healthy food to high-calorie foods.

  • PDF

몽산포 어촌관광 축제의 경제적 효과 (Economic Effect of Mongsanpo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 강석규
    • 수산경영론집
    • /
    • 제53권3호
    • /
    • pp.17-26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the amount of expenditure per capita of visitors to the Mongsanpo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and quantitatively measure how much the festival contributes to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y through input-output model. The analysis data used 302 questionnaires, excluding missing questionnaires, surveyed on festival visitors from April 21 to May 7, 2018, during the 9th Mongsanpo port webfoot octopus and seafood festiva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average expenditure per person of festival visitors, it shows that the average one-person festival visitor consumes KRW 129,519: entertainment costs KRW 5,672 (4.4%), accommodation costs KRW 16,860 (13.0%), food costs KRW 74,791 (57.7%), transportation costs KRW 21,646 (16.7%), shopping costs KRW 6,788 (5.2%), and other costs KRW 3,762 (2.9%). Among the expenditures of festival visitors, the proportion of food expenses was the highest, and transportation costs and accommodation costs were in order. Second, based on the actual expenses spent by visitors at the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the direct economic effect of the Mongsanpo fishing village festival was estimated be approximately KRW 14.8 billion. Third, as a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impact effect of the Mongsanpo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in 2018, the amount of production induced in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ies was estimated at KRW 33.3 billion, and the amount of value-added inducement was estimated at 11.3 billion won, and employment inducement reached 272 people, which is consider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national economy.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and provides the extent to which the fishing village tourism festival using local specialized fisheries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 to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y. Thus, it is expected to serve as useful information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business feasibility required for budgeting for local fishing tourism festivals.

축제전문가의 지역축제 경쟁력 인식에 관한 융합연구 -Q 방법론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Competitiveness Perception of Festival Specialists on Local Festival -Focusing on Q Method-)

  • 김한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33-13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축제 경쟁력에 관한 축제전문가들의 인식유형을 분석하는데 있다. 최근 지역축제의 유용성과 경쟁력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계속되었다. 그러나 연구에 따라 지역축제 경쟁력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축제전문가들의 경쟁력 인식유형 분석을 위하여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Q진술문 작성을 위해 전문가 인터뷰, 선행연구와 신문보도 등 문헌조사를 활용하였으며, P샘플은 축제추진위원, 담당공무원, 문화예술단체 회원, 축제감독, 기획사대표, 관련분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Q분석결과 의미 있는 경쟁력 인식 3개 유형들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축제 경쟁력 인식들이 지역축제 성공을 위한 경쟁력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출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축제개최 지역주민의 축제효과요인 인식이 축제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보령시를 중심으로 - (Effect of Festival Impact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Level - Focus on Boryeong, Korea -)

  • 부숙진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567-588
    • /
    • 2008
  • 본 연구는 방문객 관점에서 벗어나 축제 개최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과연 지역주민들은 축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라는 연구문제 아래 충남 보령지역주민을 대상으로 2008년 머드축제기간 동안 보령시내에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및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축제개최지 지역주민의 지역축제 효과요인 인식에 있어 문화적 요인은 정(+)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제적 효과요인은 부(-)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문화적 요인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일치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경제적 효과요인에서는 일반적인 축제의 긍정적 경제파급효과와는 다른 차이점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보령시는 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도 중요하지만 더 다양하고 구체화된 지역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와 세미나 등의 기회확대를 통해 실질적으로 일반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축제개최 지역주민들이 축제에 참여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축제를 인식하는 데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축제참여 경험여부를 조절변수로 하여 참여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절효과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축제참여도는 지역축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령시는 외지 방문객뿐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축제참여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강구해야한다고 사료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축제 콘셉트 설정 연구 (A Research on Setting up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cepts to Revitalize Local Tourism in the Post-Corona era)

  • 정종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51-160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심층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적절한 축제콘셉트를 설정하고 국제 경쟁력과 관광자 만족을 위한 관광축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축제콘셉트를 설정하여 구현함으로써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와 실증적 조사 및 종합적인 메타분석 결과는 축제콘셉트 설정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콘셉트 구축, 안전 패키지형 관광축제 방역시스템 구축,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개최가 필요하다. 또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한 마을관광축제의 기획과 실행, 마을 단위 소규모 이웃과 이웃이 함께 즐기는 관광축제 콘셉트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Decisive Factors of the Local Festival : In Case of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Kim, Yon-H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903-91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factor of determination on satisfaction level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 study is analysed through research that is consisted of satisfaction factor#s items of 32 local festival visitor to study factors of determination of local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level. This research data extracted 6 factors, which are access and souvenir, food/lodging, information/service, event/pastime, and convenient facilities. In conclusion, the festival is likely to attract more tourists and make them satisfied if better content of the festival is provided. There, most of the tourists need to becoming cleared to be satisfied due to its values of culture recognition through various contents of the festival, fun factors, food/lodging factors, and various programs.

  • PDF

지방자치단체간 문화관광축제의 연계유형 평가 -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개최 관계자와 방문객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The Linkag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 A Case Study of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f Korea'-)

  • 강영애;조중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linking and coordina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o propose a plan for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se festivals.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which took place from August 10th to October 28th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for the linkage pla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 random sampling of visitors to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from 24 to 28 October, 2001. 369 samples from a total 37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effects of the festival linkage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ference of festival linkage typ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t only festival staff but also visito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linking festivals among regions. Both visitors and festival staff had a positive attitude about the effects of the linked festival. In addition, they highly rated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as a successful festival. Visitors were satisfied with the festival. Furthermore, the number of visitors was more than staff expected. The organizing committee and staff considered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as a successful festival. The successful evaluation of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was related to the successful linkage of the festival. This study originated in the increased necessity of link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Since it is a transcendental study, it is not only significant but also limited. However, in the near future, more varied case studies about the linkages of Festivals will be conducted and these will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linkage plans through positive analysis. For the effective linking of festivals among reg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finition of factors that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and determine which methods will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