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ultural Center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4초

Using Ontology to Represent Cultural Aspects of Local Products for Supporting Local Community Enterprise in Thailand

  • Plirdpring, Phakharach;Ruangrajitpakorn, Tanet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1호
    • /
    • pp.45-58
    • /
    • 2022
  • Community enterpris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developing local business. Products from local communities apply local specialties such as high-quality materials and inherited wisdom. This work aims to support merchandises from local community enterprises by bringing out their specialties related to local wisdom and intangible cultural aspects. An ontology is applied to demonstrate the inn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implicit values of the products and is used as a core for a semantic search system. Details of the products are gathered from their respective community using an interview method and are extracted to align with the developed ontological schema. The semantic search system thus is implemented with a recommendation process for online accessibility for providing the organised information. From evaluation, the developed ontology and its instances are rated highly for their consistency, conciseness, and completeness. In usage, accuracy of the query and recommendation results are evaluated at 97.38% searching accuracy and 85.03% for recommending interesting products.

지방문화원의 재정자립을 위한 법적 검토 (A Legal Review for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Cultural Centers)

  • 이홍기
    • 지역과문화
    • /
    • 제8권4호
    • /
    • pp.23-42
    • /
    • 2021
  • 이 논문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지방문화원의 수익사업과 관련된 규정을 마련하여 지방문화원의 재정적 자립을 구축하기 위한 법적 방안을 검토하였다. 지난 70여년간 지방문화원은 지역문화의 중심지였으나, 재정적으로 자립하지 못하고 보조금에 의해 존속해왔다. 외부에 의존하는 재정구조는 지방문화원 목적사업의 수행을 어렵게 하고, 지속 가능성까지 위협한다. 법적으로 지방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라 설립되는 특수법인으로서, 설립근거법령에 따라 법적 지위와 기능이 규정된다. 현행 지방문화원진흥법은 지방문화원의 목적사업 외에 수익사업을 영위할 수 있음을 규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특별법으로 설립된 특수법인들의 입법례를 검토할 때, 지방문화원진흥법도 지방문화원의 수익사업과 관련된 규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글은 구체적인 법안을 제시하는 한편, 그 외 재정자립에 필요한 논의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공동체 기억보존센터로서의 도서관 운영 및 큐레이션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Plan for Library Operation and Curation Provision as a Community Memory Preservation Center)

  • 곽우정;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3-7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의 삶의 기억 수집·보존·관리 체계 구축 지원이라는 정책 과제를 기반으로 지역별 역사·향토자료 콘텐츠 수집과 공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동체 기억보존의 중심지로서의 도서관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원 및 지역기록관 등 지역 기반 자료를 서비스하고 있는 기관의 자료 수집 및 관리, 운영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고, 도서관의 큐레이션 서비스 사례와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원에서는 축제나 문화예술 행사, 문화예술 교육사업, 지역주민의 예술 활동 사업 등과 같은 사회교육 측면에서의 외부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향토자료 조사 연구 및 발간을 비롯한 관리 업무까지 병행되어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주민에게 정보서비스는 물론 문화프로그램 제공, 정보공유 공간 제공, 취약주민에 대한 서비스 제공 등 상당히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지역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보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 이 필요하다. 기존 도서관의 경우 체계적인 자료 수집 방안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문화원 및 각종 문화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료 관리를 원활히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도서관이 자료를 구축하고, 자료 이관이 어려운 자료가 많으며, 모든 자료를 도서관으로 집중하여 구축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도서관과 지역 행정기관의 자료, 기타 유관기관, 개인의 자료를 모두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언제든지 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모으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된다.

산업 유휴공간의 문화재생을 통한 지역 변화 비교연구 - 문래동 문래예술공장, 금천구 금천예술공장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Local through Cultural Regeneration of Industrial Idle Space - Focused on Mullae-dong Mullae Art Factory, Geumcheon-gu Geumcheon Art Factory -)

  • 한민지;이희정
    • 국토계획
    • /
    • 제54권1호
    • /
    • pp.108-11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lan reflecting the place in cultural regeneration was implemented and whether it was a change of place in culture through culture analyze. Mullae-dong has changed its urban structure into a textile factory, a manufacturing industry, an ironworks+artistic complex, and the Mullae art factory has been organizing a festival that has been created by artists and residents alike in the Mullae creative village. However, prior to the creation of the Mullae art factory in the social element, self-sustaining programs of Mullae creative villages were derived, but now commercial space is mainly deri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for coexistence of ironworks, cultural space and commercial space rather than expanding into commercial space. Geumcheon-gu Geumcheon-gu Geumcheon Art Factory has become an integrated complex where various industries coexist in industrial complex. Geumcheon Art Factory also holds an artist support program every year and actively works as an international creative exchange center in Seoul. However, programs that act as a mediator are not implemented since 2014, and the Open Studio stops once a year. Therefore, Geumcheon-gu needs to expand programs that can include local programs and programs that can be combined with local cultural media.

지역 다문화 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World Geography Lessons Using Local Multi-cultural Activities and the CCAP (Cross-Cultural Awareness programme))

  • 김시구;조철기;조현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1-244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 다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이 학생들의 다문화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지역 다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은 주로 수업이 없는 주말을 이용하여 이주민 커뮤니티 탐방, 다문화 센터 봉사활동, 유네스코 협동학교 프로그램 참여, 다문화 관련 라디오 프로그램 제작 및 진행등을 통해 이루어 졌다. 그리고 CCAP를 활용한 수업은 세계지리 동남 및 남부아시아 단원을 파키스탄, 필리핀, 미얀마, 캄보디아 등의 국가 중심으로 재구성한 후 이곳 출신의 외국인을 강사로 초빙하여 오리엔테이션을 포함하여 5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지역 다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 전후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은 교실 안팎에서 외국인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들에 대한 거부감이 친밀감으로 전환되었으며 맥락화된 지역 지식을 통해 다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다문화 활동과 CCAP를 활용한 세계지리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제3세계 국가에 대해 가지고 있던 고정관념 및 편견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글로벌 시민성의 함양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세계지리를 통한 수업이 학생들로 하여금 교실 안팎의 다양한 다문화 현상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면, 탈맥락적 지역 지식을 전수하는 교과목이라는 부정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세계화와 다문화 시대에 절실하게 요구되는 맥락적 지식과 배려와 관용에 기초한 글로벌 시민성을 함양시키는데 매우 적합한 교과목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지역사회 체계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적용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Community System for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 Healthy Families Center and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강기정;박수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3호
    • /
    • pp.125-144
    • /
    • 2013
  • This aim in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case management and management in general from the case manger's perspective, as well as case mangers' abilities and networks. We also propose a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integrated family-centered community management system. Regarding the collection of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11 case managers fr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city of C. The interviews consisted of open-ended questions in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understanding of case management, case managers' abilities, case management environments, and local community networks. According to the interview analysis, a total of 16 subcategories in 9 categories and 4 domains have been identified. Due to the ambiguity regarding the concept of case management, case management was completely dependent upon individual case managers' abilities. In particular,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was found to exist in several organizations in the same region. In terms of case management environments,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observed: absence of related departments and staff, confusion regarding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limitations in sharing information among organizations, limitations in resource exploration and management, redundant support, and an uncomfor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Horizontal exchange and cooperation among organizations are essential to establish and facilitate a local community network. After all, to establish a local family-centered community case management system, the roles of a Healthy Families Center and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s parts of a family-centered transfer system should be fully emphasized in local society, and the performance of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 PDF

경북문화콘텐츠지원센터 설립계획의 평가와 정책대안 (Evaluation of the Construction Plan of Gyeongbuk Cultural Content Promotion Center)

  • 이철우;최정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6-552
    • /
    • 2008
  • 우리나라는 지역문화산업발전을 위하여 문화산업클러스터 육성정책을 비롯하여 지방 문화산업지원센터 건립, 지방 문화산업단지 조성 및 문화산업연구센터 설립 지원 사업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문화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격이 혼재되어 있고, 경북의 문화산업은 소규모 영세기업, 저부가가치의 제작업체 중심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경북 문화산업의 육성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기업지원서비스가 절실하나, 사적부문에서 문화산업에 대한 비즈니스서비스업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공적부문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북도와 안동시는 '문화콘텐츠 지원센터' 건립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문화콘텐츠지원센터'는 문화콘텐츠생산기관인지 문화산업지원기관인지 그 역할이 불분명하고 센터에 부여된 주요 기능별 도입시설이나 실행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문화콘텐츠지원센터'는 문화콘텐츠를 직접 생산하는 기관이 아니라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문화산업체에게 제공하여 문화산업을 육성하는 기관이라는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업 맞춤형 지원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시스템, 전 문화산업부문을 포괄하되, 영상,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의 특화부문을 중심으로 문화산업 관련 산업체에 대한 통합지원체제, 문화산업체의 창출 및 유치를 위한 환경 및 기업 및 관계 단체가 적극적으로 문화산업 육성계획 및 정책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온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지방테마과학관의 실태분석 및 특성화방안 고찰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Consideration of Specification Pla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 정진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9
    • /
    • 2009
  • Through 'Local Theme Science Museum' aid program that is one of emphasis promotion strategic project by 2007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raises status of scientific technique by national core ability because all people expand base that understand and support scientific technique, and forms a social atmosphere which is scientific technique is important which scientific technique can be spread widely on national life and society whole, and proceeds target that expand local science museum facilities by a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and popularization. Accordingly, to pla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utilize to an advanced base of local science culture spreading because offer a science culture experience opportunity to local inhabitants,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is doing for that establish more 100 science museums for national.public.private institution in whole country until 2012 year. Support 39 projects to 2008 from 1999 thereby, in January, 2009, 13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opened and operated. This study examined arrangement preferentially about 'Science.Technology.Cultural Project Plan' that is background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project. Since surveying science museum which is on opening and operation at the present and analyzed actual conditions and facilities and investigated specification necessity and direction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Hereafter, to seek plan for propriety of project by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 of 'Local theme science museum' is purpose of this study. Now, need set and promotion of following specification direction for right activation of proceeding 'Local theme science museum' by each area. First, differentiation of theme and justifiability of building, Second, propriety of site position, Third, maximization of synergy effect by mixing concept of 'Specialized Economic Zone for Regional Developmental Policy' and Ecomuseum's 'Theme center'.

  • PDF

지역문화시설의 지체장애인 동선계획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문화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irculation planning of the disabled in Local Cultural arts center)

  • 이수용;박동준;오세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73-81
    • /
    • 2005
  • The disabled has remarkable difficulties to participate social activities and those, that block them up from access to public facilities and the comfortable habitation so they should get help from others, are mainly made by architectural facts. Buildings without impediment which consider the disabled would be the things respon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If the disabled would be convenient to use facilities, there should be no difficulties to normal people. A first began to examine into the role of the architecture. And to establish radical standards for the disabled to use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through scrutinizing facilities to get access for the disabled and movement circulations in the cultural facilities should be the conclusion. This study which is a kind of fundamental study to construct cultural facilities without obstacles for the disabled began from consideration for the problem flow line of the disabled in cultural facilities and analyzed flow lines for them to use, access, and evacuate from those which are main facilities in the region. Though, evacuation rules in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are recommendatory in existing laws for convenience of the disabled, the congestion of the crowd coming out after performances impedes safe flows of both the disabled and crowds. Further, in case of evacuation, there would be more serious problems. Therefore, consideration of reinforcement for existing laws for convenience of the disabled is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