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olor Differenc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 색차 기반의 히스토그램 정교화에 의한 영상 검색 (Image Retrieval Using Histogram Refinement Based on Local Color Difference)

  • 김민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453-1461
    • /
    • 2015
  • Since digital images and video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internet with the spread of mobile computers and smartphones, research on image retrieval has gained tremendous momentum. Color, shape, and texture are major features used in image retrieval. Especially, color information has been widely used in image retrieval, because it is robust in translation, rotation, and a small change of camera view.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for histogram refinement based on local color difference. Firstly, the proposed method converts a RGB color image into a HSV color image. Secondly, it reduces the size of color space from 2563 to 32. It classifies pixels in the 32-color image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a central pixel and its neighbors in a 3x3 local region. Finally, it makes a color difference vector(CDV) representing three refined color histograms, then image retrieval is performed by the CDV matching.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public image databas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higher retrieval accuracy than other conventional ones. They also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earch low resolution images such as thumbnail images.

색상의 공간적인 상관관계와 국부적인 푸리에 변환에 기반한 질감 특성을 이용한 영상 검색 (Image Retrieval Using Spatial Color Correlation and Texture Characteristics Based on Local Fourier Transform)

  • 박기태;문영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1호
    • /
    • pp.10-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색상의 공간적인 상관관계와 질감 모멘트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색상의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새로운 색상 기술자를 제안하고, 또한 제안된 색상 기술자와 국부적인 푸리에 변환에 기반한 질감 특성을 결합한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색상의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표현하기 위해서 컬러 코렐로그램(color correlogram)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컬러 코렐로그램은 중심화소에 따른 이웃한 화소들의 색상 분포를 확률적으로 잘 나타내는 장점이 있지만, 색상의 구조적인 정보를 표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색상의 분포와 구조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색상 기술자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새로운 색상 기술자는 중심 화소와 이웃 화소들과의 색상 거리를 계산한 후 최소 거리의 색상과 최대 거리의 색상을 추출한 후 최소-최대 색상 쌍이 이루는 각에 대한 각각의 빈도수를 계산한다. 그런 다음, 각각의 이루는 각에 대해서 최소 거리 색상에 대한 최대 거리 색상들의 평균값과 분산값으로 구성된 새로운 기술자(min-max color correlation descriptor, MMCCD)를 생성한다. 제안한 색상 기술자를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는 기존 방법들과 비교했을 경우 정확률에서 최소 5.2%에서 최대 13.21% 향상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부적인 푸리에 변환에 기반한 질감 기술자를 새로운 색상 기술자와 결합하여 특징 벡터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이면서도 새로운 색상 기술자만을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향상된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칼라의 공간적 상관관계 및 국부 질감 특성을 이용한 영상검색 (Image Retrieval Using Spacial Color Correlation and Local Texture Characteristics)

  • 성중기;천영덕;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5호
    • /
    • pp.103-11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칼라 특징으로 칼라 오토코렐로그램(autocorrelogram)을 선택하고 질감 특징으로 BDIP(block difference inverse probabilities)와 BVLC(block variance of local correlation coefficient)를 선택하여 이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결합한 다중 특징기반 영상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칼라 오토코렐로그램은 영상의 H(hue), S(saturation) 칼라 성분으로부터 추출 하였고, BDIP와 BVLC는 V(value) 성분으로부터 추출하였다. 이때 각 특징추출 시 계산량을 고려하여 간소화된 오토코렐로그램과 BVLC를 제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한 특징들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특징벡터성분들의 값을 그 분포에 따라 균등 또는 비균등 양자화 하여 사용하였다. Corel DB및 VisTex DB에 대한 실험 결과, 칼라 오토코렐로그램과 BDIP, BVLC 질감 특징을 결합함으로써 동일한 차원에서 오토코렐로그램만을 사용할 때보다 최대 9.5%, BDIP, BVLC만을 사용할 때보다 최대 4% 검색성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제안한 다중 특징은 웨이브렛 모멘트, CSD, 칼라 히스토그램에 비해 특징벡터의 저장공간을 약 3분의 1 정도 적게 차지하면서 검색성능이 각각 최대 12.6%, 14.6%, 27.9%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scale Local Difference Directional Number Pattern for Group-housed Pigs Recognition

  • Huang, Weijia;Zhu, Weixing;Zhang, Zhengyan;Guo, Yiz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9호
    • /
    • pp.3186-3203
    • /
    • 2021
  • In this paper, a multi-scale local difference directional number (MLDDN) pattern is proposed for pig identification. Firstly, the color images of individual pig are converted into grey images by the most significant bits (MSB) quantization, which makes the grey values have better discrimination. Then, Gabor amplitude and phase responses on different scales are obtained by convoluting the grey images with Gabor masks. Next, by calculating the main difference of local edge directions instead of traditionally edge information, the directional numbers of Gabor amplitude and phase responses are encoded. Finally, the block histograms of the encoded images are concatenated on each scale, and the maximum pooling is adopted on different scales to avoid the high feature dimension. Experimental results on two pigsties show that MLDDN impressively outperforms the other widely used local descriptors.

Color Assortment Decision Factors Considered by Women's Clothing Merchandisers in Korea & United States

  • Kang, Keang-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6호
    • /
    • pp.34-45
    • /
    • 2008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decision factors through color assortment planning process by Korean women's clothing merchandisers and to look for if there exists difference with American women's clothing merchandisers. A merchandise assortment is a collection of various quantities of styles, colors, sizes, and prices of related merchandise, usually grouped under one classification within a department. The subjects were 20 women's clothing merchandisers who work for clothing retail stores from 5 to 22 years in US and Korea. The authoring process was done for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decision factors of color assortment planning were identified with four stages; information search, qualitative evaluation, quantitative evaluation, and selection. There were differences of color assortment decision factors due to different business types, business sizes, fashion-ability, sourcing ways, and merchandise turnover. Noticeable color assortment decision factor differences caused by country difference were not found except considering the target market ethnicity and skin color in US market. Korea merchandisers seem to be more sensitive to present sales data usages and spot order availability in color assortments because of more local production use than American merchandisers.

잡음을 고려한 공간적응적 색상 보간 (Spatially Adaptive Color Demosaicing of Noisy Bayer Data)

  • 김창원;유두식;강문기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2호
    • /
    • pp.86-94
    • /
    • 2010
  • 본 논문은 잡음을 고려한 공간적응적 색상 보간 방법을 제안한다. 센서의 잡음은 색상 보간 과정에 영향을 미쳐서 결과 영상의 열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센서의 잡음이 색상 보간 방법에 고려됨으로써 고해상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과 연산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베이어 화소에서 평탄, 에지, 패턴 에지 영역으로 각각 구분한다. 영역에 따라 다른 마스크를 이용하여 국부 통계치를 계산하게 되고, 이를 이용해서 보간 오류가 최소화 되도록 G 색상을 보간한다. 잡음제거를 위해서는 수정된 Non-Local 평균 필터가 사용된나. R파 B 색상은 잡응이 제거되고 보간된 G 색상파 색차값을 이용해서 쉽게 보간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주관적 및 객관적인 변에서 모두 뛰어난 결과를 보임을 실험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Deep Learning and Color Histogram based Fire and Smoke Detection Research

  • Lee, Yeunghak;Shim, Jaech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2호
    • /
    • pp.116-125
    • /
    • 2019
  • The fire should extinguish as soon as possible because it causes economic loss and loses precious life.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atypical fire and smoke detection algorithm using deep learning and color histogram of fire and smoke. First, input frame images obtain from the ONVIF surveillance camera mounted in factory search motion candidate frame by motion detection algorithm and mean square error (MSE). Second deep learning (Faster R-CNN) is used to extract the fire and smoke candidate area of motion frame. Third, we apply a novel algorithm to detect the fire and smoke using color histogram algorithm with local area motion, similarity, and MS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ovel fire and smoke detection algorithm applied the local motion and color histogram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with the proposed algorithm showed good fire and smoke detection results with very few false positives.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에 기반한 칼라 영상 향상 (Color Image Enhancement Based on an Improved Image Formation Model)

  • 최두현;장익훈;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6호
    • /
    • pp.65-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에 기반한 칼라 영상 향상을 제안한다. 제시된 영상 생성 모델에서는 입력 영상을 전역 조명 성분과 국부 조명 성분, 그리고 반사율 성분의 곱으로 표현한다. 제안된 칼라 영상 향상에서는 RGB 입력 칼라 영상을 HSV 칼라 영상으로 변환한 다음, 백색광 조명 상태라는 가정 하에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에 근거하여 V 성분 영상만을 향상한다. 전역 조명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 유효 영역이 넓은 선형 저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추정하고, 국부 조명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서 추정된 전역 조명 성분이 제거된 영상에 유효 영역이 좁은 JND (just noticeable difference) 기반의 비선형 저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추정한다. 그리고 반사율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 추정된 전역 조명 성분과 국부 조명 성분을 나누어 추정한다. 이어서 이들 추정된 성분에 감마 수정을 각각 적용하고 그 결과들을 곱하여 출력 V 성분 영상을 얻은 다음 히스토그램 모델링을 적용하여 최종 출력 V 성분 영상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최종 출력 V 성분 영상과 입력 H 성분 영상 및 S 성분 영상으로부터 출력 RGB 칼라 영상을 얻는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NASA 홈 페이지로부터 다운받은 칼라 영상과 MPEG-7 CCD 칼라 영상으로 구축한 시험 영상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후광 효과가 거의 억제되고 색상 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전역 대비와 국부 대비를 동시에 잘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과 전역적인 색보정을 결합한 스테레오 영상에서의 색 일치 (Integrated Color Matching in Stereoscopic Image by Combining Local and Global Color Compensation)

  • 수란;하호건;김대철;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2호
    • /
    • pp.168-175
    • /
    • 2013
  • 스테레오 좌우 영상간의 색 일치는 3D 영상을 재현할 때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카메라 세팅 및 촬영 환경을 일치시켜서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더라도 여전히 색 불일치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색 불일치는 특성에 따라 전역과 지역적인 색불일치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특성을 고려하여 스테레오 영상의 색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누적 히스토그램과 3D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전역과 지역의 색 불일치를 동시에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기준이 되는 영상의 누적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한 매칭 함수를 이용하여 전역적으로 발생하는 색 불일치를 보정한다. 다음으로 대응되는 샘플 특징점 간의 CD-LUT(color difference look-up table)을 구성하고, disparity map을 통한 3D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샘플 특징점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지역적인 색 일치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전역적인 보정과 지역적인 보정된 영상을 결합함으로서 스테레오 영상에서 나타나는 색 불일치를 보정하였다. 색차가 발생한 스테레오 영상에 대해 기존 색 일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색상 유사도를(hue similarity)와 MOS(mean opinion scores)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한 결과 영상이 기존 방법을 통한 결과 영상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자기요법이 봉약침 국소 알러지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gnetic Therapy on The Allergic Reaction of Bee Venom)

  • 김현중;김민수;박영재;이은용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187-193
    • /
    • 2004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agnetic therapy decrease the allergic reaction of Bee Venom. Methods : We injected BV to sample group(n=10) and control group(n=10) at 2 points of body, and also sample group was treated with Magnetic therapy additionally. We observed the change of local pain, pruritus, color difference value at 1 hour, 24 hours after injection. Results : Local pain, pruritus and color difference value of sample group were more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 Magnetic therapy decreased allergic reaction of Bee Veno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