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Broadcasting Servic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무선랜에 의한 WiBro 간섭 영향 분석 (Analysis on the Interference Effect of WLAN on WiBro)

  • 심용섭;이일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5-100
    • /
    • 2011
  • 본 논문은 2.4 GHz 대역을 사용하는 IEEE 802.11b 기반의 무선랜 서비스가 인접대역을 사용하는 WiBro 서비스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MC(Monte Carlo)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는 무선랜 서비스가 1 번 채널의 주파수대역(2401 MHz ~ 2423 MHz)을 사용하고 WiBro(Wireless Broadband) 서비스가 주파수대역(2345 MHz ~ 2355 MHz)를 사용하는 경우로 WiBro 수신기가 무선랜의 AP(Access Point)에 근접할수록 간섭이 커진다. 이 때, 무선랜 AP와 WiBro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변화 시켰을 때, 간섭 확률 5 % 이하를 만족시키는 보호 거리를 산출하였다. 또한, 설정된 보호 거리에서 간섭 확률 5 % 이하를 만족하기 위한 요구되는 간섭 송신 파워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보호 거리는 약 60 m로 산출되었고 보호거리를 10 m로 설정하였을 때, 요구되는 무선랜의 간섭 송신 파워는 -9.5 dBm으로 분석되었다.

WTO 서비스 협상과 국내 방송규제: 정책적 대응 및 규제정비의 필요성 (Korean Broadcasting Laws under the WTO Service Negotiation)

  • 송경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2권
    • /
    • pp.77-106
    • /
    • 2003
  • 이 논문은 WTO 서비스 협상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의 방송규제 정비의 필요성을 논의한 정책 연구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세계화 추세가 진척됨에 따라, 그리고 세계 경제가 정보산업에 의지하는 비중이 커감에 따라, 미디어 정책이 WTO등 세계경제기구의 관심과 논의의 범주에 들게 되었다. 이 같은 변화는 오랫동안 방송영상산업을 문화로 규정, 국가의 정책적 개입을 인정해온 관행에 일대 변혁를 요구하는 것이어서 국제사회에서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방송정책이 문화와 정체성 유지를 위한 개별국가의 고유권한인지, 아니면 시장론자의 견해대로 자유로운 시장유통을 저해하는 무역장벽인지의 문제는 단순한 이론적인 논쟁에 그치지 않는다. 여기에는 각국의 문화적, 경제적 이익의 추구가 관여되어 있으며, 각국의 이해관계는 미국 대 프랑스, WTO 대 UNESCO를 최정점으로 하여 세계 영상산업 지적도 상의 각국의 위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입지 조건적으로 국가지원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나라와 입장을 같이 하나, 대미관계 때문에 WTO 협상 논의에서 전적으로 자유로울 수 없다. 한국의 전략적 선택을 위해 우리나라의 방송 규제의 제문제를 여타 OECD 국가의 방송규제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ddressing Concurrency Design for HealthCare Web Service Gateway in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 Nkenyereye, Lionel;Jang, Jo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3호
    • /
    • pp.32-39
    • /
    • 2016
  • With the help of a small wearable device, patients reside in an isolated village need constant monitoring which may increase access to care and decrease healthcare delivery cost. As the number of patients' requests increases in simultaneously manner, the web service gateway located in the village hall encounters limitations for performing them successfully and concurrently. The gateway based RESTful technology responsible for handling patients' requests attests an internet latency in case a large number of them submit toward the gateway incre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esign tasks of the web service gateway for handling concurrency events. In the procedure of designing tasks, concurrency is best understood by employing multiple levels of abstraction. The way that is eminently to accomplish concurrency is to build an object-oriented environment with support for messages passing between concurrent objects. We als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event-driven architecture for building web service gateway using node.js. The experiments results show that server-side JavaScript with Node.js and MongoDB as database is 40% faster than Apache Sling. With Node.js developers can build a high-performance, asynchronous, event-driven healthcare hub server to handle an increasing number of concurrent connections for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in an isolated village with no access to local medical care.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현황 및 통합 방안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Methods of the Domestic Early Warning System)

  • 황우석;표경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80-90
    • /
    • 2022
  • 현재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별로 발령 방식에 차이가 있고 중앙에서 자자체까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재난문자방송,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난경보서비스, 재난방송온라인시스템, 자동우량경보시설, 자동음성통보시설, 재해문자전광판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 예경보 시스템이 간급한 재난경보 현장에서 각각의 매체별로 재난경보 발령 방식의 차이를 두고 경보가 발령되고 있으며, 전달되는 내용 또한 통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경보를 받는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체별 경보의 내용이 상이하여 혼란을 받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통합된다면 음성·영상·데이터 등 재난정보의 공유와 통합관리를 통해 종합적으로 재난 상황의 판단 및 의사결정이 가능함으로써 상황 파악과 현장 대응에 소요되는 업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속한 정보전달과 정확한 상황 파악을 통해 재산 및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렇기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재난 예경보 시스템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재난 예경보 시스템의 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페이딩 채널에서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를 적용한 다중 사용자 MIMO OFDM 시스템의 성능 (Performance of Multi-User MIMO/OFDM System using Cyclic Delay Diversity for Fading Channels)

  • 박인환;김윤현;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63-26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802.11n WLAN 시스템에서 우수한 오류성능을 유지하고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와 블록 대각화 프리코딩 기법을 적용한 다중 사용자 MIMO OFDM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CDD : Cyclic Delay Diversity) 기법은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OFDM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또한 블록 대각화 프리코딩 기법은 다중 사용자 MIMO 채널 환경에서 만들어진 여러 거지 프리코딩 기법 중 하나로 특이값 분해를 이용하여 zero-forcing을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프리코딩을 사용하지 않는 CDD MIMO-OFDM 시스템에 비하여 높은 시스템 용량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A Study on IoT based Real-Time Plants Growth Monitoring for Smart Garden

  • Song, Mi-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130-136
    • /
    • 2020
  •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occur currently in agriculture industries. The problems such as unexpected of changing weather condition, lack of labor, dry soil were some of the reasons that may cause the growth of the plants. Condition of the weather in local area is inconsistent due to the global warming effect thu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the crops. Furthermore, the loss of farm labor to urban manufacturing jobs is also the problem in this industry. Besides, the condition for the plant like air humidity, air temperature, air quality index, and soil moisture are not being recorded automatically which is more reason for the need of implementation system to monitor the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dustry. As of this, we aim to provide a solution by developing IoT-based platform along with the irrigation for increasing crop quality and productivity in agriculture field. We aim to develop a smart garden system environment which the system is able to auto-monitoring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of surroundings, air quality and soil moisture. The system also has the capability of automating the irrigation process by analyzing the moisture of soil and the climate condition (like raining). Besides, we aim to develop user-friendly system interface to monitor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spective sensor. We adopt an open source hardware to implementation and evaluate this research.

안드로이드기반 근거리 SNS (Android based Local SNS)

  • 이충렬;안병구;안홍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93-98
    • /
    • 2010
  • 최근들어 급격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이용하는 사용자도 같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근거리 SNS 시스템을 제안 개발한다. 제안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한 특징과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 개발된 SNS 시스템은 사용자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를 주변검색을 하며, 친구추가가 되면 웹/DB로 SNS 서비스를 할 수 있게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한다. 둘째, 안드로이드 전체의 기본적인 UI를 변경하지 않는 선에서 제작을 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도 거부감이 들지 않고, 최대한 직관적이면서 사용하기 쉬운 접근 방법을 가지고 디자인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평가는 OPTIMUS-Q/ANDROID 2.1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성능평가 결과 안드로이드 기반 블루투스로 주변검색을 함으로써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접속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였다. 현재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적인 성능 향상 지원을 위해서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의 오토페어링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프록시 모바일 IPv6 네트워크에서 3S를 고려한 도메인간 이동성관리 기법 (3S: Scalable, Secure and Seamless Inter-Domain Mobility Management Scheme in Proxy Mobile IPv6 Networks)

  • 강민;정종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99-114
    • /
    • 2012
  • PMIPv6(Proxy Mobile IPv6)는 MN(Mobile Node)의 적극적인 참가를 요구하지 않는 네트워크 기반의 이동성 관리 방법으로 통신 및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그것은 낮은 핸드오버 지연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MN를 지원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PMIPv6 도메인의 구축방안은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장성과 안전성 그리고 끊김없는 PMIPv6 도메인을 구축하기 위한 3S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기법에서 모든 MAG(Mobility Access Gateway)는 LMA(Local Mobility Anchor)와 같은 역할을 하고 다른 MAG와 가상 링을 구성한다. 일관된 해싱은 각 MN과 모든 MAG의 MN의 LMA간 효율적인 분산 매핑에 사용된다. MAG와 MN은 대칭 키를 이용하여 인증한다. 수학적 분석을 통하여 3S의 안전성, 확장성 그리고 끊김없는 서비스를 검증한다. 또한 3S의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하고 이전의 기법에 비해 낮은 핸드오버 지연이 발생함을 보여 준다.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remation Rate of the Capital Area and the Increase Rate of Cremated Bodies Using the Online Cremation Reservation Service in Funeral Information System

  • Choi, Jae-sil;Kim, Jeong-l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1권3호
    • /
    • pp.87-94
    • /
    • 2019
  • In the study, we show the annual average increasing rate of death bodies in the capital area was 2.1% while the annual average increasing rate of cremated bodies was 4.5%. As the annual average increasing rate of cremated bodies was about 2.1 times higher than the annual average increasing rate of death bodies, the increase rate of cremated bodies contrast to the increase rate of death bodies was relatively high. Also, the cremation rate of the capital area was increased by 9.5% from 80.3% in 2011 to 89.8% in 2017 while the increase rate of cremated bodies was 27.2%(N=21,694 people) from 79,866 people in 2011 to 101,560 people in 2017. Thus, the increase rate of cremated bodies contrast to the increase of cremation rate of the capital area was relatively very high. On the basis of 2017, the utilization rate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by capital area was 94.5%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91.1%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20.9% in Gyeonggi-do, which showed huge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rate of public cremation facilities in the jurisdiction area of by capital area. Focusing on the actual state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it would be necessary for Seoul Metropolitan City to carry forward a supply & demand policy of cremation facilities through the extension of cremation furnaces, for Gyeonggi-do to carry forward a policy to build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focusing on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 the jurisdiction area, and for Incheon Metropolitan City to enforce the measures for the joint use of cremation facilities with the basic local government in the adjacent Gyeonggi-do jurisdiction area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cremation facilities.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요 예측 데이터 전처리 기법 및 서비스 운영 아키텍처 (Data Preprocessing Technique and Service Operation Architecture for Demand Forecasting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 홍준기;김순태;김정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8
    • /
    • 2023
  •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로 인해 친환경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30~70% 이상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어 주목받고 있는 친환경 산업이다. 전기자동차가 대중화됨에 따라 충전소는 전기자동차 구매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최근 연구에서는 지역의 충전소 수요를 파악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소 수요 예측 모델의 성능향상에 이바지하고자 인공지능 모델에 활용할 수 있는 전국 단위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전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제 충전소 수요 예측을 위한 전처리기와 인공지능 모델, 서비스 웹을 구현하고 데이터의 입지선정 요인으로의 가치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