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1초

한계상태설계법의 기초설계 적용을 위한 부분안전계수의 평가 (Assessment of Partial Safety Factors for Limit States Design of Foundations)

  • 김범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9호
    • /
    • pp.77-89
    • /
    • 2004
  • 한계상태설계법은 구조분야에서는 일반화되어 있으나 지반분야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설계법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지반구조물의 설계에도 보다 합리적 인 설계를 위하여 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려는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캐나다, 유럽의 다양한 한계상태설계 시방서들을 수집하여 각국의 시방서들에서 제시된 부분안전계수(하중계수와 저항계수)들을 조사하고, 간단한 FOSM(first order second moment) 신뢰도 해석을 통하여 설계에 이용되는 대표적인 하중들에 대한 하중계수와 기초 지지력에 대한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기초 설계시 하중계수 및 하중조합은 상부 구조물의 설계에 사용된 조건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설계의 효율화를 위해 바람직할 것이다. FOSM 해석결과, 산정된 하중계수들은 대부분 시방서의 하중계수들과 비슷한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기초 지지력에 대해 산정된 저항계수는 지반설계요소에 대한 전반적으로 높은 변동계수값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시방서보다 낮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지반의 지지력은 매우 다양한 불확실 요소들을 포함하며 해석방법마다 내재된 불확실성의 정도가 다르므로 지지력 산정방법마다 다른 저항계수값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각 방법에 포함된 개개의 불확실 요소를 포함, 전체 지지력에 대한 불확실성의 정량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Reliability analysis of tunnels with consideration of the earthquakes extreme events

  • Azadi, Mohammad;Ghasemi, S. Hooman;Mohammadi, Mohammadrez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2권5호
    • /
    • pp.433-439
    • /
    • 2020
  • Tunnel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ructions in civil engineering. The damage to these structures caused enormous costs. Therefore, the safe and economic design of these structures has long been considered. However, both applied loads on the tunnels as well as the resistance of the structural members are naturally uncertain parameters, hence, the design of these structures requires considering the probabilistic approache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load and resistant factors of lining tunnels concerning the earthquake extreme events limit state function. For this purpose, tunnels that have been designed according to the previous design codes (AASHTO Tunnel LRFD 2017) and using reliability analysis, the optimum reliability of these structures for different loading scenarios is determined. In this paper, the tunnel is considered circular. Finally, the proper load and resistance factors are calculated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target reliability. Based on the performed calibration earthquake extreme events limit state fun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recommended to AASHTO Tunnel LRFD 2017.

하중-저항계수 설계법과 허용응력 설계법에 의한 강교량 주부재의 최적화 설계 (Optimum Design of I-Type Girders in Steel Bridges by LRFD and ASD)

  • 안성욱;신영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3-190
    • /
    • 1998
  • In this study, I-type girders, main members of a steel composite bridge, are designed by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method as well as Allowable Stress Design method. The width, height web thickness and flange thickness of main girders are set as design variables. The design program connects optimization program ADS, which is coded with FORTRAN, and a main program coded with $C^{++}$.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in this particular steel composite bridge, the design by The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method is more economical than that by The Allowable Stress Design method.d.

  • PDF

아스팔트 鋪裝道路의 確率論的 表層設計 (Pobabilistic Design of Asphalt Pavement Surface Courae)

  • 김광우;연규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6-77
    • /
    • 1992
  • A prototype probabilistic approach to thickness design for asphalt pavement surface course was developed using first-order second moment probability model. The tensile strain (load effect) developing at the bottom of surface layer due to the wheel load and the critical strain (resistance) of asphalt concrete were used as random variables for pavement reliability analysis. Based on the parameters for load effect and resistance data collected from reference and field, simulated data were generated by Monte Carlo method for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pavement for a typical rural highway. Thickness of pavement surface course was defined in terms of target reliability of the pavement, growth factor of traffic, design life of pavement and resistance of the asphalt concrete to be placed on the pavement. According to these rationales, prototype thickness design chrats were sugested through example studies. From these, similar design charts can be developed for many pavements if appropriate data and target reliability are determined.

  • PDF

해상 풍력발전기 기초의 안전율에 관한 설계기준 분석 연구 (Comparison of Design Strands for Safety Factor of Offshore Wind Turbine Foundation)

  • 장화섭;김호선;이경우;김만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B호
    • /
    • pp.149-152
    • /
    • 2012
  • 본 연구는 해상풍력발전기 기초 설계에 사용되는 IEC 61400-3, DNV-OS-J101, GL Wind, EUROCODE, AASHTO 및 국내 설계기준의 설계방법 및 안전율의 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해상풍력발전기 기초 설계시 필요한 제반사항을 제공하고자 한다. 해상풍력발전기 기초 설계에 관한 국내외 설계기준을 분석한 결과 설계법은 크게 설계접근법, 하중저항 설계법, 허용응력설계법을 적용하고 있으며, 각 설계법에 따른 안전율 정도를 분석한 결과 하중저항계수 설계법과 설계접근법은 거의 유사한 수준의 안전율을 확보하고 있는 반면, 허용응력설계법에서는 다소 보수적인 안전율을 적용하고 있어 해상풍력발전기 기초의 경제적 설계를 위한 국내 설계기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Lateral buckling formula of stepped beams with length-to-height ratio factor

  • Park, Jong Sup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8권6호
    • /
    • pp.745-757
    • /
    • 2004
  • Lateral-torsional buckling moment resistances of I-shaped stepped beams with continuous lateral top-flange bracing under a single point load on the top flange and negative end moments were investigated. Stepped beam factors and a moment gradient correction factor suggested by Park et al. (2003, 2004) were used to develop new lateral buckling formula for beam designs. From the investig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FEA), new lateral buckling formula of beams with singly or doubly stepped member changes and with continuous lateral top-flange bracing subjected to a single point load on top flange and end moments were developed. The new design equation includes the length-to-height ratio factor to account for the increase of lateral-torsional buckling moment resistance as the increase of length-to-height ratio of stepped beams. The calculation examples for obtaining lateral-torsional buckling moment resistance using the new design equation indicate that engineers should easily determine the buckling capacity of the stepped beams.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저항계수 산정 (Resistance Factors for Drilled Shafts Embedded in Weathered Rock)

  • 윤홍준;정성준;김명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8호
    • /
    • pp.107-116
    • /
    • 2007
  •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은 세계적으로 지반공학적 설계의 실무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현재의 허용응력설계법(ASD)을 완전히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은 신뢰도해석(Reliability analysis)을 바탕으로 파괴확률을 정량화하여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일관된 신뢰도 수준으로 설계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저항계수는 단지 무결암 상태일 경우에 대하여 AASHTO에 의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말뚝이 근입되는 대부분의 기반암은 심하게 풍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화암(흔히 IGM)에 대한 저항계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저항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4개 현장에서 수행된 21본의 재하시험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말뚝지지력을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계수는 $0.1{\sim}0.6$의 범위 내에서 산정되었다.

교량평가법에 의한 내하력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m of Load-carrying Capacity by the rating Methods of Bridges)

  • 한상철;양승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77-492
    • /
    • 2001
  • 현재교량의 절반 가량이 성능이 저하되어 보수 보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들 교량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소요강도에 미달되는 경우가 있다. 필요이상의 보수보강비용 또는 재거설의 비용의 투입을 피하기 위하여 현재 상태의 내하력이 정확히 평가되어져야 한다. 교량의 평가방법으로 허용응력 평가법 (ASD) 하중계수평가법 (LFD) 하중저항계수평가법 (LRFD) 등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허용응력 평가법 (ASD) 하중계수평가법 (LFD) 하중저항계수평가법 (LRFD)등이 비교되고 실제 교량에 적용된 하중실험의 자료들을 모았다. 그리고 하중실험의 교량평가 결과와 이론에 의한 교량평가 결과의 차이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존재하는 교량에 ASD, LFD 그리고 LRFD 방법을 적용 비교하여 어느 수준에 해당되는지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CPT결과를 이용한 항타말뚝 지지력 평가를 위한 저항계수 산정 (Estimation of Pile Resistance Factor by CPT Based Pile Capacity)

  • 김대호;이준환;김범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113-122
    • /
    • 2005
  • 신뢰성 기반의 한계상태설계법(Limit State Design; LSD)의 지반공학적 적용은 세계적으로 확산추세이며, 북미지역의 경우 일부 시방서에 하중 및 저항에 의한 LRFD 설계법이 지반공학적 설계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되어 온 지반공학적 저항계수는 상당히 포괄적인 값이며, 이와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초기단계라 할 수 있다. 콘관입시험은 대표적인 현장시험으로 특히 말뚝 설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말뚝 지지력 산정법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콘관입시험을 이용한 항타 말뚝 지지력 평가를 위한 저항계수를 산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여러 지역에서 수행된 말뚝재하시험과 콘관입시험 결과를 수집하여 확률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저항계수 산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지지력뿐만 아니라 말뚝의 선단 및 주면 지지력 각각에 대한 저항계수 또한 도출하고자 하였다. 저항계수 산정 결과, 목표신뢰도지수 $2.0{\sim}2.5$의 범위에서 전체지지력에 대한 저항계수 $0.35{\sim}0.55$범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