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SOC Facilitie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n분 도시 계획을 위한 생활SOC 접근성 분석 - 창원시 사례 - (An Analysis of Accessibility to the Living SOC for 'n-Minute City' Plan: the Case of Changwon City)

  • 강성원;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4-29
    • /
    • 2024
  • 국내외에서 '시간도시계획'의 일환으로 n분 도시가 논의되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에서 접근성을 기반으로 n분 도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창원시를 대상으로 하되, 창원시를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총 8개 생활SOC 별로 접근성을 분석한 후, 창원시의 n분 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데이터는 100×100m 셀 단위로 인구수와 '생활SOC' 시설별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망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QGIS의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각 시설까지 접근성을 측정해 보았다. 그 결과 도시지역에서 생활SOC까지 접근시간은 평균 12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나 도시지역이라도 외곽에 위치한 곳은 약 16분 정도로 나타나 도심지와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다. 비도시지역은 생활SOC까지 평균 약 18분이 소요되어 접근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비도시지역에서는 셀에 따라 시설까지 접근시간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하지만 인구감소가 진행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한다면 n분 도시 달성을 위해 지역 특징을 고려하여 맞춤형 시설공급과 배치를 재검토해야 할 뿐 아니라, 무작정 새로운 생활SOC를 공급할 수 없으므로 토지이용을 집약화하는 컴팩트시티 등 근본적으로 도시공간을 재구조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대학기숙사 물리적 주거공간환경이 기숙사 거주학생들간 인지된 공동체의식 및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Physical Living Environ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mong Students in University Dormitory)

  • 김원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10
    • /
    • 2015
  • College students living in university dormitory continuously experience unique physical and social living conditions, being away from their hometown and loving families. Most college students has engaged in a very limited social activities in dormitory area. Studies have shown that sense of community(SOC) i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social activities. However, few research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of dormitory on students' perceived sense of community and their social interacti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und that developing social interaction and building a sense of student community improve students' overall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dormitory and personal academic growth. Survey on A university dormitory and Chi square analysis (${\chi}^2$) indicated that each group'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iving period, and persona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level of SOC at the level of p=.01. Individual analysis of SOC showed that sense of belonging was higher than shared emotional connection, which means certain level of intervention is need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validated that there exis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OC. Further it also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facilitating social interaction were comfortable, quiet, and enough social space around the dormitory.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충청지역의 농촌협약 특성에 관한 연구 - 농촌 공간구조 분석과 농촌생활권 설정, 농촌다움(시설)자원 활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Convention in Chungcheong Region - Focused on the Rural Spatial Structure Analysis, Setting of Rural Living Area and Use of Amenity Resource(Facility) -)

  • 엄성준;김상범;안필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1-4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rural living area setting and rural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the rural spatial strategy plan through case analysis. Following the decentralization of autonomy and the promotion of the transfer of state affairs to local areas, some of the general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were transferred to local areas. In addition, in 2020,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introduced a rural agreement system for 113 cities and counties. However, since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is still low,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implications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rural space and the establishment of rural living areas in three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living zon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contents reviewed i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However, the two local governments had insufficient interpretation of the axis by func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base area, or were using the upper plan as it was. Second, the source of the data used in the survey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living SOC facilities is unclear. Since the distribution status of living SOC facilities overlaps with accessibility analysis, OD data analysis, and resident survey results and is used as the basis for setting living areas, the data source should be clearly marked, and verification should be possible. Third, amenity (facility) resourc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The local government that applied the guidelines as they were was A local government, and the remaining local governments conducted surveys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Forth,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ural living area is the minimum unit supported by government policies through future rural agreement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based on quantitative standard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m. Only one case area presented clear grounds and standards, and the rest of the case areas presented standards but are based on non-quantitative standards. In order for rural agreements to be sustainable in the future and benefit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use or establish a government-level institution that can collect and produce objective dat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specify and standardize the standards for setting the living area and specify them in the guidelines.

지하철역과 연계된 시설이 역사 내부 상업공간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ilities Linked to the Subway Stations on the Rent of Commercial Spaces Inside the Stations)

  • 조영혜;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61-273
    • /
    • 2022
  • 본 연구는 역사 내·외부 연계시설이 개별 임대 매장들이 집적된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활성화 판단 요인을 매출을 대체할 수 있는 임대료로 하였다. 판매, 문화, 업무/주거, 공공기관, 교통의 연계시설 변수 외 역사의 입지 요인인 일일 승하차 인원과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가장 많은 업종수를 차지하는 상품 판매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임대료는 상품 판매업, 연계된 판매, 교통시설 그리고 승하차 인원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사 내 상업공간 활성화에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판매 상품 구성과 역사 내부로 유입인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설 연계 방향이 필요함이 도출된 것이다. 정책적인 관리 방안으로 활성화가 위축되어 공실 발생률이 높은 역사는 일상생활과 주민 편익을 위한 생활밀착형 생활 SOC 설치를 제언하였다.

3D 재해 정보 표출시스템과 현장 지원 APP간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Risk Map 정보제공 방안 (A Plan to Provide Effective Risk Map Information by Linking a 3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with an On-site Assistance Application)

  • 김도령;강수명;류동하;박주성;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1-153
    • /
    • 2016
  • 자연재해의 발생빈도 증가와 대규모화는 전 세계적 기후변화와 도심 및 인간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정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연재해에 의해서 일어나는 피해는 인적, 물적 등 시민의 안전 및 재산과 직결된다. 그뿐만 아니라, 그 피해는 SOC 시설물에도 직 간접적으로 발생한다. SOC 시설물의 경우 재난 발생에 의한 손상 시에 시민의 안전에 대한 권리 침해 등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 발생 시에 일어날 수 있는 교량, 보, 댐 등의 SOC 시설물에 대한 피해 정보를 다루고 있는 3D 재해정보 표출시스템과 현장지원 어플리케이션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Risk Map 정보 제공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속한 Risk Map 정보 제공을 동적 표현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이를 재난정보를 표출하는 시스템과 정보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확산시스템, 또한 이러한 관계 정보를 구축하고 있는 DB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모듈을 개발한다. 해당 모듈에서는 재난 정보를 가공 및 압축하여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재난 정보 압축방안을 마련하며, 향후 신속한 정보 송 수신 체계를 확보할 수 있다.

홍수재난 상황에서 GIS 기반의 고해상도 영상데이터의 압축 및 전송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mpression and Transmission Technology of GIS-based High Resolution Image Data in Flood Disaster Situation)

  • 이승현;이응준;정윤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038-1045
    • /
    • 2017
  • The increase in frequency and scale of natural disasters is the typical negative examples of th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change of the human living environment.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n particular including human and physical damage is directly linked to the safety and properties of citizens. Besides, damage occurs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OC facility, and the damaged SOC facility violates the citizens' safety rights. Therefore, a plan to provide prompt and effective risk map information by linking a 3D disaster information display system, which handles the information of the damage that may occur to SOC facilities at the time of disasters, with an on-site assistance application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prompt provision of risk map information is defined as a dynamic expression technology in this study. It also processes and compresses the system to display disaster information, a spreading system that can utilize on-site information, and a module developed to organically link with the DB system that builds information and relationships. Based on the module, the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compression plan will be prepared, and the promp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will be secured.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연구 - 국내 공공청사 내 도서관 현황과 부산지역 시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Basic Plan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ll: Focused on the Analysis of Library Current State in Government Office and Citizen's Perception in Busan)

  • 강은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11-437
    • /
    • 2020
  • 최근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고, 지자체마다 다른 시설과 한 건물에 혹은 한 대지에 함께 건립되는 복합시설로서의 공공도서관 건립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는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2020년까지 공공도서관 1,468개관을 확대함과 동시에 생활 SOC사업과 연계를 도모하고자 하는 정책의 일환이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계획 중 2025년까지 25개의 공공도서관 추가 건립계획도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도서관 복합화의 유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공공청사 내 도서관 조성 역시 공공청사와 도서관을 결합한 형태로 이러한 복합화 움직임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내 공공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 현황을 조사하여 우수사례를 제시하고,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 조성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부산시청사 내 공공도서관의 기본 방향, 조직과 인력, 장서개발, 서비스 프로그램(특성화 프로그램) 등 운영의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Bigdata 분석과 인공지능 적용한 GIS 최적화 연구 (GIS Optimization for Bigdata Analysis and AI Applying)

  • 곽은영;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1-173
    • /
    • 2022
  •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국민들의 생활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제공되는 GIS는 국민이 원하는 목적지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교통안내, 시간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토지리정보원과 지방자치단체들은 생활 SOC 접근성을 조사하여 최적지점 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작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최단거리 구성을 위하여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Dijkstra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도로망도와 출발지점, 도착점을 통해 최단거리를 계산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적의 접근성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도착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경우 약 0.1% 이상의 오류가 나타났으며, 최적지점을 위한 위치 분석을 위하여 3번 이상의 분석이 필요하였다. 다대다(M × N) 계산을 처리할 경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본 분석을 위해 32G이상의 메모리 사양이 요구되었다. 범용적인 최적 접근성 분석 서비스의 제공은 기업의 창업 및 생활 시설의 위치 선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국민 누구나 시설 및 주거지 선정 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효율적이고 편한 푸시 서비스를 국민과 정부기관에 제공한다면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 될 것이다.

  • PDF

학교안전기준 내용 및 형식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field experts' perception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 조용;이병호;한종극;박윤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2권3호
    • /
    • pp.14-29
    • /
    • 2023
  •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학교안전기준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기준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 총 26명으로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안전기준안에 대한 시도교육청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의 심층 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기준 개발의 필요성, 학교안전기준 내용의 적정성, 학교안전기준 형식의 적절성, 학교안전기준안의 현장 적용성 등 넷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기준 개발 방향 설정에 관한 내용이다. 둘째, 학교안전기준 체계 및 내용 탐구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학교안전기준 내용 초안 마련에 관한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