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stock's Temperature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5초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종.속간 잡종 및 생태형 유래 합성종간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vity and Quality between Italian Ryegrass and Synthetics Derived from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Hybrids and Ecotypes)

  • 최기준;임용우;임영철;성병렬;김맹중;김기용;박근제;김상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5-272
    • /
    • 2002
  • 축산기술연구소 사료작물 육종연구실에서는 1984년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기호성과 페스큐류의 높은 환경적응성을 결합하기 위해 Lolium X Festuca 잡종을 생산하였고, 1991년부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생태형을 수집하여 특성을 검정하고 계통화하여 왔다. 1997년부터 이들 교잡계통과 생태형 중에서 임성이 있고 내한성이 강하며 출수기가 비슷한 영양계통으로 교배조합을 작성하여 Polycross 삼각배치법으로 합성종 내한 6, 7, 8, 9호를 육성하였다. 이들 합성종들의 형태적 및 농업적 특성 그리고 수량성과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1999 년부터 2000년까지 경기 수원과 연천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Barmultra와 화산 101호 등의 기존품종들과 함께 공시하여 포장시험을 실시 하였다. 합성종들의 생육특성에서 출수기는 수원에서 5월 22~24일로 Barmulra나 화산 101호와 비슷한 만생종에 속하였다. 초장은 101~106cm, 줄기의 굵기는 중간 또는 굵었으며, 엽색은 농녹으로서 넓고 길며 풍엽성이 좋았다. 도복은 대체로 강한 편이었으며 재생은 양호하였다. 합성계통들의 내한성은 수원지역에서는 기존 의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들과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1월 또는 2월 최저평균기온이 -l0~12% 였던 경기 연천지역에서는 기존 품종들 보다 내한성이 강하였다. 합성계통들의 건물수량은 수원지역에서는 Barmultra(8,236kg/ha)와 비슷하거나 다소 적었으나 연천지역에서는 Barmultra(7,291kg/ha) 보다 7~13% 많았다. 합성계통들의 사료가치는 in vitro 소화율, ADF, NDF, TDN 함량에 있어서 화산 101호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Barmultra보다는 다소 양호하였다.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공수정 및 복제수정란의 이식시 hCG 1,5001u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는 임신유지를 위한 혈중 P4의 농도를 상승시키며 수태율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GF와 cortisol은 hCG 투여가 초기 임신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소비자들이 주로 딸기향, 바나나향, 사과향, 초코향을 선호한다고 답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지만 채식은 연령 증가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수준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 볼 때 의도적인 원예치료활동을 통해서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Pig Oocytes Inseminated with Boar Sperm by Different Sperm Washing Media after Thawing of the Frozen Straws

  • Yi, Y.J.;Ko, H.J.;Lee, S.H.;Yang, C.B.;Son, D.S.;Kim, H.K.;Park, C.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164-167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pig oocytes inseminated with the Duroc boar sperm by different sperm washing media after thawing of the 5 ml frozen straws. Immature follicular oocytes (30-40) were transferred into each well of a Nunc 4-well multidish containing $500{\mu}l$ mTCM199 maturation medium. The sperm rich portion of ejaculates was collected into a 250 ml insulated vacuum bottle and gradually cooled 22 to $24^{\circ}C$ over a 2 h period. Semen was centrifuged at 800 g for 10 min and the seminal plasma discarded. Sperm were esuspended in a lactose-egg yolk and N-acetyl-Dglucosamine (LEN) diluent to contain $1{\times}10^{9}$ sperm/ml and cooled to $5^{\circ}C$ over a 2 h period. Immediately before freezing, semen was rediluted with an equal volume of LEN+4% glycerol and packed into 5 ml straws. After thawing of the 5 ml straw, the 5 ml semen was diluted with 20 ml Beltsville thawing solution (BTS) at room temperature. Oocytes were inseminated with untreated (unwashed and nonpreincubated) or treated sperm (washed two times in BTS, mTLP-PVA and mTBM media, respectively and nonpreincubated) with $2{\times}10^{7}$ sperm concentration. Oocytes were coincubated for 6 h in $500{\mu}l$ mTBM fertilization. At 6 h after IVF, oocytes were transferred into $500{\mu}l$ NCSU-23 culture medium for further culture of 6 h. Sperm penetration, polyspermy and male pronuclear formation of oocytes at 12 h after IVF and developmental ability of oocytes at 48 h after IVF were evaluated. Sperm penetration rate, male pronuclear formation and rate of cleaved embryos were higher in the BTS, mTLP-PVA and mTBM treatments than the unwashed treatment (p<0.05). The rate of blastocysts from the cleaved oocytes (2-4 cell stage) were higher in the mTLP-PVA treatment than in the unwashed, BTS and mTBM treatments. In conclusion, we recommend the washing of frozen-thawed sperm with mTLP-PVA medium before in vitro fertilization of oocytes in mTBM medium.

Climate Change Concerns in Mongolia

  • Dagvadorj, D.;Gomboluudev, P.;Natsagdorj, 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7-54
    • /
    • 2003
  • Climate of Mongolia is a driven force on natural conditions as well as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country. Due to the precariousness of climate conditions and traditional economic structure, natural disasters, specially disasters of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origin, have substantial effect upon the natural resources and socio-economic sectors of Mongolia. Mongolia's climate is characterized by high variability of weather parameters, and high frequency and magnitude of extreme climate and weather events. During the last few decades, climate of the country is changing significantly under the global warning. The annual mean air temperature for the whole territory of the country has increased by $1.56^{\circ}C$ during the last 60 years,. The winter temperature has increased by $1.56^{\circ}C$. These changes in temperature are spatially variable: winter warming is more pronounced in the high mountains and wide valleys between the mountains, and less so in the steppe and Gobi regions. There is a slight trend of increased precipitation during the last 60 years. The average precipitation rate is increased during 1940-1998 by 6%. This trend is not seasonally consistent: while summer precipitation increased by 11 %, spring precipitation decreased by 17. The climate change studies in Mongolia show that climate chang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atural resources such as water resources, natural rangeland, land use, snow cover, permafrost as well as major economic activities of arable farming, livestock, and society (i.e. human health, living standards, etc.) of Mongolia. Therefore, in new century,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untry is defined by mitigating and adaptation policies of climate chang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ation is to contribute one's idea in the how to reflect the changes in climate system and weather extreme events in the country's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 PDF

The Effect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Chinese-Style Pork Jerky

  • Chen, W.S.;Liu, D.C.;Chen, M.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427-43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effect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Chinese-style pork jerky. The pork jerky was roasted by far-infrared grill at $150^{\circ}C$ or $200^{\circ}C$ for 5 min. The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a Likens-Nickerson apparatus coupled to a gas chromatograph and a mass spectrometer enabled us to identify 21 volatile compoun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latile compounds coming from pork jerky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in accordance with their possible origins. The first group of volatile compounds derived from oxidation of lipid included hexanal, ethylbenzene, nonanal, benzaldehyde, 2,4-decadienal, 1-octen-3-ol, octadecanal, and 9-octadecenal. The second group of volatile compounds generated from degradation of natural spices included 1,8-cinene, 4-terpineol, ${\alpha}$-terpineol, e-anethole, methyl-eugenol, panisaldehyde, elemol, eugenol, methyl-isoeugenol and myristicin.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found between 2 different roasted temperatures at levels for all volatile compounds.

청초와 볏짚을 이용한 완전배합발효사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조성분의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Ensiling Periods of Total Mixed Fermentation Feeds using Rice Straw and Green Forages)

  • 이현준;김원호;김현섭;임근발;안병석;조광근;강승하;강상기;이홍구;우정희;최윤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69-782
    • /
    • 2002
  • 호맥, 연맥 및 혼합목초의 3가지 사료작물 청예를 수확시기를 일반적인 수확적기와 7일 조기수확으로 수확시기를 달리하고 볏짚과 밀기울과 곡류로서 옥수수와 콩을 체중 550Kg, 일일산유량 15Kg인 젖소착유우의 체중유지와 우유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한 완전사료로서 배합한 후 각각 7개의 60리터 밀폐용기에 충분히 진압하여 담근 후 제조 당일과 5, 10, 25, 35, 60 및 100일에 각각 개봉하여 각각의 TMFF의 영양적 가치변화를 조사하였다. 각 TMFF의 평균 수분, 조단백질(CP), ADF, NDF, Ca 및 P 함량은 각각 72${\sim}$75%, 14.75${\sim}$18.24%, 12.47${\sim}$19.07%, 39.82${\sim}$47.01%, 0.99${\sim}$1.07% 및 0.38${\sim}$0.41%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TMFF의 초종간 비교에 있어서는 조단백질 함량은 혼합목초-TMFF가 가장 높게 나타내었으며, ADF, NDF함량에 있어서는 호맥-TMFF의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P<0.05). 수확시기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제조 후 경과일수에 따라서는 전체적으로 영양성분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 0.05). TMFF의 내부온도는 외기의 영향을 받으며 평균적으로 1${\sim}$5 정도 낮게 나타내었는데, 겨울철에 제조된 연맥-TMFF에 있어서는 제조 후 10일까지는 오히려 6${\sim}$9 정도 더 높게 나타내었다가 이후 감소하여 초기발효열로 인한 TMFF의 내부온도 상승 양상을 나타내었다(P<0.05). TMFF의 산도(pH)는 전체적으로 4.0${\sim}$4.2범위로서 초종의 차이나 수확시기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TMFF의 암모니아태질소($NH_3$-N)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7.79${\sim}$8.23mg/$d{\ell}$의 범위에서 수확시기와 제조 후 경과일수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MFF의 휘발성지방산 함량은 호맥-TMFF의 acetic acid와 butyr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내었으며 제조일수의 경과에 따라서는 lactic acid와 butyric acid 함량이 각각 증가하여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제조가 완료된 TMFF에서 채취한 볏짚들의 시험관내 건물소화율 시험결과에 있어서 무처리볏짚에 비하여 15${\sim}$20% 이상의 소화율 향상을 나타내었다(P<0.05).

Paenibacillus polymyxa JB115로부터 생산된 항균물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Paenibacillus polymyxa JB115)

  • 정희경;박승춘;박병권;김상달;남두현;홍주헌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65-69
    • /
    • 2008
  • 가축 질병의 제어를 위해 면역증강제인 베타글루칸 생성균으로 분리한 Paenibacillus polymyxa JB115의 배양액이 가축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보임에 따라, 배양액의 동결건조 분말을 대상으로 항균물질의 특성을 조사하여 다기능 가축 사료첨가제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 결과, P. polymyxa JB115에서 생산된 항균물질은 E. coli, S. aureus, S. choleraesuis 및 P. aeruginosa 등 가축 병원성 세균들에 대해 살균 또는 정균 활성을 보였으며, 항균범위도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 물질은 높은 내열성과 pH 안정성을 지녀 배양액의 제형화에도 적합하였으며, 인공 담즙산 및 인공 위액에서도 안정하여 사료첨가제로 투여시 가축의 장내 병원세균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P. polymyxa JB115의 배양액은 베타글루칸 이외에도 가축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을 지니고 있어서, 다기능 사료첨가제로 개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축분을 이용한 활성탄소 제조와 이의 악취 흡착성 분석 (Manufacture of Activated Carbon Using Livestock Manure and it's Odor Absorptiveness)

  • 최희철;송준익;권두중;곽정훈;양창범;유용희;박영태;박경섭;박동금;김용국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1-218
    • /
    • 2007
  • 본 시험은 축분을 이용한 활성탄소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축분의 처리방법을 다변화하고 제조된 활성탄소의 토양개량재, 악취흡착재 등 농업적 이용을 모색하기 위하여 악취제거시험 등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축분을 건조, 펠렛화 과정을 거친 후 $400^{\circ}C$에서 1시간 탄화처리하고 $750^{\circ}C$에서 1시간 활성화처리시 활성탄소가 제조되었다. 2. 축분의 회분 함량은 돈분퇴비가 11.9%로 낮았으나 계분퇴비 29.8%, 젖소깔짚 40.7%로 높았다. 휘발성물질은 젖소깔짚 11.6%, 계분퇴비 18.8%, 계분 31.0%, 돈분퇴비 22.3% 이었으나 육계깔짚은 49.8%로 높았다. 3. 축분활성탄소의 비표면적은 계분퇴비 259.8, 계분 209.8, 돈분퇴비 442.3, 젖소깔짚 $812.9\;m^2/g$으로 야자각 활성탄소 $1,040\;m^2/g$ 보다 낮았으며 미세기공의 크기는 육계깔짚 $5.02\;{\AA}$으로서 큰 반면 젖소깔짚은 $0.39\;{\AA}$으로 야자각 활성탄소와 비슷하였다. 4. 축분활성탄소의 요오드 흡착능력은 $530{\sim}580mg/g$으로 야자각 활성탄소의 1,000 mg/g 보다 낮았다. 5. 암모니아가스의 흡착율은 계분이나 계분퇴비로 만든 활성탄소가 가장 낮았으며 젖소깔짚 활성탄소가 가장 높았으며 계분퇴비 활성탄소는 20분 경에 흡착 포화에 도달하는 반면 젖소깔짚 활성탄소는 40분이 되어서 흡착 포화에 도달하였다. 6. 황화수소의 경우 휘발성물질이 비교적 많은 육계깔짚, 계분퇴비, 산란계분 등으로 만든 활성탄소에서 흡착율이 낮았으며 젖소깔짚 활성탄소에서 높았다.

  • PDF

생석회에 의한 발화 가능성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fire ignition by Lime(CaO))

  • 노정엽;이의평
    • 한국화재조사학회학술대회
    • /
    • 한국화재조사학회 2011년도 제21회 춘계학술대회
    • /
    • pp.102-116
    • /
    • 2011
  • 구제역 및 AI의 확산으로 전국의 많은 축산농가에 보급되어 있는 생석회(CaO)의 보관방법 잘못으로 인하여 생석회가 화재의 발화원으로 작용한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화학적으로 생석회가 물과 결합시 발열 한다. 그렇다면 이 발열량이 어떠한 환경과 조건에서 발화원으로 작용하는 것인지 실험을 통하여 알고자 하였다. 이에 인위적으로 형성한 실험조건에서 생석회와 물과의 결합시 발열여부를 확인하고, 발화에 이르는 온도변화 및 발화과정을 실험해 보았다. 그 결과 적당한 수분과 축열조건, 그리고 가연물의 존재가 전제된다면 생석회가 발화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생석회가 발화원으로 작용한 화재현장의 감식기법으로는 우선 생석회 주변에 물과 가연물질의 존재여부 확인 및 발화장소에서의 수산화칼슘($Ca(OH)_2$)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제조업체나 농협, 축산농어민 등 제품취급에 관련된 사람에 대한 안전취급 교육을 확행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cleaning method in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of digested livestock wastewater

  • Kim, Sewoon;Park, Ki Young;Cho, Jinwoo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8권2호
    • /
    • pp.113-12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cleaning methods on the initial flux recovery of fouled membrane in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A laboratory scale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treat digested livestock wastewater with 3.89 mg/L suspended solids, 874.7 mg/L COD, 543.7 mg/L nitrogen, 15.6 mg/L total phosphorus, and pH of 8.6. A hydrophobic PVDF membrane with an average pore size of $0.22{\mu}m$ and a porosity of 75 % was installed inside a direct contact type membrane distillation modu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feed and permeate side was maintained at $40^{\circ}C$ with the feed and permeate stream velocity of 0.18 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meate flux decreased from $22.1L{\cdot}m^{-2}{\cdot}hr^{-1}$ to $19.0L{\cdot}m^{-2}{\cdot}hr^{-1}$ after 75 hours of distillation. The fouled membrane was cleaned first by physical flushing and consecutively by chemicals with NaOCl and citric acid. After the physical cleaning the flux was recovered to 92 % as compared with the initial clean water flux of the virgin membrane. Then 94 % of the flux was recovered after cleaning by 2,000 ppm NaOCl for 90 minutes and finally 97 % of flux recovered after 3 % citric acid for 90 minutes. SEM-EDS and FT-IR analysis results presented that the foulants on the membrane surface were removed effectively after each cleaning step. The contact angl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hydrophobicity of the membrane surface was also restored gradually after each cleaning step to reach nearly the same hydrophobicity level as the virgin membrane.

발효퇴비 첨가수준이 돈분퇴비화 초기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Fermented Compost on the Early Stage Composting Process of Pig Manure)

  • 정광화;허미영;김재환;곽정훈;정만순;강희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1-280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 발효퇴비의 첨가 수준이 퇴비화 진행과정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지금까지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퇴비화 개시 2일 경과 후에 각 처리별 온도는 $67{\sim}71^{\circ}C$ 내외로 상승하였다. 발효퇴비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발쵸퇴비 5% 첨가수준의 두 개의 퇴비단에서 $71^{\circ}C$까지 상승하였으며 발효퇴비 15% 첨가수준에서 $67^{\circ}C$를 기록하여 온도 최고점이 제일 낮았다. 온도변화를 기준으로 볼 때 퇴비화 전 기간 동안 대조구의 발효속도가 타 처리구에 비해 느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암모니아 발생양태는 온도변화 패턴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즉 발효온도가 높은 시기에는 암모니아 발생농도가 높고 뒤집기 이후의 퇴비단 온도상승은 암모니아 발생정도의 증가추세를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퇴비화의 진행초기에는 pH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퇴비화진행 초기단계에서 발생하였던 암모니아 농도 증가와 연관되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퇴비화가 진행되어짐에 따라 pH는 점차 낮아져서 본 시험의 퇴비화 후기에는 PH가 각 처리구별로 다소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7~8 사이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4. 퇴비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각 처리별 퇴비단의 C/N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각 처리구별 C/N 감소정도는 퇴비화 초기에 더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각 처리구에서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5. 퇴비화에 따른 미생물 수는 퇴비와 개시 후 증가하다가 퇴비단의 온도 감소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전 처리구에서 공히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