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CT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6초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후기 출혈에서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한 치료의 장기적 임상, 영상의학적 결과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after Stent-Graft Placement for the Treatment of Late-Onset Post-Pancreaticoduodenectomy Arterial Hemorrhage)

  • 김우진;전창호;권훈;김진혁;전웅배;김석;서형일;김창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600-612
    • /
    • 2021
  • 목적 간 기능 검사와 영상 소견을 기반으로 하여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후기 출혈에서 스텐트-그라프트를 이용한 치료의 장기적 영상의학적, 임상적 경과를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후기 출혈로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을 받은 9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저자들은 시술 직후 술기적, 임상적 결과와 간 기능 검사를 검토하였다. 스텐트-그라프트의 개통성은 CT angiograph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스텐트-그라프트는 즉각적인 동맥 출혈을 멈추면서 간동맥 혈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도했던 위치에 배치되었다. 기술적 성공은 모든 9명의 환자에게서 이루어졌다. 8명의 환자는 시술 후 생존하여 퇴원하였으며 한 명의 환자는 시술 28일 후 사망하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781일이었다(범위: 28~1766일). 추적관찰 CT angiography에서 모든 환자의 스텐트-그라프트는 폐쇄되었다. 그러나 모든 환자들에서 간 경색을 시사할 만한 혈중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나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수치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스텐트-그라프트 삽입술은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생명을 위협하는 후기 출혈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이다. 간 기능과 간 말단부 동맥혈 공급은 추적관찰 CT상 스텐트-그라프트가 높은 확률로 막힘에도 불구하고 유지된다.

비장의 웨이브 패턴을 이용한 간경변의 자동 진단 (Computer-Aided Diagnosis of Liver Cirrhosis Using Wave Pattern of Spleen)

  • 성원;조준식;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763-765
    • /
    • 2004
  • 본 연구는 간경변을 보유한 환자의 복부 CT 영상을 이용하여 비장의 웨이브 패턴(wave pattern)을 관찰하였는데 정상간을 보유한 환자의 복부 CT 영상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논문은 관찰된 두 가지 원리를 바탕으로 복부 CT 영상에서 비장의 웨이브 패턴을 이용하여 간경변을 효과적으로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실험에 사용한 영상들의 경우에 꼬리엽과 우엽의 비율로써 간경변을 보유한 영상임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모두 비장의 웨이브 패턴 테스트들로써 간경변 보유 판정 결과를 얻었다. 이는 꼬리엽과 우엽의 비율 테스트를 생략하고 비장만으로 간경변 보유간을 판정해 낼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 PDF

블럽 컬러링을 이용한 CT영상에서 간 영역 자동 추출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Liver Region in CT Images Using Slob Coloring)

  • 임옥현;김진철;박성미;이배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760-762
    • /
    • 2004
  • 본 논문에서 CT영상에서 간 영역을 자동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밝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초기 관심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ATI(Automatic Threshold Intensity)기법을 사용하였다. 간 영역을 최종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블럽 컬러링 기법을 사용하였다 기존 블럽 컬러링의 연산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Recoloring table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로 간 영역 추출의 성공률 90%를 얻었다.

  • PDF

대장-직장암의 간전이에서 FDG PET과 MR의 진단 성능 (Diagnostic Accuracy of PET and MR for Detecting Liver Metastasis from Colorectal Cancer)

  • 박은경;강원준;어재선;이동수;정준기;이명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5호
    • /
    • pp.249-256
    • /
    • 2006
  • 목적: 대장-직장암에서 간전이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영상 검사 방법으로 기존에는 CT 촬영을 시행하여 왔다. 최근에는 MR 및 FDG PET을 간전이 진단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 환자에서 간전이에 대한 FDG PET의 진단적 가치를 MR과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장: 직장암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에 간전이를 진단 또는 배제하기 위하여 CT 이외에도 MR 및 F-18-FDG PET (conventional PET 및 fusion PET)을 모두 시행한 환자는 26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26명의 환자들에게서 영상화 된 35개의 병변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FDG PET과 MR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간분엽절제술 및 종양절제술을 통해 얻어진 병리소견 및 임상소견 또는 추적 영상 소견을 표준으로 하여 각각 구하였다. FDG PET과 MR은 평균 7일 간격으로 시행되었으며, 두 검사 사이에 치료적 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는 한 명도 없었다. 결과: 병리 결과, 35개의 병변 중에서 18개(51.4%)의 병변은 간전이로 판명되었으며, 나머지 17개(48.6%)는 낭종, 지방, 혈관종, 농양, 호산구성농양 등의 양성 병변으로 판명되었다. 35개의 병변 중 MR과 FDG PET의 진단이 일치한 병변은 간전이 17개(94.4%)와 양성 병변 13개(76.5%)로 전체적으로는 85.7%의 일치도를 보였다. FDG PET의 민감도는 94.4% (17/18), 특이도는 94.1% (16/17)였으며 MR의 민감도는 100% (18/18), 특이도는 82.4% (14/17)이었다. MR에서 위양성을 보였던 3개의 병변은 낭종과 호산구성농양이었고, FDG PET에서 위음성을 보였던 1개의 병변은 직경 8 mm의 작은 병변이었다. 직경 10 mm 이하인 병변들만 분석했을 때, 총 20개의 병변에 대하여 FDG PET은 민감도 85.7%(6/7), 특이도 92.3%(12/13), MR은 민감도 100%(7/7), 특이도 76.9%(10/13)를 보였다. 그 외에도 간전이 병변의 평균 maxSUV는 $6.7{\pm}3.8$로 간전이와 양성병변을 최적으로 감별할 수 있는 maxSUV의 cutoff value는 3.1 이었다. (AUC=0.897, p<0.001, 민감도 83.3%, 특이도 94.1%) 결론: FDG PET은 간전이를 진단하는데 MR과 대등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간전이에 대한 FDG PET의 음성예측도는 MR보다 높았으며, 직경 10 mm 미만의 작은 병변에 대해서도 FDG PET은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향후 대장암의 간전이 진단에 FDG PET이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위에 발생한 소세포암의 임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Small-cell Carcinomas of the Stomach)

  • 김형주;박문향;권성준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52-259
    • /
    • 2005
  • 위에 발생하는 원발성 소세포암은 매우 드물며 예후는 좋지 않아 초기에 발견되어도 60% 이상이 1년 이내에 사망한다. 본원 외과에서 수술치료를 받은 위소세포암 첫 번째 증례는 수술소견상 복막전이 소견 등으로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하여 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etoposide, cisplatin화학요법을 시행하고 6개월 뒤에 찍은 CT촬영상 복막전이, 림프절전이가 악화되어 paclitaxel, cisplatin으로 약제변경 하였으나 수술 후 14개월째 사망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내시경 조직검사상 위선암과 소세포암의 복합 소견을 보였으며 CT 촬영상 복강동맥주위 림프절종대 및 간전이 소견이 발견되었다. TS-1과 cisplatin 선행화학요법 2차 시행 후 림프절 종대는 완전관해, 원발소 및 간전이소는 부분관해 소견을 보여 위전절제술 및 확대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로 절제된 위 및 주변 림프절 35개의 조직검사상 암세포가 모두 사멸되었으며 위내 원 발병소는 심한 심유화변성 소견을 보여 수술 전 사용한 항암요법이 유의했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수술 후에도 동일 제제로 4차례 추가 투약을 하였다. 수술 후 6개월에 시행한 CT촬영상 간전이가 진행된 소견을 보여 간우엽 후부절제술을 시행하고 이후 ininotecan과 cisplatin을 이용한 항암화학요법을 5차례 시행하고 있으며 술 후 14개월째 생존 중이다. 세 번째 증례는 순수 소세포암으로 근치적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5차례에 걸쳐 TS-1, cisplatin 보조항암화학요법 시행하였고 수술 후 13개월째 재발 없이 생존 중이다.

  • PDF

FOLFIRINOX 병합요법을 통한 이차 항암화학요법으로 완전 관해를 획득한 진행성 췌장암 증례 (A Case of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Treated with FOLFIRINOX as Second-Line Chemotherapy after Gemcitabine Failure)

  • 이재민;정광현;박진명;이상협;류지곤;김용태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28-31
    • /
    • 2014
  • 췌장암은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gemcitabine을 근간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이 진행성 췌장암에 대한 표준치료이지만, 이러한 일차 항암화학요법에 반응이 없을 경우의 이차 항암화학요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정립된 것이 없는 상태이다. FOLFIRINOX 병합용법은 최근 여러 연구에서 일차 항암화학요법으로서의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고, gemcitabine 항암화학요법에 반응이 없는 진행성 췌장암에 대한 이차 항암화학요법으로도 시도되어 양호한 치료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gemcitabine을 근간으로 하는 병합요법에 대해 반응이 없는 진행성 췌장암 환자에 대한 이차 항암화학요법으로 FOLFIRINOX 병합요법을 시행하여 완전 관해를 획득한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간의 파골세포모양 거대세포 종양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Osteoclast-like Giant Cell Tumor of the Liver)

  • 박찬식;김지은;장미수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9-84
    • /
    • 1999
  • Osteoclast-like giant cell tumor of the liver is an extremely rare malignancy with poor prognosis. To our knowledge, 5 cases have been reported in English literatures, but there was no report about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ic(FNAC) features. We experienced a case of osteoclast-like giant cell tumor of the liver obtained by computed tomography(CT)-guided FNAC and needle biopsy. The cytologic findings mimicked slant cell tumor of the bone. A large hepatic mass of the left lobe with abdominal wall invasion was found by CT in a 46- year-old female complaining of epigastric pain. The FNAC showed moderately cellular smears consisting of osteoclast-like giant cells and mononuclear cells, which were individually scattered or intermingled in clusters. The osteoclast-like giant cells had abundant cytoplasms and multiple small round nuclei with fine chromatin and distinct nucleoli. The mononuclear cells had moderate amount of cytoplasm and relatively bland-looking oval nuclei with single small nucleoli. All of the cytologic features recapitulated the histologic findings of bland-looking osteoclast-like multinucleated giant cells evenly dispersed throughout the background of mononuclear cell.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showed positive reaction for CD68 and vimentin, but negative for cytokeratin in both osteoclast-like slant cells and mononuclear cells.

  • PDF

Acquired Portosystemic Shunts Secondary to Hepatic Microvascular Dysplasia in a Young Dog

  • Hwang, Taesung;An, Soyon;Kim, Ahreum;Han, Changhee;Huh, Chan;Lee, Hee Ch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8-90
    • /
    • 2020
  • A one year old spayed female Bichon Frise dog presented with gait abnormalities and seizure. Serum biochemical results showed elevated levels of alkaline phosphat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mmonia. Serum bile acid level was also increased to be over 30 μmol/L on preprandial. Urinalysis identified the presence of ammonium urate crystal.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T revealed aberrant, tortuous, and multiple small vessels connected to the caudal vena cava between left kidney and caudal vena cava. Macroscopic specific findings associated with extrahepatic congenital portosystemic shunts (PSS) or other liver diseases were not identified. Liver biopsy was performed. Histopathologic evaluation revealed hepatic lobular hypoplasia with portal arterial duplication and vascular shunts. Based on these finding, this case was diagnosed as multiple acquired PSS secondary to hepatic microvascular dysplasia (HMD) and hepatic encephalopathy. A liver biopsy is recommended to differentiate HMD from other liver diseases and to confirm HMD when a young dog has multiple acquired PSS.

췌장암 절제 후 잔여췌장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한 반복절제를 시행한 2례 - 췌장암의 반복절제 - (Two Cases of Repeated Pancreatectomy for Pancreatic Cancer Developing in the Remnant Pancreas after a Resection of Pancreatic Cancer - Repeated Pancreatectomy of Pancreatic Cancer -)

  • 김영일;우상명;이우진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43-47
    • /
    • 2013
  • 췌장암에 대한 근치적 절제술 후에 잔여 췌장에서 발생한 췌장암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상태이며, 특히 잔여췌장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하여 반복 췌장절제를 시행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췌장미부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하여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후 35개월에 잔여 췌장에서 발생한 췌장암으로 췌장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췌장두부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하여 췌장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 후 20개월 만에 잔여 췌장에 췌장암이 발생하여 췌장미부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Image Quality and Lesion Detectability of Lower-Dose Abdominopelvic CT Obtained Using Deep Learning Image Reconstruction

  • June Park;Jaeseung Shin;In Kyung Min;Heejin Bae;Yeo-Eun Kim;Yong Eun Chu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4호
    • /
    • pp.402-412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the image quality and lesion detectability of lower-dose CT (LDCT) of the abdomen and pelvis obtained using a deep learning image reconstruction (DLIR) algorithm compared with those of standard-dose CT (SDCT)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23 patie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3 ± 11 years; male:female, 70:53) who underwent contrast-enhanced abdominopelvic LDCT between May and August 2020 and had prior SDCT obtained using the same CT scanner within a year. LDCT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hybrid iterative reconstruction (h-IR) and DLIR at medium and high strengths (DLIR-M and DLIR-H), while SDCT images were reconstructed with h-IR. For quantitative image quality analysis, image noise, signal-to-noise ratio, and contrast-to-noise ratio were measured in the liver, muscle, and aorta. Among the three different LDCT reconstruction algorithms, the one showing the smallest difference in quantitative parameters from those of SDCT images was selected for qualitative image quality analysis and lesion detectability evaluation. For qualitative analysis, overall image quality, image noise, image sharpness, image texture, and lesion conspicuity were graded using a 5-point scale by two radiologists. Observer performance in focal liver lesion detec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jackknife free-respons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figures-of-merit (FOM). Results: LDCT (35.1% dose reduction compared with SDCT) images obtained using DLIR-M showed similar quantitative measures to those of SDCT with h-IR images. All qualitative parameters of LDCT with DLIR-M images but image texture were similar to or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SDCT with h-IR images. The lesion detectability on LDCT with DLIR-M imag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DCT with h-IR images (reader-averaged FOM, 0.887 vs. 0.874, respectively; p = 0.581). Conclusion: Overall image quality and detectability of focal liver lesions is preserved in contrast-enhanced abdominopelvic LDCT obtained with DLIR-M relative to those in SDCT with h-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