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hium polymer battery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9초

원자력발전소용 리튬폴리머 배터리 랙 시스템의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Li-Polymer Battery Rack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 김시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3-19
    • /
    • 2019
  •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비상 배터리 시설에 대한 안전성 강화가 요구되면서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적용한 새로운 전원 공급장치가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제안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장치가 설치되는 랙 시스템의 내진 안전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 최초로 72시간 용량 확보를 위해 개발 된 리튬폴리머 배터리 장치를 대상으로 지진 발생 시 전원장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 된 전원장치 스트링 및 랙 프레임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1) 단위 랙 시스템의 공진대역은 9 Hz로서 지진하중 전 후의 고유진동수가 변하지 않음에 따라 설계지진하중에 대한 부재 및 부재간의 연결부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전 설계기준 OBE와 SSE에서의 가속도 응답 결과 2) 스트링 제작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가 약 20%정도 보였으며, 3) OBE, SSE 조건에서의 내진시험 결과 랙 프레임 시스템은 설계지진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랙 시스템은 요구 지진력에 대한 구조적 건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원전 시설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Li/V6O13 리튬 폴리머 전지의 성능 (The Performance of Li/V6O13 Lithium Polymer Battery)

  • 김형선;조병원;윤경석;전해수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362-370
    • /
    • 1996
  • $Li/V_6O_{13}$ 전지의 성능과 poly(acrylonitrile)[PAN]계 폴리머 전해질의 전기화학적인 성질을 조사 하였다. 폴리머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는 상온에서 $2.3{\times}10^{-3}S/cm$를 보였으며 리튬 전극과의 상용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4.3V(vs. $Li^+/Li$)까지의 전기화학적인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i/V_6O_{13}$ 전지 반응은 $V_6O_{13}$ 전극과 폴리머 전해질간의 계면 저항이 지배적 이었다. $V_6O_{13}$내의 리튬 이온의 확산 계수값은 $2.7{\times}10^{-9}{\sim}4.2{\times}10^{-8}cm^2/sec$로 나타났다. $V_6O_{13}$ 활물질의 이용률은 C/8($50{\mu}A/cm^2$)에서 95%였으며 C/4($100{\mu}A/cm^2$)에서는 82%로 각각 나타났다.

  • PDF

Cycling Performance of Li4Ti5O12 Electrodes in Ionic Liquid-Based Gel Polymer Electrolytes

  • Kim, Jin-Hee;Kang, Yong-Ku;Kim, Dong-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2호
    • /
    • pp.608-612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cycling behavior of $Li_4Ti_5O_{12}$ electrode in a cross-linked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non-flammable ionic liquid consisting of 1-butyl-1-methylpyrrolidin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 imide and vinylene carbonate. The $Li_4Ti_5O_{12}$ electrodes in ionic liquid-based gel polymer electrolytes exhibited reversible cycling behavior with good capacity retention. Cycling data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alyses revealed that the optimum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necessary to ensure both acceptable initial discharge capacity and good capacity retention was about 8 wt %.

패턴전사 프린팅을 활용한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 기초소재 Li2CO3의 나노스케일 패턴화 방법 (Nanoscale Pattern Formation of Li2CO3 for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 by Pattern Transfer Printing)

  • 강영림;박태완;박은수;이정훈;왕제필;박운익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3-89
    • /
    • 2020
  • 지난 수십년간 인류에게 핵심적인 에너지 자원이었던 화석연료가 갈수록 고갈되고 있고, 산업발전에 따른 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친환경 이차전지, 수소발생 에너지 장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과 관련한 새로운 에너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리튬이온 배터리 (Lithium ion battery, LIB)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으로 인해, 대용량 배터리로 응용하기에 적합하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차세대 에너지 장치로 여겨진다. 하지만, 친환경 전기 자동차, 드론 등 증가하는 배터리 시장을 고려할 때, 수명이 다한 이유로 어느 순간부터 많은 양의 배터리 폐기물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폐전지에서 리튬 및 각종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공정개발이 요구되는 동시에,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사회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지의 재활용 전략소재 중 하나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표적 양극 소재 Li2CO3의 나노스케일 패턴 제조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Li2CO3 분말을 진공 내 가압하여 성형하고, 고온 소결을 통하여 매우 순수한 Li2CO3 박막 증착용 3인치 스퍼터 타겟을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해당 타겟을 스퍼터 장비에 장착하여, 나노 패턴전사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250 nm 선 폭을 갖는, 매우 잘 정렬된 Li2CO3 라인 패턴을 SiO2/Si 기판 위에 성공적으로 형성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패턴전사 프린팅 공정을 기반으로, 금속, 유리, 유연 고분자 기판, 그리고 굴곡진 고글의 표면에까지 Li2CO3 라인 패턴을 성공적으로 형성하였다. 해당 결과물은 향후, 배터리 소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의 박막화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특히 다양한 기판 위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 소자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ZnCl_2$ on Formation of Carbonized Phenol Resin Anode

  • Kim Han-Joo;Hong Ji-sook;Son Won-Ken;Park Soo-Gil;Oyama Noboru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5-89
    • /
    • 2000
  • Lithium ion Battery(LIB)의 음극 활물질로써 리튬을 대체하기 위한 노력으로 phenol resin을 탄화시킨 탄소재료를 사용하였다. Phenol resin을 소성하면 축합반응을 일으키면서 탄화되어 무정형 탄소가 된다. 무정형 탄소는 층간거리가 넓어 리튬의 삽입과 탈리가 용이하지만 탄소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구조적 붕괴가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공형성제로서 $ZnCl_2$를 사용하였다. $ZnCl_2$는 생성된 물질에서 3차원적 망상구조로 성장하는 개방세공을 형성하는 세공형성제로서 뿐만 아니라, 벌크 첨가제가 도핑된 느슨한 구조를 형성하는 미세세공 형성제로서 작용하였다. SEM을 통해서 구조적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XRD분석으로 층간의 거리를 알 수 있었다. CV측정을 통해 두 가지 샘플에 대한 산화와 환원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PVdF계 미세기공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icroporous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vinylidene-co-hexafluoropropylene))

  • 정강국;김종욱;안주현;김기원;안효준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83-188
    • /
    • 2004
  • 리튬 설퍼전지용 고분자 전해질을 개발하기 위해 상전이 방법으로 미세기공 P(VdF-HFP)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미세기공 고분자 전해질은 NMP추출에 사용되는 증류수와 메탄올의 혼합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고분자 필름 내부의 기공 구조 형성을 제어할 수 있었다. $80\%$ 메탄올로 제조한 미세기공 고분자 필름에 1M $LiCF_3SO_3-TEGDME/EC$의 액체 전해질을 함침시켜 제조한 고분자 전해질이 가장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냈으며 리튬 이차전지에 사용 가능한 $2\times10^{-3}S/cm$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고분자 필름의 기공도가 균일하고 저장 시간에 따른 이온전도도 감소도 적었으며, 리튬 전극과의 계면저항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리튬염에 따른 이온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LiPF_6$를 사용한 고분자 전해질이 상온에서 $3.3\times10^{-3}S/cm$로 나타났다.

LiAlH4-PVDF 전해질 복합체의 열확산 및 전기화학적 특성평가 (Evaluation of Thermal Diffusiv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AlH4-PVDF Electrolyte Composites)

  • 황준현;홍태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74-582
    • /
    • 2022
  • A lithium-ion battery exhibits high energy density but has many limitations due to safety issues. Currently, as a solution for this, research on solid state batteries is attracting attention and is actively being conducted. Among the solid electrolytes,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with high ion conductivity, but there is a limit to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relatively high price of lithium sulfide, which is a precursor material.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relatively inexpensive and light lithium hydride and conducted an experiment on it.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iAlH4, ion conductivity and thermal stability were measured, and a composites mixed with PVDF, a representative polymer electrolyte, was synthesized to confirm a change in characteristics. And metallurgical changes in the material were performed through XRD, SEM, and BET analysis, and ion conductivity and thermal stability were measured by EIS and LFA methods. As a result, Li3AlH6 having ion conductivity higher than LiAlH4 is formed by the synthesis of composite materials, and thus ion conductivity is slightly improved, but thermal stability is rapidly degraded due to structural irregularity.

고분자 물질을 gelling agent로 사용하여 합성한 $LiNi_{1-x}Co_xO_2$ (x=0.1~0.3) 분말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Li-이차전지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LiNi_{1-x}Co_xO_2$(x=0.1~0.3) by the polymer-precursor method and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권호진;박용철;조재필;김근배;임홍섭;박동곤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1998년도 한국재료학회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109-109
    • /
    • 1998
  • PDF

SPKF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배터리(LiPB)의 충전 상태(SOC) 관측 (State-of-Charge Observation of Lithium Polymer Battery using SPKF)

  • 서보환;이동춘;이교범;김장목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228-229
    • /
    • 2011
  • 본 논문은 SPKF(Sigma-point Kalman Filter)를 이용한 리튬 폴리머 배터리(LiPB)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배터리 모델은 단순화된 테브난 등가회로 모델과 Runtime 모델이 결합되어 있고, Runtime 모델의 양단 전압을 이용하여 SOC를 추정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타당성이 검증된다.

  • PDF

Application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to Polymer Lithium Ion (PLI) Bi Cell Production Electrode Preparation / Assembly / Lamination

  • Singleton Robert W.;Nelson Craig R.
    • 한국전기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화학회 1999년도 전지기술심포지움
    • /
    • pp.83-91
    • /
    • 1999
  • Technical advances i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applied technologies have been made for bi cell manufacture, and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the areas of discrete electrode / bi cell assembly, and electrode / separator lamination. Not only have improvements been noted in the reliability of the mechanical assembly and the increase in yields and decrease in costs, battery electrical performance has also been enhanced thru these assembly techniques. Evidence has been shown that the lamination techniques can influence porosity and electrolyte dispersion, and therefore electrical performance and long term reliability of the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