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riopeplatyphyll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queous Extracts of Liriopeplatyphylla and Akebiaquinata on Breast Meat Qualities of Broiler Chickens

  • Park, Jae Hong;Kang, Suk-Nam;Jin, Sang-Ke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56-462
    • /
    • 2013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riopeplatyphylla extract (LPE) and Akebiaquinata extract (AQE) on breast meat properties when used as dietary supplements of broiler chickens. First,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were carried out by HPLC. As a result, the total amount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was higher in AQE than LPE. These extracts were added at a rate of 0.2% to the broiler diets, and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in battery cages for 35 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d 35), six carcasses from each treatments were used for evaluating meat qua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color shades, pH levels, volatile basic nitroge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oking loss and drip loss of breast meat fed with 2 extracts were not differe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at d 0 and d 10 of storage. However, TBARS values of breast meat fed with either the control diet or the LPE supplementation was in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from d 0 to d 10) (p<0.05), while AQE-fed groups were not different between d 0 to d 10 of storage. In textural properties, the addition of LPE and AQE decreased shear force values at d 10 of storage (p<0.05).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breast meat were increased in AQE-fed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d 0 of storage (p<0.05). Dietary additions of AQE and LPE only increased the linoleic acid contents of chicken breast meat (p<0.05).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se extracts in broiler diets may potentially influence meat qualities including the TBARS, textural properties and linoleic acid levels in broiler chicken meats.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