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eur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Exposure to Ethyl Carbamate by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Imported in Korea

  • Hong, Kwon-Pyo;Kang, Yoon-Seok;Jung, Dong-Chae;Park, Sae-Rom;Yoon, Ji-Ho;Lee, Sung-Yong;Ko, Yong-Seok;Kim, So-Hee;Ha, Sang-Do;Park, Sang-Kyu;Bae, Do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75-980
    • /
    • 2007
  • Determination of ethyl carbamate content in imported alcoholic beverages in Korea and an exposure assessment were conducted. I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 analysis, 2.5-39, 8-263, 6.3-112, 11.3-23.5, 53-94, 8.5-38.5, 7-9.5, 21.3-31.5, 5-832.5, and $10.5-364.8\;{\mu}g/L$ of ethyl carbamate were detected in imported beers, sakes, whiskies, vodkas, Chinese liquors, cognacs, tequilas, rums, liqueurs, and wines, respectively. The exposure assessment indicated that the exposure of Korean adults to ethyl carbamate were lower than 20 ng/kg BW per day, (the virtual safe dose)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ethyl carbamate exposed through fermented food and alcoholic beverages including imported products are currently in the 'no significant risk level'. However, the present low exposure to ethyl carbamate through the imported alcoholic products was not due to the low contents of ethyl carbamate in imported products, but low consumption of the imported products. Therefore, given increasing importation of alcoholic beverages in Korea, reductions of ethyl carbamate content in imported alcoholic beverages, especially non-distilled products, should be required by regulating limits on the ethyl carbamate content in the imported alcoholic beverages.

Self-forming dynamic membrane formed on mesh filter coupled with membrane bioreactor at different sludge concentrations

  • Rezvani, Fariba;Mehrnia, Mohammad Rez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9권4호
    • /
    • pp.255-262
    • /
    • 2018
  •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process of self-forming dynamic membrane formation on mesh filter in membrane bioreactor with a two-stage method of batch (agitation) and continues (aeration) stage at different sludge concentrations. Four concentrations of activated sludge including $6{\pm}0.4$, $8{\pm}0.5$, $10{\pm}0.3$, $14{\pm}0.3g/L$ were used to demonstrate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ludge for treating municipal wastewater and reducing fouling in dynamic membrane bioreactor. The formation time and effluent turbidity were decreased in the batch stage when increasing the activated sludge concentration. The minimum values of formation time and effluent turbidity were 14 min and 43 NTU for the optimum mixed liqueur suspended solids of $8{\pm}0.5g/L$, respectively. To improve operational condition and fouling reduction in the aeration stage, critical fluxes were measured for all concentrations by flux-step method. With increasing the sludge concentration, the relevant critical fluxes reduced. The optimum subcritical flux of $30L/m^2/h$ was applied as operating flux in the second stage. The maximum COD removal efficiency of 98% was achieved by the concentration of $8{\pm}0.5g/L$. Compressibility index of self-forming dynamic membrane and transmembrane pressure trend remained somewhat constant until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8{\pm}0.5g/L$ and thereafter they increased steeply.

팥 품종별 볶음시간에 따른 팥과 팥차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 송석보;고지연;김정인;이재생;정태욱;김기영;곽도연;오인석;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7-324
    • /
    • 2013
  • 팥의 생리적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식품가공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팥차 제조과정이 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본 결과 볶음시간에 따른 팥 품종별 총 polyphenol, flavonoid 및 tannin 등의 항산화성분 함량은 대체적으로 초반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성분 함량은 16분 볶음처리한 절강성이팥이 각각 12.72 mg GAE/g sample, 3.01 mg CE/g sample 및 3.56 mg TAE/g sample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대체적으로 초반에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4분 볶음처리한 붉은이팥 추출물에서 7.81 mg TE/g sample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6분 볶은 금실팥과 절강성이팥, 14분 볶은 붉은이팥에서 21.26, 21.24 및 21.10 mg TE/g sample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탁도는 충주팥, 아라리, 칠보팥, 검구슬, 연금 팥, 금실팥 및 흰이팥은 증가하였고 절강성이팥과 붉은이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팥 품종별 볶음차 열수침출액의 총 polyphenol 함량은 12분 볶은 연금팥($26.55{\mu}g$ GAE/100 mL)이 가장 높았고 총 flavonoid 함량은 10분 볶은 흰이팥($15.10{\mu}g$ CE/100 mL), 총 tannin 함량은 10분 볶은 절강성이팥($14.60{\mu}g$ TAE/100 m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팥 볶음차 열수침출액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2분 볶은 연금팥에서 각각 488.72 및 728.25 mg TE/100 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팥을 볶아 차로 제조할 경우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볶음 팥차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anufacture)

  • 채명희;박나영;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67-1272
    • /
    • 2006
  • 매실리큐르 제조 후 생성되는 매실 부산물을 10%, 20% 농도로 식빵 제조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발효팽창력과 굽기손실율은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부피는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 10% 첨가한 반죽의 L값은 대조구와 유사하였고, 2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빵 표면의 L값은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는 감소하였다. b값은 매실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빵 내부의 색도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은 10% 첨가구의 hardness와 strength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20% 첨가구는 증가하였다. Cohesiveness와 springiness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는 매실 과육 10% 첨가구의 기호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색택, 씹힘성, 빵의 부드러운 정도(softness)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매실 과육 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에 비해 기호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도정도와 볶음시간에 따른 수수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rghum Tea according to Milling Type and Pan-fried Time)

  • 고지연;우관식;송석보;서혜인;김현영;김정인;이재생;정태욱;김기영;곽도연;오인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546-1553
    • /
    • 2012
  • 항산화성 높은 수수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기술을 개발하여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도정도가 다른 수수를 이용하여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수수차 제조과정이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도정(0%), 최소 도정(5%), 도정(20%)으로 도정 정도가 다른 수수를 1~10분간 볶음처리하여 항산화성분 및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수 볶음차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다가 7~9분 사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이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수의 도정도별로는 미도정 수수를 볶음처리한 수수차에서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이 총 폴리페놀 12.95 mg GAE/g, 플라보노이드 7.43 mg CE/g 및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19.97 및 33.11 mg TE/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최소 도정 수수 볶음차, 도정 수수 볶음차의 순이었다. 이와는 다르게 도정도별 수수 볶음차의 열수 침출물의 항산화활성은 도정 수수 볶음차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최소 도정 수수 볶음차, 미도정 수수 볶음차의 순이었으며, 이는 수수 볶음차열수 침출액의 색도 및 탁도와 같은 경향으로 도정 수수 볶음차의 경우 종피의 손상에 의해 오히려 열수에 의한 색소 및 항산화성 물질의 용출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