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검색결과 2,158건 처리시간 0.027초

반추위내 서식하는 혼합곰팡이와 박테리아에 의한 Linoleic Acid 가수소화반응과 Stearic Acid 생산에 관한 연구 (Biohydrogenation of Linoleic Acid and Stearic Acid Production by Mixed Rumen Fungi and Bacteria)

  • 남인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0-105
    • /
    • 2007
  • 홀스타인 건유우의 반추위에서 분리한 혼합 곰팡이에 첨가한 linoleic acid가 biohydrogenation 과정 중 생산되는 지방산의 농도와 종류를 측정하고, 최종 산물로 생산되는 지방산이 trans-11 vaccenic acid인지 stearic acid인지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반추위 혼합 박테리아 배양구에 linoleic acid 용액을 첨가한 결과, 배양 90분 이내에 100%의 linoleic acid가 stearic acid로 biohydrogenation되었다. 반면에 linoleic acid 용액을 반추위 혼합 곰팡이에 첨가한 결과 24시간 이내에 모든linoleic acid는 conjugated linoleic acid (cis-9, trans-11)와 trans-11 vaccenic acid로 biohydrogenation되었다. Linoleic acid가 함유된 혼합곰팡이 처리구는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stearic acid의 농도도 소량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linoleic acid가 함유되지 않은 혼합곰팡이 대조구에서도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stearic acid 농도가 처리구와 비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혼합 박테리아의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는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stearic acid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조사되어 반추위 혼합곰팡이의 stearic acid생산은 linoleic acid의 biohydrogenation과 무관하게 생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반추위 혼합 곰팡이에 의한 linoleic acid biohydrogenation의 최종 산물은 trans-11 vaccenic acid로 판단되며, 혼합 박테리아는 stearic acid로 나타났다.

반추위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산과 ITS-1 영역의 염기서열 해석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Rumen Fungus and Its Produced Conjugated Linoleic Acid)

  • 남인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1-115
    • /
    • 2007
  • 반추위에서 분리한 곰팡이(IS-13)의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산 과정을 조사하고conjugated linoleic acid를 생산하는 곰팡이를 동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IS-13 곰팡이가 함유된 배양액에 linoleic acid를 첨가한 결과 linoleic acid는 배양 12시간 이내에 conjugated linoleic acid와 trans-11 vaccenic acid로 biohydrogenation되었다. IS-13 곰팡이의 동정은 internal transcribed spacer 1 영역(ITS1)을 sequence하여 GenBank 유래의 관련 23속(종)의 반추위 곰팡이와 비교하였다. IS-13 곰팡이의 ITS1의 length는 218 bp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염기서열 분석 결과 Orpinomyces species와 98% 일치하여 반추위내 Orpinomyces species는 conjugated linoleic acid 생산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 본 균주는 Orpinomyces 속에 속하는 균으로 동정되었다.

국내 주요 조사료의 Linoleic acid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Linoleic Acid Concentration in Major Domestic Forage Species)

  • 박형수;서성;임영철;최기춘;김지혜;이기원;김종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3-268
    • /
    • 2013
  • 본 연구는 조사료 종류와 수확시기에 따른 linoleic acid 함량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목초 및 사료작물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전체 19종의 목초 및 사료작물이 조사대상 이었다. 대상작물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재배되는 8종의 화본과 목초(Perennial ryegrass, Reed canarygrass, Tall fescue, Timothy, Bromegrass, Kentucky bluegrass, Orchardgrass and Wheat grass), 6종의 두과목초(White clover, Red clover, Sweet clover, Crimson clover, Alfalfa and Hairy vetch), 그리고 5종의 월동 사료작물(Italian ryegrass, Barley, Rye, Oat and Rape)에 대하여 3번의 수확시기를 두었다(5월 8일, 5월 19일 및 5월 28일). 화본과 목초 중에서는 Reed canarygrass와 timothy가 가장 높은 linole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고 남방형 목초인 bromegrass가 가장 낮았다. 모든 초종은 5월 19일 조사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5월 28일 조사 시 가장 낮았다. 두과목초는 화본과 목초보다 linoleic acid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5월 19일 수확 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사료작물 중에서는 유채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호밀은 높은 수준이었다. 조사된 전체 조사료에서 수확시기가 진행됨에 따라 lin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육종, 품종의 선택 및 재배관리를 통하여 CLA 전구물질인 linoleic acid 함량을 변화시켜 반추가축 생산물의 조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판(市販)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하여 (제 1보)(第 1報)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the Edible Oils)

  • 이순재;이만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9-53
    • /
    • 1977
  • 시판(市販) 고가(高價)의 기름에 저렴(低廉)한 기름을 혼입(混入)시키는 일이 흔히 일어나므로 이것을 쉽게 검색(檢索)하기 위한 방편(方便)으로 각 식용유(食用油)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as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해서 조성비(組成比)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이들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보면 참기름은 myristic, palmitic, stearic, linoleic acid와 미량(微量)의 linolenic acid로, 미강유(米糠油)와 대두유(大豆油)는 myristic,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ic acid, 들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 해바라기 기름은 palmitic, stearic, oleic acid 및 linoleic acid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기름에도 linolenic acid가 극미량(極微量) 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것이 풍부한 타(他)의 기름이 혼입(混入)되었을 경우 쉽게 검출(檢出)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해수배지를 이용한 해양 미생물의 Linoleic acid 생성 특성 규명 (Characteristics of Linoleic Acid Production by Marine Fungi in Sea Water Media)

  • 김수정;박경원;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95-200
    • /
    • 2000
  • 네 종류의 질소원 yeast extract, sodium glutamate, peptone, tryptone과 각 질소원의 농도 및 포도당의 초기 농도가 해양 미생물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linoleic acid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초기 당 농도를 10 g/L로 하고 질소원으로는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 균체 단위 질량에 대해 생성된 지질의 중량 분율이 최대값 0.302 mg/g를 나타내었으며, 균체에 대한 linoleic acid 중량 분율도 8%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생성속도는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으로 peptone과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질소원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2.5 배까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초기 당 농도가 증가하면 linoleic acid의 생산성은 상승하나 당 농도 30 g/L 이상에서는 그 상승폭이 대단히 완만하였다. 초기 당 농도가 30 g/L 경우 질소원으로 peptone을 사용하였을 때는 linoleic acid의 생산량이 200 mg/L, sodium glutamate를 사용하였을 때는 130 mg/L를 나타내었다.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균체 내에 생성되는 지질의 양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소원이 sodium glutamate인 경우 농도 1 g/L까지는 지질의 함량이 뚜렷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나 농도 1.0 내지 2.0 g/L 이상에서는 질소원의 농도가 증가하면 지질의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 PDF

리놀산의 산패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Rancidity of Linoleic Acid)

  • 김우성;이송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0-364
    • /
    • 2000
  • 유지에 존재하는 linoleic acid의 전기화학적 산화/환원으로부터 속도론적 인자를 예측하고, 시간 변화에 대한 산패 정도를 조사하였다. Linoleic acid의 전기 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은 비가역적이고, 확산지배적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고, 주사속도에 따른 결과로부터 확산계수 $D_{o}$ 는 2.61$\times$$10^{-6}$이고, 속도상수 $K^{o}$ 는 9.79$\times$$10^{-11}$로 주어짐을 예측하였다. 또한 linoleic acid의 산화반응 영역과 환원반응 영역에서 작업전극의 선택도가 달라짐을 볼 수 있다. 대기중 방치시간에 따른 시험 결과 방치한 지 4일을 전후로 산화 peak가 최대값으로 주어졌다. 특정 Peak에서 일정전위 전기분해 한 후 전기분해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carbonyl group이 생성됨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의 산화 특성 I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 and Its Blend Fuel I)

  • 정충섭;동종인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84-290
    • /
    • 2007
  • 대두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과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유를 대상으로 산화 특성과 지방산메틸에스터 함량 등 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자동차용 연료로서의 품질특성을 파악하였다. 대두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은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85 wt% 이상 함유되어 있었다. 특히 활성 메틸렌기를 함유한 다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60 wt% 이상 함유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자동산화가 쉽게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화반응시 주요 반응물질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였으며, 이들의 라디칼 자동산화에 의해서 비점이 약 $500^{\circ}C$ 전 후에 있는 탄소수 36 전 후의 고분자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 합성 (Synthesis of Glucuronic Acid Conjugates of Linoleic Acid Metabolites)

  • 강동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738-743
    • /
    • 2013
  • 리놀레산과 그 대사체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고, 카복실산 작용기를 갖는 물질이다. 일반적인 카복실산 화합물들은 간에서 UGT Glucuronosyl transferase 효소에 의해서 글로쿠론산이 결합된 대사체의 형태로 발견된다. 결과적으로 리놀레산 대사체들의 잠재적인 대사체로 이 화합물들의 글루쿠론산 결합화합물들이 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리놀레산의 대사체로 알려진 두 종류의 에폭사이드 대사체와 두 종류의 다이올 대사체에 글루쿠론산의 결합 반응을 통하여 네 종류의 잠재적인 리놀레산 대사체들을 합성하였다.

Effects of C18 Fatty Acids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RBL-2H3 Cells

  • Kim, Myung Chul;Kim, Min Gyu;Jo, Young Soo;Song, Ho Sun;Eom, Tae In;Sim, Sang S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3호
    • /
    • pp.241-247
    • /
    • 2014
  •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C18 fatty acids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on mast cells, we measured the effect of C18 fatty acids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in RBL-2H3 mast cells. Stearic acid rapidly increased initial peak of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whereas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gradually increased this mobilization. In the absence of extracellular $Ca^{2+}$, stearic acid ($100{\mu}M$) did not cause any increase of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oth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increas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ut the increase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presence of extracellular $Ca^{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18 fatty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is mainly dependent on extracellular $Ca^{2+}$ influx. Verapamil dose-dependently inhibited stearic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but did not affect both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the underlying mechanism of stearic acid,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on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may differ. Linole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significantly increased histamine release. Linoleic acid (C18:2: ${\omega}$-6)-induced intracellular $Ca^{2+}$ mobilization and histamine release were more prominent than ${\alpha}$-linolenic acid (C18:3: ${\omega}$-3). These data support the view that the intake of more ${\alpha}$-linolenic acid than linoleic acid is useful in preventing inflammation.

곰팡이 유지 생산에 관한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 of Cultural Conditions on the Lipid Production by Moulds)

  • 손병효;정태명;김용균;최상욱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2-258
    • /
    • 1985
  •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 Aspergillus fumigatus, Penicillium notatum 및 Penicillium spinulosum의 곰팡이를 배양 온도 및 배양 기간을 달리하여 배양하고 이들 곰팡이가 생산한 지질량과 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곰팡이에 의해 생성된 최대 지질량은 Aspergillus niger var. macrosporus가 17.8%. Aspergillus fumigatus가 31 %. Penicillium notatum이 12.6% 그리고 Pen. spinulosum이 17.5%였다. 이들 균주가 생산한 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였으며 Asp. niger var. macrosporus와 Asp. fumigatus는 전체 배양 기간 동안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P. nota turn과 P. spinulosum은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지질의 불포화도는 Penicillium속이 Aspergillus속보다 높았다. 한편 지방산 조성은 배양온도에 따라 변화를 보였으나 대부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Aspergillus fumigatus와 Penicillium notatum에서 저온 일수록 linoleic acid와 불포화도가 높아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