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ment length densit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REA를 고려한 Lineament density map의 작성 방안 연구

  • 김규범;조민조;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97-99
    • /
    • 2003
  • Lineament density maps can be used for the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lineaments and groundwater occurrence. There are several kinds of lineament density maps including lineament length density, lineament cross-points density, and lineament counts density maps. This paper reports the usefulness of the representative elementary area (REA) concept for lineament analysis. This concept refers to the area size of the unit circle to calculate the lineament density factors distributed within the circle: length, counts and cross-points counts. The circle is a unit circle that calculates the sum of the lineament length, lineament counts and the number of cross-points within it. The REA is needed to obtain the best representative lineament density map prior to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lineaments and groundwater well yield or other groundwater characteristics. A basic lineament map for the Yongsangang-Seomjingang watershed of Korea, drawn from aerial black-and-white photographs of 1/20, 000 scale was used for demonstrating the concept. From this study,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REA concept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lineament density analysis and mapping, (2) for whole Yongsangang-Seomjingang watershed which has 6, 502 lineaments with an average lineament length of 3.3 km, the lower limits of each REA used for drawing the three density maps were about 1.77 $\textrm{km}^2$ (r=750 m) for lineament length density, 7.07 $\textrm{km}^2$ (r=1, 500 m) for lineament counts density, and 4.91 $\textrm{km}^2$ (r=1, 250 m) for lineament cross-points density, respectively, (3) the lineament densitie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REA, and the REA can be calculated with this inversely linear regression model, (4) if the average lineament density values for the whole study area are known, the most accurate density maps can be drawn using the REAs obtained from each linear regression model, and (5) but critic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raw lineament counts density and lineament cross-points density maps because.

  • PDF

지질구조선과 지하수 산출성간의 상관성 평가 (Relation between lineament and well productivity)

  • 김규범;이강근;이장룡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85-89
    • /
    • 2005
  • Lineament maps are the important tools that may reveal points of groundwater recharge, flow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groundwater flows and yields in mountainous area, composed of crystalline rocks with many fractures, are governed mainly by the lineaments corresponding to fractures, joints and faults. Lineaments may giv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best distribution of wells and their management. For two districts; Pohang and Cheonan, the relationship between lineament and groundwater factors was analyzed. To compare groundwater productivity, storativity, and transmissivity of a well site along the distance to lineament, the distances to lineament was regrouped into five groups with an equal range, 100m, for the Pohang district and they are also 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an equal range, 150m, for the Cheonan district. From the results of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Analysis and Kendall Analysis for each group, the means of SPC and T of wells which are located near lineaments generally have large values. The means of SPC and T show a reverse linear relationship with a lineament distance, but the means of S shows a disperse distribution and no distinct linear relation. Result of the linear regression model between SPC and lineament length density shows that it will be effective to use the lineament length density map when finding the optimal well site on a regional scale.

  • PDF

위성영상과 음영기복도를 이용한 오대산 지역 진앙의 위치와 선구조선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the Epicenter and Lineaments in the Odaesan Area using Satellite Images and Shaded Relief Maps)

  • 차성은;지광훈;조현우;김은지;이우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1-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ANDSAT 8호, KOMPSAT 2호 위성영상과 1/25,000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작성된 음영기복도를 이용하여 2007년 1월 20일 오대산 지역에서 발생한 약 4.8의 중규모 지진과 선구조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지체구조와 관련된 선구조선 분석 연구를 하였으며, 주로 2차원의 위성영상과 음영기복도를 활용하였기에 지형의 기복 등에 대한 판독이 어려워 선구조선 추출이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기반으로 작성한 3차원 입체 영상과 수계망 분석을 통해 지형의 기복, 수계의 연결성 등을 판독해 선구조선을 추출하여, 2차원 영상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판독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한 선구조선 판독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진앙에 대한 선구조선의 통계 요소별 밀도를 추정하기 위해 spline 내삽법을 이용하여 선구조선의 빈도, 교차점, 길이에 대한 밀도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진앙에서의 선구조선 밀도가 얼마나 밀집되어 있는지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각 격자 내의 선구조선 밀도에 대해 최대 선구조선 밀도로 나누는 상대밀도 값(Value of the Relative Density; VRD)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밀도도(density map)를 작성하였다. 각 영상의 진앙에서의 VRD는 최소 약 0.60에서 최대 약 0.90으로 나타났지만, 각 영상별 광원의 고도각과 방위각이 차이가 있어 영상별 VRD보다 통계 요소별 VRD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빈도의 평균 VRD는 약 0.85로 교차점과 길이의 평균 VRD보다 약 21% 높게 나타나, 선구조선의 빈도 요소가 진앙의 위치와의 관계가 가장 밀접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3차원 영상의 선구조선 추출을 통한 밀도 분석 기술은 향후 지진 발생 가능 지역 분석에 기초자료로써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음단층계의 선형구조 추출과 선형구조와 단층활동의 관련성 (Extraction of Lineam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Fault Activation in the Gaeum Fault System)

  • 오정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9-8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lineamen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Gaeum Fault System,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fault activation. The lineaments were extracted using a multi-layered analysis based on a digital elevation model (5 m resolution), aerial photos, and satellite images. First-grade lineaments inferred as an high-activity along them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isplacement of the Quaternary deposits and the distribution of fault-related landforms. The results of classifying the first-grade lineaments were verified by fieldwork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n the study area of 510 km2, a total of 222 lineaments was identified, and their total length was 333.4 km. Six grade lineaments were identified, and their total length was 11.2 km. The lineaments showed high-density distribution in the region along the Geumcheon, Gaeum, Ubo fault, and a boundary of the Hwasan cauldron consisting the Gaeum Fault System. They generally have WNW-ESE trend, which is the same direction with the strike of Gaeum Fault System.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was conducted on eight survey lines crossing the first-grade lineament. A low-resistivity zone, which is assumed to be a fault damage zone, has been identified across almost all survey lines (except for only one survey line). The visual (naked eyes) detecting of the lineament was evaluated to be less objectivity than the automatic extraction using the algorithm. However, the results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showed that first-grade lineament extracted by visual detecting was 83% reliable for inferred fault detec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objective visual detection results can be derived from multi-layered analysis based on tectonic geomorphology.

ArcView GIS의 AvenueTM Language를 활용한 수문지질도 작성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Development of Algorithms for the Construction of Hydrogeologic Thematic Maps using AvenueTM Language in ArcView GIS)

  • 김규범;손영철;김종욱;이장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7-120
    • /
    • 2005
  • 지하수 조사 및 개발에 필수적인 수문지질도 및 부속도면의 작성은 표준화와 함께, 도면 작성의 전산화가 요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지질도의 주요 도면인 stiff diagram 분포도와 우물(지하수위) 분포도 작성의 전산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과 부속도면인 지질구조선 분포도의 작성과 분석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유동 통로 또는 부존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질구조선(lineament)은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 판독을 통하여 추출한다. 지하수 조사 및 연구에 있어서 GIS를 활용한 지질구조선의 통계적 해석은 성과의 정확도를 제고할 뿐 아니라 신속한 과업수행에도 도움을 준다. 지질구조선의 분석은 지하수 조사, 개발과 관리를 위한 필수 항목으로서 지질구조선의 추출, 방향별 통계 계산, 단위면적내 지질구조선 밀도(길이밀도, 교차점밀도 등) 계산 등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ArcView GIS 3.x의 Avenue$^{TM}$ script를 활용하여 지질구조선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단위면적내의 지질구조선 밀도 통계 계산에서 격자형 단위 셀을 적용할 경우 격자의 모서리 방향에 따른 지질구조선 길이의 가중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분석결과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향별 가중을 일으키지 않는 원형 셀을 적용하여 지질구조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영암 및 강진지역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프로그램은 지질구조선뿐만 아니라 디지타이징된 선형구조에 대한 통계 및 밀도분포를 계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핫스팟 분석을 통한 거창지역의 선구조선과 진앙의 상관관계 분석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Lineaments and Epicenters using Hotspot Analysis: The Case of Geochang Region, South Korea)

  • 조현우;지광훈;차성은;김은지;이우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469-480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청에서 지진의 계기관측이 시작된 1978년부터 2016년까지, 규모 2.0~2.5사이의 소규모 지진이 6회 발생한 경상남도 거창군 일원지역을 대상으로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3차원의 LANDSAT 8호 위성영상과 음영기복도로부터 선구조선을 추출하여 선구조선과 진앙(지진발생위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선구조선의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직각격자에 의한 단절현상 문제점을 완화하고 선구조선의 공간적 분포를 정확히 표현해줄 수 있는 육각격자 모양과, 격자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밀도 값이 안정되는 지점의 격자크기를 사용하여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였다. 핫스팟 분석방법은 선구조선이 집단화되어 나타나는 지역을 통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선구조선의 각 통계요소별(빈도, 교차점, 길이)로 도출되는 Z score를 통해 선구조선 밀집지역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산된 선구조선의 밀도와 진앙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진앙에서의 Z score를 표준정규분포 상에 나타내어 선구조선의 밀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인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진앙에서 3개 종류의 통계요소로 기록된 총 18개의 Z score 중 약 83%에 달하는 15개 값이 1.65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준정규분포 상에서 95% 이상의 높은 밀도 값을 의미하여, 진앙이 선구조선 고밀도지역에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선구조선 빈도는 모든 진앙에서, 교차점은 하나의 진앙을 제외한 나머지 진앙에서 밀도 값이 표준정규분포 상 95% 이상을 나타내어, 선구조선의 빈도와 교차점 밀도가 진앙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구조선의 밀도 분포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진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는 잠재적인 지진발생 위험 지역을 추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결과를 조금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진의 발생빈도가 많고 더 광역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원격탐사와 지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충주지역의 사면안정분석 (Analysis of Slope Stability by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Around Chungju Area)

  • 신현준;이영훈;민경덕;원중선;김윤종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5호
    • /
    • pp.615-622
    • /
    • 1996
  •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remote sensing and Geoscientific Information System (GIS) as a part of natural hazard assessment around Chungju area. Landsat TM band 5 and 7 which contain more information about geological structure and geography are chosen and processed to analyse regional geological structure. Through image processing technique such as PCA, HFF, edge detection and enhancement, regional lineament can be mapped and identified. The lineament density map is constructed based on summed length of lineaments per unit area and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7 structural domains. Various factors of slope stability analysis such as geology, slope aspect, degree of slope, landcover, water shed as well as characterized structural domain are constructed as a database of GIS. Rating and weighting of each factor for slope stability analysis is decided by considering environmental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Spatial analysis of regional slope stability is examined through overlaying technique of the GIS. The result of areal distribution of slope stability shows that the most unstable area is all over Jaeogae-ni, Hyangsan-ni and Mt. Daedun.

  • PDF

한반도 중부권 지각물질의 구조와 물성연구(4) : 충남도 지하수 개발 현황과 지질특성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Earth Crust Material in the Middle of Korean Peninsula(4) : Development Status of Groundwater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Chungnam Province)

  • 송무영;신은선
    • 지질공학
    • /
    • 제4권2호
    • /
    • pp.153-168
    • /
    • 1994
  • 지하수 개발을 위한 한국 농어촌진흥공사 충남지사의 축적 자료로부터 충청남도 지역의 지하수 개발 현황을 각 군별 지역에 따라 지질특성과 비교, 검토하였다. 조사관정 212개의 관측자료로부터는 집수면적과 양수량의 관계를 살펴보고, 개발판정 344개 관측자료로부터는 시추공 심도와 양수량 관계, 케이싱 심도와 양수량 관계, 암석종류와 양수량 관계, 그리고 선구조 분포와의 관계들을 검토하였다. 집수면적과 양수량의 관계는 일정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으며, 이는 충적층보다 암반층 지하수가 많을 때는 지표의 집수면적의 영향이 작음을 의미한다. 시추공 심도와 양수량의 관계는 충적층 지하수의 경우에는 충적층이 깊을수록 지하수량이 많으나, 암반층 지하수의 경우에는 선형적으로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풍화대 심도는 케이싱 심도로 추정할 수 있다. 암석 종류의 영향은 별 차이가 없으나 결정질 암석인 화강암과 편마암이 퇴적암과 편암에서보다 평균 양수량이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파쇄대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암석종류, 케이싱 심도등이 비슷하면서도 양수량의 차이가 큰 홍성군과 부여군에서는 선구조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선구조의 교차점 밀도나 길이 밀도가 높은 홍성군의 양수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심층 지하수 개발 방향은 집수면적이나 암석종류에 착안하기 보다는 선구조, 파쇄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지형 분석을 수행하고, 물리탐사 자료를 참고하여 추진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