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mited Feedback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3초

제한된 귀환채널에서 시공간블록부호화를 적용한 다중화 시스템의 성능 (Performance of Space Time Block Coded-Spatial Multiplexing Systems in Limited Feedback Channel)

  • 황현철;신승훈;임종경;김석호;곽경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9A호
    • /
    • pp.772-78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블록부호화된 공간다중화 시스템에서 제한된 귀환채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처리 기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전처리기는 기존의 대각-가중-시공간블록부호화 다이버서티 시스템을 공간다중화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경험적으로 설계된다. 제안된 시스템에 대해 심볼 오율의 상위한계를 귀환채널 오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모의 실험을 통해 4.akbps의 귀환채널 전송율에서 정규화된 도플러 주파수가 0.01이상이 되면 기존의 안테나선택기법과 코드북선택기법에 비해 심볼오율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피에조일렉트릭 액츄에이터의 히스테리시스 보상 제어 (Hysteresis Compensation Control of Piezoelectric Actuators)

  • 임요안;최기흥;최기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9-224
    • /
    • 1996
  • Piezoelectric actuators exhibit limited accuracy in tracking control due to their hysteresis nonlinearity. In this study a digital tracking control approach for a piezoelectric actuator based on incorporating a feedback linearization loop with a PID feedback controller is presented. The hysteresis nonlinearity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modeled in the feedback compensation loop using the Maxwell slip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a piezoelectric 2-axis linear positioner for tracking linearly decaying sinusoidal waveforms and circ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racking control performance is noticeably improved by augmenting the feedback loop with a model of hysteresis in the feedback compensation loop.

  • PDF

협력 공간 분할 다중 접속 기술을 위한 제한된 피드백과 스케줄링 (Limited Feedback and Scheduling for Coordinated SDMA)

  • 문철;정창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48-653
    • /
    • 2011
  • 본 논문은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제한된 피드백 채널을 통해 AT(Access Terminal)로부터 전달된 부분적인 채널 정보만을 이용하여, 인접 BTS(Base Transceiver Station)에 의한 타 셀 간섭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협력 공간 분할 다중 접속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협력 공간 분할 다중 접속 기술에서, AT는 각 링크별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 하는 최적의 전송 모드를 선택하고 이를 피드백하며, 클러스터 스케줄러는 각 전송 모드별로 동일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AT들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최대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제공하는 클러스터의 전송 모드와 해당 AT들을 선택한다. 또한,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 AT별로 다수의 선호하는 전송 모드를 피드백하는 확장된 전송 모드 피드백 방식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기술이 시스템의 상향 링크 피드백의 허용된 용량에 따라 최적의 피드백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시스템 전송 용량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MU-MIMO 하향링크 시스템에서의 MRT 기법 사용 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최적 송신 안테나의 수 (The Optimal Number of Transmit Antennas Maximizing Energy Efficiency in Multi-user Massive MIMO Downlink System with MRT Precoding)

  • 이정수;한용규;이충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1호
    • /
    • pp.33-3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안테나 하향링크 시스템에서 maximal ratio transmission (MRT) 기법 사용 시,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에 대해 알아본다. Full channel state information at the transmitter (CSIT) 환경에서 평균 채널 이득, 각 단말 간 채널 독립성, 평균 path loss를 사용하여 최적화 식을 근사하고 편미분을 이용하여 closed form으로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를 구한다. 또한 limited feedback 환경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근사한 목적함수에 대하여 bisection method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를 찾는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구해진 최적의 송신안테나 수가 exhaustive search로 찾은 최적의 송신안테나 수에 비해 오차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고, 단말의 피드백 비트 수가 최적의 송신 안테나 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피드백 에러가 있는 빔포밍 시스템에서 개선된 인덱스 배치기법 (Enhanced Index Assignment for Beamforming with Limited-rate Imperfect Feedback)

  • 박노윤;김영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5호
    • /
    • pp.7-14
    • /
    • 2012
  • 양자화된 빔포밍 시스템은 정확한 채널 상태 정보를 특정 벡터로 구성된 유한 집합, 즉 코드북으로 양자화하여 원하는 벡터에 대응되는 인덱스만을 송신단으로 피드백함으로써 피드백 오버헤드 및 지연 등에 의해 발생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역 (exhaustive) 및 그룹화 (group-based)를 이용한 탐색 기반의 인덱스 재배치 기법을 통해 추가적인 비트의 요구없이 피드백 에러에 의한 성능저하의 최소화 기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인덱스 재배치 기법에 코드북 내 벡터간의 chordal 거리에 따른 최적 코드북 설계기법 통해 적응적 특성을 갖는 개선된 그룹화 기반의 코드북 인덱스 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Monte-Carlo 기반의 모의실험에 의해 제안하는 기법은 송신 안테나 수가 4이고 LTE 코드북을 이용할 경우 인덱스 재배치 기법을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동일한 비트 에러율을 얻기 위해 0.5~1dB 성능이 향상되며, 기존 그룹화 기반의 인덱스 배치 기법보다는 동일 환경에서 0.1~0.2dB 성능이 향상된다.

Scheduling and Feedback Reduction in Coordinated Networks

  • Bang, Hans Jorgen;Orten, Pal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3권4호
    • /
    • pp.339-344
    • /
    • 2011
  • Base station coordination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means to reduce the inter-cell interference in cellular networks. However, this interference reducing ability comes at the expense of increased feedback, backhaul load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degree of coordination is therefore limited in practice.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trade-off between capacity and feedback load in a cellular network with coordination clusters. Our main interest lies in a scenario with multiple fading users in each cell. The results indicate that a large fraction of the total gain can be achieved by a significant reduction in feedback. We also find an approximate expression for the distribution of the instantaneous 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and propose a new effective scheduling algorithm.

Novel schemes of CQI Feedback Compression based on Compressive Sensing for Adaptive OFDM Transmission

  • Li, Yongjie;Song, Rongf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4호
    • /
    • pp.703-719
    • /
    • 2011
  • In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daptive modulation and scheduling are promising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system throughput. However, a mass of wireless recourse will be occupied and spectrum efficiency will be decreased to feedback channel quality indication (CQI) of all users in every subcarrier or chunk for adaptiv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Thus numerous limited feedback schemes are proposed to reduce the system overhead. The recently proposed compressive sensing (CS) theory provides a new framework to jointly measure and compress signals that allows less sampling and storage resources than traditional approaches based on Nyquist sampling. In this paper, we proposed two novel CQI feedback schemes based on general CS and subspace CS, respectively, both of which could be used in a wireless OFDM system. The feedback rate with subspace CS is greatly decreased by exploiting the subspace information of the underlying signal. Simulation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 with the same feedback rate, the throughputs with subspace CS outperform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based method which is usually employed, and the throughputs with general CS outperform DCT when the feedback rate is larger than 0.13 bits/subcarrier.

전류궤환에 의한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약계자 제어 (Field Weakening Control of IPMSM Using Current Feedback)

  • 윤병도;김윤호;김종구;최원범;이병송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47-349
    • /
    • 1995
  • This paper describes current controlled PWM technique of IPM synchronous motors for a wide variety of speed control applications. They are however limited in their ability to operate in the power limited regime where the available torque is reduced as the speed is increased above its base value. This paper reviews the operation of the IPMSM drives when they are constrained to be within the permissible envelope of maximum inverter voltage and current to produce the rated power and to provide this with the highest attainable rotor speed. This paper proposes a new field-weakening control algorithm using phase current feedback to improve the torque characteristics and to reduce the torque ripple of IPMSM in the constant power region. The improved torque characteristics of speed control strategy with current feedback control algorithm is analyzed and the performance is investigated by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 PDF

심층신경망 기반의 프리코딩 시스템을 활용한 다중사용자 스케줄링 기법에 관한 연구 (MU-MIMO Scheduling using DNN-based Precoder with Limited Feedback)

  • 공경보;민문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41-144
    • /
    • 2023
  • 최근에 심층신경망(DNN)을 활용하여 채널 추정, 채널 양자화, 피드백, 프리코딩 과정을 통합하여 모델링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해당연구는 기존에 이론적으로 어렵던 통합 최적화를 deep learning (DL)을 기반으로 수행하여 기존의 실제 codebook을 활용하는 프리코딩기법에 비해 높은 잠재력이 있음을 보였다. 하지만 기존의 기법은 랜덤하게 정해진 소수의 사용자만을 대상으로하며, 기존의 기법과 다르게 스케줄링이 포함된 환경에는 적응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신경망기반의 프리코딩기법이 활용가능한 스케줄링 방식을 연구하여 기존의 결과와 비교한다.

The Effect of Real-Time Individual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on Computer-based Group Idea Generation

  • Jung, J.H.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2호
    • /
    • pp.91-107
    • /
    • 2014
  • In computer-mediated idea generation where contributions can be anonymous, the ability to accurately monitor performances is limited, inducing social loafing. Prior research has suggested that social loafing is likely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task performance. Researchers have theorized that loafing could be minimized if clear performance feedback is provided. Our prior study evidences a substantial performance gain by the provision of real time performance information about who is contributing and who is not. However, our prior study incorporated the quantity feedback only to create a larger pool of ideas based on the long-standing assumption (i.e., quantity breeds quality), not considering the quality feedback. As a result, taking advantage of anonymity in the form of pseudonymity, individuals in almost all groups exhibited a tendency of self-presentation by capitalizing on ideas of which quality was low and even frivolous (i.e., junk comments) toward the later stages of the session. Thus, we have learned that the quantity performance feedback alone does not have enough restrictiveness to consistently control the performance behavior throughout the session. Since a process chart allows participants to monitor process variation by comparing new performance data to past performance data, we incorporated real-time visual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to reveal performance histories by connecting the sequence of idea quality scores in a time-series format. Using this environment,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member groups that examined the influence of both identifiability (i.e., anonymity versus pseudonymity) and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i.e., yes or no) in a $2{\times}2$ factorial design. The result showed that groups in the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treatment outperformed groups in the no feedback treatment. Additionally,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and identifiability interacted such that groups in the process performance feedback/pseudonymity treatment had the highest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group idea generation procedur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