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lium spp.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식용 백합 Lilium brownii의 생육특성과 인편조직배양이 자구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let Formation on Scale Tissue Culture and Growth of Characteretis in Edible Lilium brownii spp.)

  • 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75-82
    • /
    • 2017
  • 식용백합 Lilium brownii의 국내 생육특성과 인편조직배양에 의한 자구 발생수, 자구중, 자구중은 다음과 같다. 노지조건에서는 5월 25일 개화하였고 무가온하우스는 5월 18일이었으며 초장은 노지 50±3cm, 하우스 54±3cm 였다. 인편착생 위치별 자구 발생수, 자구중, 자구중은 외인편>중인편>내인편 순으로 좋았다. 인편 크기별로는 대인편에서 3.5개로 가장 많았고 인편이 클수록 자구중, 자구중이 좋았다. 대량생산을 위한 BA 농도별 처리는 BA. 1.5mg/l에서 3.8개로 가장 많았고 자구중 및 자구경도 좋았다.

Characterization of Carnation mottle camovirus(CarMV) Isolated from Lilium spp. in Korea

  • Park, J.H.;J.H. Sung;H.Y. Shin;M.U. Chang;S.N. Yoo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50.2-150
    • /
    • 2003
  • Carnation mottle carmovirus(CarMV) was isolated from Lilium spp. in Korea. This isolate, CarMV, was done bioassay, which plants were Dianthus caryophyllus, Gomphrena globosa, Chenopodium amaranticolor, Dianths chinensis. CarMV was propagated on the leaves of Chenopodium amaranticolor with the crude-sap inoculation method and purified by Mossops method(1976). We produced antiserum against CarMV and analyzed the antiserum specificity with ELISA, Gel diffusion method, and Rapid Immunofilter Paper Assay (RIPA). From these results of the assay, RIPA method was simple and rapid for CarMV detection. We have established successfully the CarMV detection system. CarMV coat protein gene was amplified by RT-PCR with specific primers and sequencing analysis was done.

  • PDF

Botrytis elliptica(Berk.) Cooke에 의(依)한 한국(韓國) 미기록(未記錄) 백합(百合)잎마름병(病) (Botrytis Blight of Lilium spp. caused by Botrytis elliptica(Berk.) Cooke in Korea)

  • 유승헌;김홍기;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26
    • /
    • 1988
  • 1987년(年) 대전(大田) 근교(近郊)의 vinyl house에서 재배중(栽培中)인 백합(百合)(Lilium spp.)에서 Botryis elliptica에 의한 잎마름병(病)이 국내(國內)에서 최초(最初)로 발견(發見)되었다. 본(本) 병(病)의 초기(初期) 병징(病徵)은 잎과 줄기에 나타나는 갈색(褐色) 점(點)무늬로서 점차 확대(擴大)되어 잎마름 증상(症狀)을 나타내었고 발병(發病)이 심(甚)하면 식물체(植物體) 전체(全體)가 갈변(褐變)하고 고사(枯死)되었다. 병원성(病原性) 검정(檢定) 결과(結果) 본(本) 병원균(病原菌)은 백합(百合)에만 병원성(病原性)이 있었고 고추, 토마토, 인삼, 양파, 파에는 병원성(病原性)이 없었다. 본(本) 병(病)은 국내(國內) 미기록병(未紀錄病)으로 Botrytis elliptica(Berk.) Cooke에 의(依)한 백합(百合) 잎마름병(病)(엽고병(葉枯病))으로 명명(命名)하고자 한다.

  • PDF

한국산 나리류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I. Broad Bean Wilt Virus 및 Cucumber Mosaic Virus (Studies on Viruses Isolated from Lilium spp. In Korea I. Broad Bean Wilt Virus and Cucumber Mosaic Virus)

  • 장무웅;정재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23-235
    • /
    • 1987
  • 황색 모자이크 괴저조반, 위축, 기형, colour breaking의 병미을 나타내고 있는 나리류를 한국의 남부지역에서 채집하였다. 전자현미경에 의해 2종의 바이러스 입자가 분리되어, 이들의 기주범위, 혈청반응, 조즙액중의 부활화 한계, 진딧물의 전반성, 감염엽세포에 있어서 바이러스 입자의 소재양식에 의하여 2종의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Broad bean wilt virus(BBWV) : 이 바이러스는 즙액접종에 의해 8과 23종의 검정식물에 감염이 확인되었다. 복숭아혹진딧물에 의해 쉽게 전반되었다. 내열성은 $70\%$, 내희석성은 1,000배, 내보존성은 6일이였다. 바이러스 입자의 형태는 직경 약 28nm의 소구형이다. 혈청시험에서 본 바이러스는 BBWV의 항혈청과 특이적인 반응대를 형성했다. 병엽절편의 전자현미경적관찰에서는 엽육세포의 세포질, 액포, 핵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응집괴 및 결정배열상이 확인되엇고, 특히 세포질내에서는 vesicular body의 발달이 확인되었다. Cncumber mosaic virus(CMV) : 이 바이러스 입자의 형태는 직경 약30nm의 소구형이다. 본 바이러스 CMV-Y의 항혈청과 특이적인 반응대를 형성했다. 감염엽조직의 전자현미경적관찰에서는 엽육세포의 세포질 및 액포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응집괴 도는 결정배열상이 확인되었다. BBWV와 CMV를 건전한 나리류(Lilium tigrium, L. concolor, L. auratum)에 재접종한 결과 BBWV의 접종주에서는 가벼운 병징 또는 colour breaking를 나타내었고, CMV의 접종수에서는 황색 모자이크 또는 괴저조반을 나타냈다.

  • PDF

'Honghwa' an Asiatic Hybrid Lily with Unspotted Orange Petals

  • Rhee, Hye Kyung;Lim, Jin Hee;Cho, Hae Ryong;Joung, Hyang You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37-540
    • /
    • 2008
  • 'Honghwa' an Asiatic hybrid lily was released in 2001 at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Suwon, Korea. The cross was made in 1994 between Lilium Asiatic 'Avignon', a scarlet red colored, and L. Asiatic 'Connecticut King', bright yellow colored. It was preliminarily selected as 'A96-3' in 1996. Multiplication and bulbing, and characteristic tests were performed from 1997 to 2000. The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was made investigated as 'Wongyo C1-31' in 2001 at Suwon. 'Honghwa' flowers at the beginning of June and grows to 111.4 cm stem length. Flowers are upward-facing, unspotted with orange petals. Year-round flowering is possible by storing the bulb at $-1.5^{\circ}C$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add calcium to the fertilizer or remove side scales to prevent leaf scorch. It is needed to control Botrytis disease during wet season.

영국 화이트 가든(White Garden)의 초화류 설계기법 - 20C 초반 작정된 시싱허스트, 배링턴 코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English White Gardens - Focusing on Sissinghurst, Barrington Court Built in the Early 20th Century -)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4-153
    • /
    • 2010
  •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 정원설계가들은 특정한 색을 이용하여 원칙을 정하고 소재를 수집하여 각자의 미의식으로 결합해가는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색을 배색의 주조톤으로 하여 유명한 정원인 제킬(Gertrude Jekyll)의 배링턴 코트(Barrington court)와 비타(Vita Sackvill-West)의 시싱허스트(Sissinghurst)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의 종류와 특성을 통해 설계기법을 연구한다. 사용된 개별식물을 계절, 색, 형태,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화이트 가든 조성 시 초화류의 미적 결합방식을 제킬과 비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킬은 봄의 신선함을 위한 정원으로 초롱꽃류(Campanula spp.), 백합류(Lilium spp.)를 위주로 식재하였다. 비타(Vita Sackvill-West)는 주로 여름밤의 달빛을 겨냥한 정원으로 델피니움류(Delphinium spp.), 장미류(Rosa spp.)가 대표적인 수종이다. 꽃의 색은 흰색계열로 조성하였으나, 순수한 흰색에서부터 아이보리색과 실버색을 포함하였으며, 꽃의 형태는 흰색의 단일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또한 잎의 색은 흰꽃이 잘 돋보일 수 있도록 연록색, 연회색, 밝은 녹황색 잎을 조합하였다.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 계열을 사용하여 신비감과 시원함, 청정함, 밤에 빛이 반사되었을 때 흰꽃과 더불어 매혹적이고 애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경사적 의의는 색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재식설계기법의 아이디어와 기술로 주제색상을 통한 정원설계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미적 원리에 의한 결합으로 정원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오리엔탈 종간잡종 나리 미숙배주 배양 (Immature Ovule Culture of Lilium Oriental Interspecific crossings)

  • 최은경;박병모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1-225
    • /
    • 2009
  • 오리엔탈나리 (Lilium spp.)를 모본으로 하여 환경적응성이 우수한 종간잡종 나리를 육성하기 위하여 종간 교잡을 실시하였다. 오리엔탈 ${\times}$ 아시아틱 종간교잡은 화주절단수분법에 의해 수분하였지만 평균 29%왜 낮은 결실률을 나타냈다. 오리엔탈 나리 'Rodolfa' ${\times}$ L. asiatic 'Toronto'는 대조구에 비하여 1/4 MS나 1/6 MS배지에서 76.6~78.3%로 발아율이 높았으나, 오리엔탈 나리 'Farolito' ${\times}$ L. asiatic 'Buff Pixie'는 MS와 1/2 MS배지에서 발아율이 86~90% 크게 향상 되었다. 그러나 'Snow Cristal' ${\times}$ Lilium asiatic 'Royal Trinity'는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종간 잡종배는 배지에 GA $0.5{\sim}1.0mg{\cdot}L^{-1}$ 첨가에 의해서 발아율이 약간 향상되었다. 오리엔탈 나리 'Farolito' ${\times}$ L. asiatic 'Buff Pixie'와 'Belcanto' ${\times}$ L. callosum는 $0.01mg{\cdot}L^{-1}$ NAA와 $0.01mg{\cdot}L^{-1}$ kinetin이 첨가된 MS 배지에서 66.6%와 45.2%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자생 나리류 화단 이용과 재배 기 (Propagation and Using for Bedding Plant of Lilium spp. native to Korea.)

  • 송정섭
    • 조경수
    • /
    • 제81권7_8호
    • /
    • pp.18-21
    • /
    • 2004
  • 하늘나리, 참나리, 섬말나리, 땅나리... 자생화 중 나리류 만큼 꽃이 크고 원색적인 것도 흔치 않다. 나리류는 전 세계적으로 130여종이 있는데 이 중 71종이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북반구의 아열대에서 아한대지역까지 집중되어 있으며 해발 2,000~2,500m 정도의 고지대에도 자생한다. 우리나라도 매우 중요한 나리 원산지 중의 한 곳으로 변종을 포함 전국에 15종이 자생하고 있다. 특히 솔나리는 꽃색이 분홍색으로 나리의 주요 육종모본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섬말나리는 울릉도에 분포하며 희소가치가 비교적 큰 식물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