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weight aggregate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6초

단열성능향상 재료를 사용한 구조용 콘크리트의 열전도 특성 (The Thermal Conduction Property of Structural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 박영신;강민기;김정호;지석원;전현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16
  • 건물에서 에너지 손실이 가장 큰 부위는 외피로서, 이 부분의 에너지 손실을 감소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는 대부분 창호 및 단열재를 사용한 연구이며 건물 외피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물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자체에서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통콘크리트보다 열전도율을 2배 이상 개선시킨 구조용 단열성능향상 콘크리트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마이크로기포제, 규조토 미분말, 경량골재를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내부공극을 다량확보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슬럼프와 공기량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단위용적질량에서는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모든 배합에서 보통콘크리트보다 14.3~35.1 %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고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본 실험의 목표 강도(24MPa)를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열전도율은 보통콘크리트 대비 최대 2배 이상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석탄바닥재가 포함된 인공골재의 경량화에 미치는 적니 영향 (Influence of red mud additive on lightening of artificial aggregates containing coal bottom ash)

  • 강민아;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2011
  • 폐기물인 석탄바닥재와 준설토가 70 : 30(wt%)으로 혼합된 배치분말에 적니를 0~30 wt% 첨가하고 $1050{\sim}1250^{\circ}C$에서 10분 직화 소성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고 그 물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인공골재의 발포특성에 미치는 적니 첨가량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중 및 흡수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미세구조 결과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제조된 인공골재는 소성온도 및 적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포성이 향상되어 경량화 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1050{\sim}1150^{\circ}C$ 범위로 소결된 대부분의 인공골재는 잘 형성된 블랙코어 구조를 가졌으나, 적니가 첨가되고 $1200^{\circ}C$ 이상으로 소결된 시편들은 $Fe_2O_3$의 환원에 의한 과량의 가스 방출 및 액상 형성으로 인하여 블랙코어 부분이 시편 표피를 뚫고 나오는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적니 30 wt%를 함유한 시편은 $1100^{\circ}C$ 이상으로 소결하면 폭발되어 여러 조각으로 흩어졌다. 본 연구에서 $1200^{\circ}C$에서 소결된 시편의 부피비중은 적니가 첨가되지 않은 것은 1.2, 적니가 20 wt% 첨가된 것은 1.0 이하의 경량골재 특성을 나타내었다.

초경량(超輕量) 폴리머 콘크리트의 응력(應力)-변형특성(變形特性) (Stress-Strain Properties of Surlightweight Polymer Concrete)

  • 성찬용;김경태;민정기;김영익;윤준노;정현정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271-277
    • /
    • 1998
  • 본 연구는 폴리머와 인공경량 세골재 및 인공경량 조골재를 사용한 초경량 폴리머 콘크리트의 응력-변형특성을 구명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탄성 계수는 $1.514{\times}10^5{\sim}1.916{\times}10^5kgf/cm^2$로써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의 48~96%정도이며, 인공경량 세골재의 양이 적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2. 정탄성계수는 $2.552{\times}10^4{\sim}4.386{\times}10^4kgf/cm^2$으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의 8~22%정도로 작게 나타났고, 포아손수도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작게 나타났다. 3. 응력-변형율곡선은 모든 배합에서 응력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다가 최대하중에서 파괴된후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취성이 크게나타났다. 4. 최대응력하에서의 변형율은 P1에서 $6.975{\times}10^{-3}$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P9에서 $1.600{\times}10^{-3}$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인공경량 조골재의 양이 많을수록 작게 나타났다.

  • PDF

화력발전소 바닥재와 폐촉매 슬래그로 제조된 인공골재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artificial aggregates containing bottom ash from the power plant and waste catalyst slag)

  • 조시내;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0-206
    • /
    • 2012
  • 무기계 폐자원인 화력발전소 바닥재(이하 바닥재로 칭함)와 폐촉매 슬래그를 7 : 3(무게비)으로 혼합, 성형하고 직화소성법으로 인공골재를 제조한 뒤, 원료들의 입도 및 소성온도가 골재의 발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인공골재는 원료 입도에 관계없이 $1150^{\circ}C$ 이상의 소성온도에서 발포거동을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비중이 급격히 낮아져 $1250^{\circ}C$에서 약 1.4로 수렴하였다. 그러나 폐촉매 슬래그의 입도를 변화시킨 골재 중 가장 작은 입도($90{\mu}m$)를 사용한 시편만은 두드러진 발포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1050{\sim}1150^{\circ}C$의 저온구간에서 소성된 인공골재의 경우, 원료로 사용된 바닥재와 폐촉매 슬래그 입도가 클수록 비중이 증가하였다. 또한 모든 골재들은 소성온도와 함께 흡수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실험에서 제조된 인공골재의 비중은 1.4~1.7, 그리고 흡수율은 8~19 %를 나타내어 경량골재의 기준을 만족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류 및 부산연안지역의 준설토와 퇴적토 활용을 위한 특성 평가 (Assessment of Dredged Soils and Sediments Properties in the Lower Reach of Nakdong River and Coastal Areas of Busan for Beneficial Uses)

  • 이용민;김국진;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57-66
    • /
    • 2013
  • Although the quantity of dredged soils has increased owing to recent new harbor construction, sea course management, polluted sediment dredging, and four-river project, the reuse or recycling of those dredged soils has not done properly in Korea. To develop measures to utilize them in various ways for reuse or recycling, the bio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edged soils and sediment were assessed in this study. S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ources-river and sea-by location, and as dredged soil and sediment depending on storage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dredged materials from the sea have high clay content and can be used for making bricks, tiles, and lightweight backfill materials, while dredged materials from the river have high sand content and can be used in sand aggregates. Separation procedures, depending on the intended application, should be carried out because all dredged materials are poorly sorted. All dredged soils and sediments have high salinity, and hence, salts should be removed before use for cultivation. Since dredged materials from the sea have adequat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except phosphate, they can be used for creating and restoring coastal habitats without carrying out any additional removal processes. The high overall microbial activities in dredged materials from the river suggested that active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circulation of nutrients, and provision of nutrients may occur if these dredged materials are used for cultivation purpose.

생물막을 이용한 다공성 콘크리트의 수질정화 효율 개선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improvement of water purification efficiency by porous concrete using bio-film)

  • 김태훈;;안태웅;최이송;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6호
    • /
    • pp.815-82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biological decomposition capacity of MPC(Microorganism Porous-Concrete). MPC has specific surface area formed by inside pores, and bio compound was added to those pores to reduce pollutants loading. To evaluate the water purification capacity of MPC, we carried out the comparative studies using different media types [GPC(General Porous-concrete), CPC(Compound porous-concrete), LPC(Lightweight aggregate porous-concrete)] under the condition of CFSTR, and different retention times (30, 60 and 120 min). We also estimated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MPC unde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ollutant loadings. The MPC showed higher efficiency in water purification function than other conventional porous concretes with efficient decrease rates of SS, BOD, COD,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comparison experiment for different retention times, MPC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all tested pollutants in the longest retention time(120 min). In the long period test, the removal efficiencies of MPC concrete were high until 100 days after the set up of the operation, but began to decrease. Outflow flux was invariable compared with inflow flux so that extra detention time for media fouling such as back washing is not needed. But the results suggested that appropriate management is necessary for long-term operation of MPC. As the final outcome, MPC using bio organisms is considered to be efficient for stream water purification when they used as substrates for artificial river structure.

Development of lightweight concrete using the PCM II : Investigation on Foam Volume/Fly Ash Relationship of Foam Concrete, and Effect of High Content Micro Polypropylene Fiber and Microstructure

  • Lim, Myung-Kwan;Enkhbold, odontuya;Choi, Dong-Uk
    • KIEAE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45-52
    • /
    • 2015
  • Purpose: Foam concrete is the concrete that contains large amount of air voids inside. In general, the density of foam concrete depends on parameters like water/binder ratio, foam volume, aggregate and pozzolan content, etc. Metho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oam volume and fly ash content on dry density is investigated intensively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ameter and their abilities to counter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bove information, though there are quite a number of studies on the effect micro fiber on foam concrete at low volume fractions, there is still lack of information especially on the high fiber content side. The objective of the second study is to investigate further on the use of micro fiber at higher volume fraction and fill in the lacking information. Beside from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icro-fiber (polypropylene) to enhance the properties of foam concrete is also carried out. Result: Of the two variables that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foam volume and the fly ash conten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perties of foam concrete. The foam volume tends to decrease the density and strength of foam concrete. In the second part of our study, a large fibre volume fraction is proved to be able to evidently increase the flexural strength of foam concrete up to about 40% due to the effect of fibre bridging over the crack and a significant number of fibres that intercepts the crack surfaces. However, the compressive strength is found to decrease severely due to the occurrence of large pores as the result of fibre being added into concrete mixture.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Insul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Materials)

  • 박영신;김정호;김세환;김상헌;전현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2-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24MPa 이상 열전도율이 기존 콘크리트보다 2배 감소된 구조용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현장적용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결과 Plain과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은 경과시간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났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단위용적질량은 Plain 대비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가 Plain보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강도 24MPa를 만족하였으며, 열전도율은 Plain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Plain과 유사하였고, 중성화 저항성은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이 재령 4주에 Plain과 유사했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Plain보다 중성화 저항성이 저하되었고, 길이변화율은 Plain보다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

초경량(超輕量)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物理)·역학적(力學的) 특성(特性)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urlightweight Polymer Concrete)

  • 김경태;김성완;성찬용;윤준노;한영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8-225
    • /
    • 1997
  • 이 연구는 폴리머와 인공경량 세골재 및 인공 경량 조골재를 사용한 초경량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구명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중량은 배합비의 종류에 따라 $810{\sim}970kgf/m^3$로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해 58~65%정도 감소되었다. 2. 강도는 $P_1$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압축강도는 112%, 휨강도는 378%, 인장강도는 290%가 각각 증가되었다. 3. 초음파진통속도는 2,206~2,595m/s 정도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약간 작게 나타났으며, 인공경량 세골재의 양이 적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4. 내구성은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하여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산을 접하는 구조물에 사용하면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5.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휨강도는 단위중량이 감소할수록 작게 나타났으며, 초음파진동속도는 단위중량이 감소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 PDF

양생조건(養生條件)이 인공경량골재(人工輕量骨材)콘크리트의 알카리-실리카 반응(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uring Conditions on the Alkali-Silica Reaction of Synthetic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 김성완;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0-147
    • /
    • 1991
  • 이 논문(論文)은 양생조건(養生條件)에 따른 알카리 실리카 반응(反應)이 인공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학적(工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구(硏究)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콘크리트의 팽창은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재령 90일에서 Type A, B, C 및 D 콘크리트의 팽창율은 각각 0.173%, 0.575%, 0.230% 및 0.680%로 되었다. 특히, Type D는 Type A 콘크리트 보다 3.93 배(倍)의 팽창율을 보였고, 팽창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폭도 증가되었으며 팽창율 0.680%에서 균열의 최대폭은 0.5 mm를 나타냈다. 2. 각 콘크리트의 동탄성 계수는 재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재령 30일에서 최대치를 나타냈고, 그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재령 90일에서 Type A, B, C 및 D 콘크리트의 동탄성 계수 손실율은 각각 24.3%, 33.7%, 28.1% 및 37.0% 로 되었으며, Type D는 Type A 콘크리트 보다 1.52 배(倍)의 손실율을 보였다. 3. 각 콘크리트의 초음파 진동속도는 재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재령 30일에서 최대치를 나타냈고, 그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재령 90일에서 Type A, B, C 및 D 콘크리트의 초음파 진동속도 손실율은 각각 6.4%, 8.7%, 8.5% 및 14.2% 증가하였으며, 손실율은 Type D가 Type A 콘크리트 보다 2.21 배(倍) 크게 나타났다. 4. 동탄성 계수와 초음파 진동속도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고도(高度)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동탄성 계수는 초음파 진동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되었고, 감소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동탄성 계수의 감소율은 각 재령에서 초음파 진동속도 감소율 보다 2-7배 이상 크게 나타났다. 5 동탄성 계수와 초음파 진동속도는 팽창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그 감소율은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팽창의 증가율은 동탄성 계수와 초음파 진동속도의 감소율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