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hting

검색결과 3,705건 처리시간 0.045초

한국에서 제비 Hirundo rustica 의 영소습성과 번식생태 (Nesting Habits and Breeding Biology of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in Korea)

  • 김상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4-29
    • /
    • 2017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번식기 동안 광주광역시에서 제비의 영소지 선택과 번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모든 둥지는 건물의 수직 벽과 지붕에 붙어 있었으며, 둥지의 외측 직경은 $18.2{\pm}3.2cm$, 깊이는 $9.8{\pm}3.1cm$, 둥지 내측 직경은 $11.2{\pm}1.5cm$, 내측 깊이는 $3.4{\pm}0.5cm$로 지면에서 평균 $2.9{\pm}0.3m$ 높이에 위치하였다. 번식 둥지는 시멘트 벽(44.9%), 목재(23.1%), 벽돌(21.8%), 전등(6.4%)에 부착되어 있었다. 한배 산란수는 2~5개 범위로 평균 4.5개이었다. 평균 알 장경은 $18.23{\pm}0.73mm$, 단경은 $13.11{\pm}0.25mm$, 알 부피는 $1.60{\pm}0.11cm^3$, 알 형태지수는 $1.39{\pm}0.05$, 알 무게는 $1.69{\pm}0.15g$이었다. 부화 및 이소 성공률은 각각 89.1%와 84.5%이었다. 번식 실패의 주요 원인은 미수정란과 포식, 둥지훼손, 번식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제비의 서식지 보존 및 종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 - 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 (Case Study for Rural Landscape Analysis Used by GIS Technology - Focused on the Jeiu Stone Wall Landscape -)

  • 최용복;정문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349-361
    • /
    • 2006
  • 국내외적으로 농촌 경관에 대한 관심과 함께 경관에 대한 관리 및 보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천혜의 자연조건과 함께 아름다운 농촌경관을 유지하고 있는 제주도에서도 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 및 동법 시행조례로서 경관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관관리에 대한 노력에도 무분별한 건축물의 난립 등으로 인하여 경관훼손이 가해져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시급한 처지이다. 이러한 농촌경관 가운데에서도 대표적인 경관을 구성하는 돌담의 훼손이 심각히 진행되어지고 있지만 현재의 경관관리는 조망지역의 가시권에 대해서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요한 경관요소에 대해서는 경관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돌담 경관의 훼손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제주도 돌담이 경관 요소로서 가지고 있는 중요한 내재적 가치를 정립하였고 또한 기존의 가시권 중심의 조망지점 경관분석에서 훼손 가능성을 경관분석에 적용함으로서 보전측면을 강화한 경관평가를 제안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하여 돌담 경관 실태와 훼손정도를 추정하여 GIS 기술의 활용여부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제주도의 대표성을 지니는 한경, 애월, 신촌 등 여섯 군데의 농촌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정하였으며 이 지역에 대한 경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Model of Water, Energy and Waste Management for Development of Eco-Innovation Park ; A Case Study of Center for Research of Science and Technology "PUSPIPTEK," South Tangerang City, Indonesia

  • Setiawati, Sri;Alikodra, Hadi;Pramudya, Bambang;Dharmawan, Arya Hadi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3권2호
    • /
    • pp.89-96
    • /
    • 2014
  • Center for Research of Science and Technology ("PUSPIPTEK") has 460 hectares land area, still maintained as a green area with more than 30% green space. There are 47 centers for research and testing technology, technology-based industries, and as well as public supporting facilities in PUSPIPTEK area. Based on the concepts developed to make this area as an ecological region, PUSPIPTEK can be seen as a model of eco-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of water, energy and waste management with eco-innovation concept. As a new approach in address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maintaining the sustainability of ecosystem, studies related to eco-innovation policy that combines the management of water, energy and waste in the region has not been don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 series of techniques for collecting data on PUSPIPTEK existing conditions will be carried out, which includes utilities data (water, electricity, sewage) and master plan of this area. The savings o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cept of eco-innovation in water, energy, and waste management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using quatitative methods. The amount of cost savings and feasibility were then calculated. Eco innovation in water management among other innovations include the provision of alternative sources of water, overflow of rain water and water environments utilization, and use of gravity to replace the pumping function. Eco-innovation in energy management innovations include the use of LED and solar cell for air conditioning. Eco-innovation in waste management includes methods of composting for organic waste management. The research results: (1) The savings that can be achiev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eco innovation in the water management is Rp. 3,032,640 daily, or Rp.1,106,913,600 annually; (2) The savings derived from the implementation of eco innovation through replacement of central AC to AC LiBr Solar Powered will be saved Rp.1,933,992,990 annually and the use of LED lights in the Public street lighting PUSPIPTEK saved Rp.163,454,433 annually; (3) Application of eco innovation in waste management will be able to rais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by sorting organic, inorganic and plastic waste. Composting and plastic waste obtained from the sale revenue of Rp. 44,016,000 per year; (4) Overall, implementation of the eco-innovation system in PUSPIPTEK area can saves Rp. 3,248,377,023 per year,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and (5)The savings are obtained with implementation of eco-innovation is considered as income.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the implementation of eco-innovation in water, energy, and waste management in PUSPIPTEK give NPV at a 15% discount factor in Rp. 3,895,228,761; 23.20% of IRR and 4.48 years of PBP. Thus the model of eco-innovation in the area PUSPIPTEK is feasible to implement.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한 LLO 시스템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a Laser Lift-Off System using an Excimer Laser)

  • 김보영;김준하;변진아;이준호;서종현;이종무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24-230
    • /
    • 2013
  •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Off: LLO)는 수직형 LED 제조를 위하여 GaN 또는 AlN 박막을 사파이어 웨어퍼로부터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으로 광원, 레이저의 출력 파워를 조절해주는 감쇠기, 빔의 형태를 잡아주는 빔 성형 광학계, 원하는 빔 사이즈를 만들어 주고 빔을 균일하게 섞어주는 빔 균일 광학계, 기판에 투사 이전에 빔을 한번 잘라주는 조리개 부분과 마스크 단에서 잘린 빔을 기판에 투사해주는 투사렌즈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LO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광학계 중 감쇠기와 투사렌즈 부분의 설계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투사렌즈의 $7{\times}7mm^2$ 빔 사이즈 구현을 위하여 광학 설계 프로그램인 지맥스를 통해 설계 및 초점심도를 분석하였으며, 조명 설계 프로그램인 라이트 툴을 사용하여 빔 사이즈 및 균일도를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 결과 사각형 빔의 크기 $6.97{\times}6.96mm^2$, 균일도 91.8%, 초점심도 ${\pm}30{\mu}m$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출력의 엑시머레이저의 빔 강도를 감쇠시키기 위한 장치인 감쇠기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하여 에센설 맥클라우드 코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전체 코팅을 실시한 결과 총 23층의 박막과 s 편광의 입사각도 $45{\sim}60^{\circ}$에서 10-95%의 투과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광 조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함량 변화 (Changes in Allicin Contents of Garlic via Light Irradiation)

  • 정훈;이선호;윤홍선;최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7
    • /
    • 2013
  •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항암효과나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농산물이나 식품 등의 소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늘은 항균, 항암, 항산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 효과 때문에 건강 농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꾸준히 소비가 되고 있는 농산물이다. 특히 마늘의 알리신 성분의 증폭을 위해 최근 연구되고 있는 광 조사에 의한 알리신 성분 향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깐 마늘에 형광등, 컬러등(녹색, 황색, 청색, 적색), 자외선등(UV-A, UV-B, UV-C) 등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사 했을 때, 알리신 성분의 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처리구는 UV-B 자외선등으로 700 mm 광원 거리에서 15초 동안 조사한 $0.129W/m^2$ (40 W) 강도의 처리구와 적색등의 700 mm 광원 거리에서 24시간 동안 조사한 126 lx (40 W) 조도의 처리구이며, 각각의 알리신 함량 변화는 $15.15{\pm}0.25mg/g$$15.15{\pm}0.34mg/g$ 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10%의 증폭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두 처리구에 대해 광 조사 처리를 하지 않은 마늘과의 유의성 검증 결과, 5% 이하의 유의수준에서 광 조사 미처리구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광조사 처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등의 기능성 성분이 증폭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량으로 마늘의 기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의 개발 등으로 산업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 생장 조절을 위한 LED 광처리 장치에 대한 연구 (LED for plant growth regulators for the study of Light on the device)

  • 방걸원;김용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267-272
    • /
    • 2012
  • 열악한 광환경의 극복은 원예작물의 생육증대는 물론 고품질 생산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때 LED 광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광합성산물의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 비닐하우스의 저효율, 재배연차별 경영비 상승에 따른 소득감소를 개선하고 적정한 작물생육을 유도함으로써 공장형 식물재배 환경을 마련함과 동시에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LED 광처리 장치를 이용한 보광을 통해 광합성 촉진 및 생산물의 품질 향상, 식물 생장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효율적 LED 광처리 장치를 개발하고 LED 광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잎상추를 재배한 결과 일반 형광등이나 백열전구에서 재배한 것 보다 성장 속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보통 잎상추는 육묘에서 출하까지 수확까지 25일 ~ 30일 걸린데 반해 광처리장치의 적색광(파장:645nm)을 이용하여 재배한 잎상추는 7일 만에 수확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적색광(파장:645nm)과 청색광(파장:470nm)을 동시에 점등하여 재배한 칸에서는 5일만에 수확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다.

미디어파사드 특성이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Media Facade on Customer's Preference)

  • 이철수;남상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35-341
    • /
    • 2020
  • 노동에 몰입하던 삶이 가치와 생활을 중시하는 것으로 변화하면서, 개인은 학습, 지적 욕구 충족, 즐거움, 교류 등을 위하여 문화예술을 소비하거나 참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문화예술공간이 늘어나면서 공간은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고 관람하며 교류하는 장소,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장소로 탈바꿈하였다. 문화예술공간은 새로운 장르와 기술을 창조하고 개발하여 관람객에게 소통하고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디어 작품을 이해하고 체화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미디어파사드는 관람객이 문화공간을 전시와 공연장소가 아닌 짧은 시간에 깊은 인상을 심고 작품과 문화공간에 더 쉽게 다가가고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해당 장소를 더 선호하게 만든다. 미디어파사드는 건물 외벽에 LED 조명을 설치해 미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아름다움과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이다. 미디어파사드의 특성이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디어파사드의 특성을 독립변수로,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 결과 미디어파사드 특성의 디자인적 특성과 매체적 특성은 만족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디어파사드 특성의 매체적 특성은 추천과 재관람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예술공간에 많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미국 Texas 지역 고객을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Service of Coffee Shops on Customer Satisfaction -Focusing on Texas Region Customers-)

  • 이광우;김효진;전민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57
    • /
    • 2015
  • 고객이 커피전문점을 선택하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방문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정과정에는 커피전문점 본연의 제품인 커피와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매장의 분위기, 구조, 인테리어와 같은 유형적인 요인이 보다 큰 영향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전문점 브랜드는 메뉴의 다양성에 기초한 차별화와 동시에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독특한 물리적 환경의 제공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해외 커피전문점의 물리적 환경이 고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물리적 환경을 구성하는 주요 변수들의 영향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미국 Texas 주에 거주하는 커피전문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환경은 고객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커피전문점의 온도, 향, 조명, 매장의 색감, 가구 등 분위기를 형성하는 요소와 인테리어 디자인이 응답자들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충성도에는 보다 광범위한 물리적 환경 서비스가 제공될 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을 포함한 해외 진출을 계획하거나 진출한 국내의 커피전문점 운영자 또는 관리자들에게 효과적인 관리방안과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프랜차이즈와 체인 커피전문점의 이용경험에 따른 고객만족이 몰입, 충성도, 반복적 이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User Experience on Commitment, Loyalty and Repeated Use in Franchise and Chain Coffee Shops)

  • 양정영;김태희;김미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206-224
    • /
    • 2013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이용고객의 실질적인 장기적 몰입 상태인 반복적 이용의 형성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커피전문점에 대한 이용경험, 고객만족, 고객몰입, 반복적 이용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표본은 수도권의 커피전문점을 주2회 이상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본 457부를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첫째, 커피전문점에 대한 이용경험 중 이용환경, 가격공정성, 커피상품품질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둘째, 고객만족은 고객몰입과 반복적 이용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다. 셋째, 고객만족과 반복적 이용 간에도 고객몰입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가설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커피전문점 이용고객들의 반복적 이용을 형성시키기 위한 관리적 시사점으로 커피전문점에 대한 이용경험의 제고전략과 고객몰입제고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Luminous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Field Emitters Produced by Using Ultra-thin Films of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s

  • Jang, Eun-Soo;Goak, Jeung-Choon;Lee, Han-Sung;Lee, Seung-Ho;Lee, Nae-Sung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1.1-31.1
    • /
    • 2009
  • Carbon nanotubes (CNTs) are attractive material because of their superior electrical,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urthermore, their geometric features such as a large aspect ratio and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t tip make them ideal for low-voltage field emission devices including backlight units of liquid crystal display, lighting lamps, X-ray source, microwave amplifiers, electron microscopes, etc. In field emission devices for display applications, the phosphor anode is positioned against the CNT emitters. In most case, light generated from the phosphor by electron bombardment passes through the anode front plate to reach observers. However, light is produced in a narrow depth of the surface of the phosphor layer because phosphor particles are big as much as several micrometers, which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rough the phosphor layer. Hence, a drop of light intensity is unavoidable during this process.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transparent cathode back plate by depositing an ultra-thin film of single walled CNTs (SWCNTs) on an indium tin oxide (ITO)-coated glass substrate. Two types of phosphor anode plates were employed to our transparent cathode back plate: One is an ITO glass substrate with a phosphor layer and the other is a Cr-coated glass substrate with phosphor layer. For the former case, light was radiated from both the front and the back sides, where luminance on the back was ~30% higher than that on the front in our experiments. For the other case, however, light was emitted only from the cathode back side as the Cr layer on the anode glass rolled as a reflecting mirror, improving the light luminance as much as ~60% compared with that on the front of one. This study seems to be discussed about the morphologies and fiel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CNT emitter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parameters in fabricating the lamps emitting light on the both sides or only on the cathode back side. The experimental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 CNT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by ultrasonically dispersing purified SWCNTs in deionized water with sodium dodecyl sulfate (SDS). A milliliter or even several tens of micro-liters of CNT solution was deposited onto a porous alumina membrane through vacuum filtration. Thereafter, the alumina membrane was solvated with the 3 M NaOH solution and the floating CNT film was easily transferred to an ITO glass substrate. It is required for CNT film to make standing CNTs up to serve as electron emitter through an adhesive roller activation.

  • PDF